• 제목/요약/키워드: Truck

검색결과 1,075건 처리시간 0.037초

지게차 전도 방지를 위한 시뮬레이터 설계 (Design of Simulator for Rollover Prevention of Forklift Truck)

  • 이시형;배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71-576
    • /
    • 2021
  • 물류 창고 등에서 지게차 사용은 일반화되어 있으나 최근에는 지게차 전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이나 축소된 하드웨어로 구성한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문제 해결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게차의 전도 예방을 위해 기존 지게차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지게차의 전도 예방을 위한 기구 개념을 설명한다. 또한 지게차 전도 예방을 위한 시뮬레이터 시스템 구성과 설계된 시뮬레이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료전지 트럭의 운전 부하 패턴에 따른 고분자 연료전지 스택의 동특성 시뮬레이션 (Dynamic Simulation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Stack under Various Operating Pattern of Fuel Cell Powered Heavy Duty Truck)

  • 손나민;무자히드 나심;김의연;이영덕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121-128
    • /
    • 2024
  • In this study, a dynamic simulation model of a heavy-duty truck, equipped with a fuel cell power-train, has been developed and the dynamic behavior of the fuel cell stack has bee investigated using. Output change simulation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several drive cycle load change of a fuel cell truck. Mathworks' Simulink and Simscape program were used to develop the model. The model is comprised of fuel cell power train, power converter system and truck vehicle part. The vehicle runs at targeted speed of the truck, which is set as the load of the system. The dynamic behavior of the fuel cell stack according to the weight difference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fuel cell output power and battery state with simple load was analyzed.

고속도로 상에서의 트럭교통 관리전략에 대한 영향 분석 (Analysis of Truck Management Strategies Impacts on Highway)

  • 양충헌;손영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75-18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트럭관리전략 중에 하나인 트럭차로이용제한 전략의 대안을 다양한 효과 척도를 통해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트럭차로 이용제한 전략이 어떠한 교통 조건, 기하구조 조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수준의 교통수요와 트럭비율을 주요 영향 인자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전략이 효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최대 교통류율이 1,300대/시/차로 이상 이거나 트럭차량이 전체 교통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적어도 10% 이상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에서 가장 트럭교통량이 많은 곳 중에 하나는 710 고속도로 북쪽 방향 23마일 구간에 대해 시행 가능한 트럭차로 이용제한 대안 별로 영향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적으로, 트럭차량이 많이 포함되어 교통이 혼잡할 때에는 편도 4차로 중 왼쪽 2차로에 대한 트럭통행을 제한한 경우 교통 흐름이 향상되고 차량 당 평균 연료 소비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트럭차량 통행 제한차로수의 결정은 또한 이러한 전략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임을 증명하였다.

  • PDF

고속도로에서의 트럭 차량 관련 사고 요인 분석 (Analysis of Truck involved Accidents on Freeways)

  • 양충헌;손영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35-45
    • /
    • 2008
  • 트럭은 상대적으로 낮은 운송비용과 그 운영의 탄력성 때문에 화물 운송에 가장 널리 이용되는 교통 수단이다. 그러나 전체 교통량에서 트럭교통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곳에서는 심각한 안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트럭사고는 다른 차량간의 사고보다 더 심각한 부상이나 사상자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럭 교통과 관련된 안전 문제는 교통 시스템을 운영, 관리하는 공공부분과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일반 운전자에게 있어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트럭관련 사고 자료를 이용하여 교통 조건에 따른 사고 형태를 조사하고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조사된 사고 요인들 중 어떤 것이 가장 큰 트럭관련 사고 요인인지를 분석한다. 이 연구를 위한 자료는 TASAS의 database를 이용하였다. 중요 사고 요인이 분석이 되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트럭 관리 전략에 대해 논의해 볼 수 있다.

  • PDF

Lab-based Simulation of Carton Clamp Truck Handling - Preliminary FEA and Analysis of Handling Test Courses

  • Park, Jongmin;Kim, Jongsoon;Kim, Dongkeon;Chang, Sewon;Kim, Ghiseok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3-190
    • /
    • 2017
  • Carton clamp truck is widely perceived as the high-efficient handling equipment of factory premises and warehouse by its capability of palletless handling.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a lab-based handling simulation is becoming higher with the growth of clamp truck usage. In this study, preliminary FEA and design of handling test courses for the lab-based simulation of carton clamp truck handling were performed, and the PSD analyses were performed for the modified one for the test course proposed by Park et al. (2017) as well as ASTM D 6055 and ISTA 3B standards. For the vibration in all directions, the vibration energy intensity analyzed by ISTA 3B standard showed higher than that by the other two cases. A FEA was performed for the handling operation of the sudden stop of the clamps after lifting the target HCP (heavyweight refrigerator corrugated package, w=180 kgf) up to the specified height. The slip distance between the clamp arm and the target HCP was 0.85 mm. The simulation result of 0.85 mm was 3.7 times lower than the experimental result (3.2 mm) obtained by Park et al. (2017), and it was estimated that the deviation comes from both the experimental error by weight imbalance of target HCP, and excessive simplification during the FE modelling of target HCP.

과하중 트럭 운행 도로에 대한 역학적-경험적 지침 (Mechanistic-Empirical Guideline for Routine Overweight Truck Traffic Routes)

  • 오정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10
    • /
    • 2013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과하중 트럭의 운행에 대한 도로의 성능 평가에 대한 역학적-경험적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첫 단계 가이드라인은 도로 평가 도표를 이용하여 최적의 도로경로를 찾고 그 도로에 대한 추가 실험이나 분석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OTR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로가 과하중 트럭의 운행이 지속된 공용 기간 동안 구조적 성능을 발휘하는지에 대한 검토를 하고, 또한 필요하다면 아스팔트 덧씌우기 층두께를 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통행차량 특성을 반영한 강교량 피로설계트럭의 피로파괴 신뢰도해석 (Reliability Analysis of Fatigue Truck Model Using Measured Truck Traffic Statistics)

  • 신동구;권태형;박영석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11-221
    • /
    • 2007
  • 교량의 피로파괴에 대한 Miner의 피로손상법칙을 적용하여 여러 확률변수로 표현된 피로파괴 한계상태함수에 대한 신뢰도해석을 국내에서 측정된 통행차량의 통계적 특성을 반영하여 수행하였다. 신뢰도지수의 산정에 필요한 확률변수 가운데 등가모멘트, 충격계수비, 등가하중비는 국내의 최근 측정자료를 분석하여 통계치를 산정하였으며, 피로강도, 활하중 횡분배비, 연행하중비는 국외에서 측정된 문헌자료의 통계치를 적용하였다. 신뢰도해석을 통하여 피로설계트럭의 종류, 교량수명, ADTT, 피로상세, 등가하중비, 피로설계트럭의 총중량 등의 피로손상에 관련된 여러 파라미터가 신뢰도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피로파괴에 대한 신뢰도해석 결과는 국내 LRFD 설계기준의 피로설계트럭모형과 피로한계상태의 하중계수를 결정할 때 기초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천항 배후지역의 화물차 전용도로망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reight-only-lane and Freight-only-highway Policies Implemented in the Incheon City)

  • 이명신;김용진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7-138
    • /
    • 2009
  • 인천광역시내에 위치한 인천항 주변지역의 경우 화물운송 차량이 종일 빈번하게 운행하여 이로 인한 인근지역 주민은 소음 매연등 환경악화로 인한 피해를 입고 있으며, 화물차 운행환경에 맞지 않게 설계 시공된 도로의 경우 타 도로에 비하여 파손도가 심각하고 이에 따른 재포장 비용이 따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질 화물차량 운행현황과 과거 노선별 도로 재포장 시행자료를 분석하여 화물차량 운행이 도로에 미치는 영향을 실질적으로 분석하고 잦은 화물차량운행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제시되는 "화물자동차 전용도로"와 "화물 자동차 전용차로" 운영정책에 대한 장 단점을 비교 분석한 후 화물차량 운행과 직접적인 이해관계에 있는 화물차량 운전자, 지역주민,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각 집단에서 체감하는 화물차량 운행과 관련한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화물차량 운행 개선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한 여러 정책에 대한 각 집단별 의견을 청취하여 정리 분석하였다.

  • PDF

고속도로 화물차 교통사고 건수 예측모형 및 안전등급 개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uck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s and Safety Rating on Expressways)

  • 윤정은;정하림;박장호;강동효;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1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전국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화물차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고속도로 교통사고 자료들과 포아송 및 음이항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화물차 교통사고 건수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에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된 변수는 화물차 연속주행시간지수, 구간연장, 화물차 교통량, 구간내 교량 수, 졸음쉼터 개수이다. 또한, 구축된 예측모형을 이용하여 고속도로 구간별 안전등급(level of service of safety, LOSS)을 도출하였다. 이후 LOSS를 전국 고속도로 네트워크에 표출하여 고속도로 구간별 화물차 교통사고 위험도를 진단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과 LOSS는 고속도로에서의 화물차 교통사고 저감을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표준트럭의 차별적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Applicability of Diversified Truck Weight-to-Power Ratios)

  • 오흥운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89-98
    • /
    • 2006
  • 오르막차로 설계에 쓰이는 표준트럭의 중량/마력비는 200 lb/hp로 알려져 있다. 그 값은 일반적으로 다양하기 마련인 지역간 트럭의 분포를 일정하다고 간주하여 트럭의 성능을 한가지로 표준화시킨 값이다. 또한 실제 교통량 중에서 트럭구성비를 측정하기보다는 그동안 전국범위의 트럭 등록대수 기준으로 표준트럭화 시킨 값이다. 따라서 표준트럭의 중량마력비는 지역적 산업적 트럭의 다양성이나 실제 트럭분포와 거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실제 트럭 구성비에 지역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표준트럭의 중량마력비에 대해 검토하였다. 본 논문을 위해 전국에 걸쳐 고속도로 요금소에서 측정한 개별트럭의 중량마력비를 사용하였다. 지역적 분석을 위해 전국 8개 지역으로 나누고, 지역별 중량/마력비를 특성화하여 현재 단일기준의 지역별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전국의 표준트럭은 208 lb/hp로 현재의 200 lb/hp와 8 lb/hp 차이가 나며,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170 lb/hp $\sim$ 230 lb로 현재 기준과 30 lb/hp 내외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로 지역별 트럭분포의 격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전국적인 지역특성을 반영한 세가지의 중력마력비가 제안될 수 있었다. 다양한 표준트럭이 설계에 반영이 되면 두가지 효과가 기대된다. 즉 트럭과 승용차의 오르막차로에서의 속도차 때문에 발생하는 추돌사고를 줄이고 또한 특정지역에서 오르막차로 건설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