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uck

검색결과 1,075건 처리시간 0.034초

트럭 운송시 맥주용 유리병의 진동 및 낙하 특성 (Vibration Characteristics and Drop Impacts of Bear Glass Bottles During Truck Transit)

  • 박수일;박인식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77-81
    • /
    • 2009
  • 음료와 맥주 제품의 경우 신선도를 유지하기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유리병이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수입되어 유통되고 있다. 실제 트럭으로 국내 운송되는 맥주 유리병 제품의 유통환경에서 진동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트럭 불규칙 진동 특성인 0.52 $G_{rms}$을 진동시험 규격으로 적용하여 예측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결론적으로 유리병의 자체의 파손은 관측되지 않았다. 트럭의 적재함 위치별 상하진동 수준에 있어서는 뒷부분에 위치한 가속도계에서 가장 큰 진동 특성(0.17 $G_{rms}$)이 나타났으며, 앞 부분(0.11 $G_{rms}$)과 중간 부분(0.12 $G_{rms}$)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낙하 높이와 제품 용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바닥면으로 낙하된 유리병의 경우 파손은 관측되지 않았다. 단측면 낙하 시 가장 큰 유리병 파손율을 보였으며, 장측면에 비해 약 2배 높은 유리병 파손율을 나타내었다.

  • PDF

군용 대형트럭의 고유 진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al Characteristics of a Large-sized Military Truck)

  • 서권희;임현빈;송부근;장헌섭;유웅재;오철조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30-137
    • /
    • 2010
  • Due to test facility and specialty, it is physically difficult to conduct the modal tests of large-sized structures such as truck, bus and airplane. So, in case of a large-sized truck, the mode analysis on a full vehicle model comprised of reliable cabin, frame, and deck has been generally performed. However, the reliability of overall vib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nalytic model has not been fairly guaranteed by the testified models of each subsystem owing to the existence of cab suspension and the nonlinear mounting between a chassis frame and a special deck system. In this paper, a method to find out the modal characteristics of a large-sized military truck is presented. New modal test equipment is developed to set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ree military truck variants as close as a free-free condition. And the mode analysis method using coupled structure and dynamic models is established to consider the above-mentioned dynamic non-linearities of the vehicle itself. The usefulness of the suggested method is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modal test results. Finally, the modal parameters of the final variant are extracted using the proved analytic method.

Q방법론을 활용한 푸드 트럭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 연구 (A Study on Subjective Recognition of Food-truck Customers Using Q Methodology)

  • 김찬우;정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514-524
    • /
    • 2018
  • 본 연구는 푸드 트럭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푸드 트럭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푸드 트럭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구조를 유형화 하며, 그 유형들간의 특성을 기술하고 분석하여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형분석 결과, 총 4가지로 도출되었다. 제 1유형(N=10) : 푸드 트럭 존 접근성 선호 형(Food truck zone accessibility preferred type), 제 2유형 (N=8) : 복합 엔터테인먼트 체험 형(Complex entertainment experience type), 제 3유형(N=9) : 메뉴 위생중점 이용 형(Menu hygiene center use type), 제 4유형(N=3) : 패스트푸드 선호 형(Fast food preference type)으로 각 각 독특한 특징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푸드 트럭 및 외식 관광 분야에 관한 연구에서는 많은 문헌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세밀한 Q방법론적인 질문과 분석기법으로 수정 보완하여,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보다 구체적이며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국도변 화물차휴게소 수요예측기법 연구 (Demand Forecasting Method for Truck Rest Areas Beside National Highways)

  • 최창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3-22
    • /
    • 2017
  • 본 연구는 국도변에 설치되는 화물차휴게소의 이용수요를 예측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기존의 수요예측 방법론을 검토하여 이를 보완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수요예측 과정에서 우선 할 사항은 휴게소를 이용할 화물차를 단기주차차량과 장기주차차량으로 구분하는 것이었다. 또한 단기와 장기 등 주차시간에 따라 소요주차면수 산정에 적용되는 이용률과 혼잡률 및 회전율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들 영향요소를 달리 적용할 것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화물차휴게소에 입주하는 업체와 편의시설의 활성화에 따라 서도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의 반영 필요성도 나타났다. 이로부터 국도변에 설치되는 거점형 화물차휴게소는 고속도로변에 설치되는 화물차전용 휴게소보다 수요예측 과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되며, 또한 다양한 영향요소들을 감안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트럭의 속도 및 범퍼높이가 보행자 전도거리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Pedestrian Throw Distance from Truck Speed and Bumper Height)

  • 심재귀;이상수;백세룡;최정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85-95
    • /
    • 2017
  • 본 논문의 목적은 트럭과 보행자의 충돌사고에서 트럭의 중량, 속도와 범퍼 높이가 보행자 전도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전도거리에 대한 모형식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통사고 재현 프로그램인 PC-crash를 이용하여 트럭의 중량을 5t, 15t, 25t으로 적용하고, 각 트럭의 앞 범퍼 하단 높이를 0.3m부터 0.6m까지 0.1m씩 높여감과 동시에 트럭의 속도를 10km/h부터 100km/h까지 10km/h씩 높여가며 실험하였다. 트럭의 속도와 범퍼 높이는 보행자 전도거리에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고, 트럭 중량은 보행자 전도거리에 유의하지 않은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제시한 모형식은 조정된 $R^2$ 값이 93.3%로 매우 우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Investigation of Fiber Distribution in Concrete Batches Discharged from Ready-Mix Truck

  • Sorensen, Christian;Berge, Egil;Nikolaisen, Eirik B.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8권4호
    • /
    • pp.279-287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of an investigation of the fiber content variations in concrete being discharged from a ready-mix truck at the construction site. Concrete samples were extracted from the truck drums at the beginning, middle and end of discharge. Subsequently, fibers in each sample were separated from the concrete, and weighed. Presumably, synthetic macro fibers will float towards the top, i.e. towards the drum opening, of the inclined, revolving truck-drum, while, on the other hand, steel fibers will tend to gravitate towards the lower parts of the mixer drum. Accordingly, the discharge batch, containing synthetic macro fibers, will contain a higher amount of synthetic fibers per unit volume at the start of discharge than the average unit volume fiber content of the mix, and the content will gradually decrease further down the batch. The discharge batch of steel fiber concrete will contain fewer fibers per unit volume at the start of discharge than the average unit volume fiber content of the mix, and the content should gradually increase further down the batch. The correctness of the foregoing is partly confirmed. A certain percentage of the truck loads did not comply with the proposed requirements, mainly steel fiber reinforced batches, indicating the necessity of a code or guideline amendment. A change in the Norwegian shotcrete directive was made in 2011, based upon experimental research work (2010), which, in combination with the subsequent University of Life Sciences report (2012), constitutes the foundation of this article.

LRFD 설계기준(안) 피로설계트럭 모형 분석 (Analysis of Fatigue Truck Model for LRFD Code)

  • 조은영;신동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331-342
    • /
    • 2009
  • Miner의 피로손상법칙을 적용하여 피로파괴에 대한 한계상태함수를 표현하고, 실제 국내 통행차량의 통계적 특성을 반영하여 LRFD 설계기준(안)의 피로설계트럭모형과 현 도로교설계기준의 DB-24 하중에 대한 피로파괴 신뢰도해석을 수행하였다. 피로한계상태함수는 Miner의 피로손상법칙을 확률변수의 함수로 나타내고 이들 확률변수에 대하여 국내 통행트럭 등의 실측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구한 통계치와 문헌에 보고된 결과를 조사하여 구한 통계치를 적용하여 지간별 및 피로상세별 신뢰도지수를 Rackwitz-Fiessler법으로 구하고, 신뢰도해석 결과를 분석하여 LRFD 설계기준(안)의 피로설계트럭모형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제안된 피로설계트럭모형을 적용하여 단경간 및 3경간 연속 플레이트 및 박스 거더교의 총 16개 실교량에 대한 피로설계를 수행하고, 설계결과를 현 도로교설계기준의 DB-24 하중에 의한 피로설계 결과와 비교하여 LRFD 피로설계트럭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수도권 화물차량 기.종점자료 신뢰도 향상 방안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ruck O-D Matrices Estim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김채만;김락기;정용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45-154
    • /
    • 2009
  • 본 연구는 도로상의 화물차량 관측교통량과 가장 잘 부합하는 화물차량 기 종점통행량을 생성하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통행배정과 통행배정(GM모형)을 순차적으로 사용한 통합모형(Hybrid Method)을 개발하고, 통합모형과 GM모형을 수도권에 적용하여 비교 평가한 결과 평균오차율과 %RMSE에서 통합모형이 더 신뢰도 높은 화물차량 기 종점통행량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모형으로 보정된 수도권 화물차량 기 종점통행량은 첫째, 화물차량을 차종별로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활용 영역을 확장시켰다. 둘째, 기존 화물차량 기 종점통행량 보다 평균오차율과 %RMSE가 낮은 신뢰도 높은 화물차량 기 종점통행량을 산출하였다. 셋째, 현재뿐만 아니라 장래 화물차량 기 종점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타당성 조사 등에 활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가상 시험 모델을 이용한 군용 대형트럭의 내구해석 (Durability Analysis of a Large-sized Military Truck Using Virtual Test Lab)

  • 서권희;송부근;임현빈;장헌섭;오철조;유웅재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7-64
    • /
    • 2011
  • In general,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a large-sized military truck has been checked through a field durability test which required many man-hours and costs. To reduce these expenses, the durability analysis using a VTL(Virtual Test Lab) at an initial design stage was introduced recently. In this paper, the VTL with a multi-post testrig template for a large-sized truck was developed to compute the load histories transferred to cabin and chassis frame. The VTL consisted of trimmed FE models of cabin, chassis frame, and deck, dynamic models of front and rear suspensions, and a 8-post testrig templat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VTL were correlated with experimental results which had been extracted from actual driving test, modal test, and static weight test. The fatigue analysis using MSM(Modal Superposition Method) was applied to evaluate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a large-sized military truck. From a series of analytic methods, it is shown that the fatigue analysis process using the VTL could be a useful tool to estimate the fatigue lives and weak areas of a large-sized military truck.

고속도로 통행차량 통계 분석을 통한 단독차량의 활하중 효과 추정 (Estimation of Live Load Effect of Single Truck Through Probabilistic Analysis of Truck Traffic on Expressway)

  • 윤태용;안상섭;권순민;백인열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11
    • /
    • 2016
  • PURPOSES : This study estimated the load effect of a single heavy truck to develop a live load model for the design and assessment of bridges located on an expressway with a limited truck entry weight. METHODS : The statistical estimation methods for the live load effect acting on a bridge by a heavy vehicle are reviewed, and applications using the actual measurement data for trucks traveling on an expressway are presented. The weight estimation of a single vehicle and its effect on a bridge are fundamental elements in the construction of a live load model. Two statistical estimation methods for the application of extrapolation in a probabilistic study and an additional estimation method that adopts the extreme value theory are reviewed. RESULTS : The proposed methods are applied to the traffic data measured on an expressway. All of the estimation methods yield similar results using the data measured when the weight limit has been relatively well observed because of the rigid enforcement of the weight regul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estimations are made using overweight traffic data, the resulting values differ with the estimation method. CONCLUSIONS : The estimation methods based on the extreme distribution theory and the modified procedure presented in this paper can yield reasonable values for the maximum weight of a single truck, which can be applied in both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a bridge on an express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