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ough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31초

냉동볶음밥 제조를 위한 품종별 쌀의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varieties for manufacturing frozen fried rice)

  • 윤영;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23-830
    • /
    • 2015
  • 냉동볶음밥 제조를 위한 선행 연구로 품종별 쌀(신동진, 백진주, 호품, 온누리 및 일미)에 대한 품종 특성을 조사하여 추후 냉동볶음밥 연구에 적합한 품종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품종별 쌀에 대한 일반성분 분석에서는 품종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품종별 쌀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온누리가 가장 높은 반면 백진주가 가장 낮았으며, 수분흡수지수는 온누리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색도는 취반 및 냉동저장으로 인해 명도 및 적색도는 감소하였으나 황색도는 높아졌으며, 품종별로는 백진주의 황색도가 증가하였다. 5품종 쌀의 호화특성을 살펴본 결과,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및 치반점도는 신동진이 가장 높았고, 강하점도는 백진주가 가장 높았다. 품종별 쌀의 물성변화는 냉동 저장으로 인하여 경도, 씹힘성 및 응집성은 감소한 반면, 부착성은 증가하였고, 품종별로는 신동진, 온누리 및 일미에서 냉동 저장으로 인한 물성변화가 가장 적었다.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한 품종별 쌀들의 미세구조를 살펴본 결과, 백진주 및 호품에서 냉동저장 및 해동과정에서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조직 내 기공이 관찰된 반면, 신동진, 온누리 및 일미에서는 비교적 온전한 조직 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냉동볶음밥 제조를 위한 적합 품종으로는 취반 및 냉동저장을 통해 색도, 물성, 호화특성 및 미세구조에서도 큰 영향을 받지 않은 신동진, 온누리 및 일미 품종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단면리브를 갖는 강바닥판 교량의 국부거동 분석 및 피로균열 보강방안 (Local Behavior of Structural Details for Orthotropic Steel Deck Bridge with Longitudinal Rib of Open Section and Retrofitting Method of Fatigue Cracks)

  • 이성진;경갑수;이희현;전준창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33-44
    • /
    • 2013
  • 강바닥판의 구조상세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표준형의 U-rib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을 뿐, 강바닥판 건설초기의 개단면리브형식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용연수 31년된 개단면세로리브형식의 강바닥판 교량의 피로균열 발생 원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교통류하에서의 계측 데이터를 통하여 대상구조상세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상세구조해석을 통하여 대상교량을 통과하는 대표트럭하중을 추정하고, 상세영향면해석을 이용하여 대상구조상세의 응력 및 변형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분석에 기초하여 피로균열이 발생된 대상구조상세의 보강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개단면리브에서의 피로균열의 발생원인은 개단면부에서의 전단변형에 의한 응력증가 및 차량의 이동에 따른 교번응력의 발생에 기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국부구조상세에 대한 피로설계에서는 구조상세의 거동특성이 충분히 반영된 상세해석에 근거한 설계를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23(Names and Limits of Oceans and Seas)을 기초로 한 바다의 속성지명과 바다경계의 획정 근거 분석 (The Generic Terms and the Standards of a Delimitation for Oceans and Seas based on S-23(Names and Limits of Oceans and Seas))

  • 성효현;강지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914-928
    • /
    • 2013
  • 바다를 이용한 항로의 발달과 바다를 터전으로 하는 어업활동의 증가에 따라 안전한 항해를 위한 바다의 경계와 그 공간을 지칭하는 지명의 제정은 필수적이다. 바다의 경계를 획정하는데 있어 국내 외적인 기준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국제수로기구에서 출판한 "해양과 바다의 경계; S-23"에 대한 보고서는 공식적인 문서로써 바다의 경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23 보고서를 기초로 하여 바다경계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2002년 제4판 draft를 분석하여 바다의 속성지명 및 바다경계를 획정하는데 사용된 자연지리적 대상을 찾아 경계획정의 근거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S-23(2002)에 나타난 바다는 9개의 속성지명, 즉 Ocean, Sea, Channel, Passage, Strait, Sound, Gulf, Bay, Bight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속성지명은 계층관계를 보이며 하부 계층의 바다는 배타적 또는 포함관계로 표현되었다. IHO의 용어사전에서 정의하는 속성지명의 특성과 현실에서의 바다특성이 상이하게 사용된 예도 발견되었다. 바다의 경계획정기준은 조약에서 제시한 경 위도, 대륙의 최외곽에 있는 곶 또는 갑, 하천하구와 사주 등으로 나타났다. 해저지형의 경우 대륙붕, 해구, 해곡, 해저융기부, 해저퇴, 암초가 경계로 이용되었는데, 특히 남극과 북극지역의 바다 경계는 대륙붕 또는 해저융기부의 경계가 이용되는 사례가 많았다. 해저지형에 의한 경계획정은 S-23 1953년 3판까지 제시된 것과는 달리 2002년 초안에서 주로 발견되는데, 이는 해저탐사기술이 발달하면서 해저지형에 대한 이해가 개선되고, 이러한 지식이 해양경계획정에 사용된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 PDF

7 dBi 이득을 가지는 이중 다이폴 준-야기 안테나 설계 (Design of Double-Dipole Quasi-Yagi Antenna with 7 dBi gain)

  • 여준호;이종익;백운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45-25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1.70-2.70 GHz 대역에서 7 dBi 이상의 이득을 가지는 이중 다이폴 준-야기 안테나(double-dipole quasi-Yagi antenna; DDQYA)의 설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제안된 DDQYA 안테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길이의 스트립 다이폴 안테나와 접지 반사기가 코플래너 스트립 선로로 연결되어 있다. 저주파수 대역에서 이득을 높이기 위해 두 번째 다이폴의 길이를 조절하였고, 중간 및 고주파수 대역에서 이득을 높이기 위해 직사각형 패치 도파기를 추가하였다. 두 번째 다이폴의 길이와 직사각형 패치 도파기의 길이와 폭에 따른 안테나의 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7 dBi 이상의 이득을 얻기 위한 최종 설계 변수를 얻었다. 최종 설계된 DDQYA 안테나를 FR4 기판 상에 제작하고 특성을 실험한 결과 전압 정재파비(voltage standing wave ratio; VSWR)가 2 이하인 대역은 1.60-2.86 GHz이고, 1.70-2.70 GHz 대역에서 이득이 7.2-7.6 dBi로 7 dBi 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임진강대 남변부 트라이아스기 보장산조면암의 지구화학과 조구조적 의미 (Geochemistry and Tectonic Implications of Triassic Bojangsan Trachyte in the Southern Margin of the Imjingang Belt, Korea)

  • 황상구;안웅산
    • 암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3-125
    • /
    • 2017
  • 이 연구는 임진강대 남변부에서 산출되는 보장산조면암에 대한 새로운 지구화학적 특징과 조구조 배경에 대해 논한다. 보장산조면암은 희토류 및 고장력 원소의 함량이 매우 풍부하며 거미도형에서 Nb의 이상치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지각물질이 개입하는 호환경의 마그마 과정을 겪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이 조면암은 비유동적인 고장력 원소인 Nb-Y와 (Y+Nb)-Rb 상관도에 의하면 판내부 환경에서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높은 Ga 함량은 전형적인 A-형 마그마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Nb-Y-Ce과 Nb-Y-3Ga 삼각도에서 A1-형 영역에 속하며, Y-La-Nb 삼각도에서 판내부 대륙열곡에서 산출되는 알칼리암을 나타낸다. 이는 이들이 비조산성 대륙열곡 환경에서 맨틀근원물질로부터 나온 마그마의 분화작용으로 생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의 지화학적 특징은 임진강대에서 보장산조면암이 페름-트라이아스기 송림조산운동동안 주 충돌작용 다음에 확장성 환경에서 발달하는 대륙열곡에서 맨틀유래 마그마작용에 의해 생성된 사건을 가리킨다. 이러한 자료는 임진강대를 북중국 및 남중국 지괴 사이의 칠링-다비-술루대의 연장부로 생각할 수 있게 한다.

압출성형과 동결건조 곡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ereals Prepared by Extrusion-Cooking and Freeze-drying)

  • 김철;박희용;류기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57-762
    • /
    • 2005
  • 압출성형공정을 곡류식품 소재개발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압출성형으로 곡류를 처리한 후 압출성형 곡류, 원료 곡류, 동결건조 곡류의 수용성지수, 수분흡착지수, 페이스트점도와 미생물지표로서 일반세균수를 측정하였다. 압출성형 시료는 배럴온도(70, 90, $110^{\circ}C$)와 수분함량(25, 30%)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원료 곡류, 동결건조 곡류, 압출성형 단일곡류와 압출성형 혼합곡류의 수용성지수와 수분흡착지수는 압출성형시료가 원료곡류와 동결건조 곡류에 비해 증가하였다. 압출성형 혼합곡류에서 수분용해지수는 배럴온도 $70^{\circ}C$, 수분함량 25%일 때 가장 높았고 수분흡착지수는 배럴온도 $110^{\circ}C$, 수분함량 25%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원료 곡류, 동결건조 곡류, 압출성형 단일곡류와 압출성형 혼합곡류의 최고점도, 최저점도, 구조파괴점도, 최종점도는 압출성형시료가 원료 곡류와 동결건조 곡류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압출성형 혼합곡류에서 최고점도와 구조파괴점도는 배럴온도 $70^{\circ}C$, 수분함량 25%일 때 가장 낮았고 최저점도는 배럴온도 $110^{\circ}C$, 수분함량 25%일 때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최종점도는 배럴온도 $90^{\circ}C$, 수분함량 25%일 때 가장 낮게 나타났다. 미생물지표로서 일반세균수를 측정한 결과는 압출성형 공정으로 처리한 원료곡류와 혼합곡류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초기 알루미나 분체의 입자크기가 주입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튜브형 α-알루미나 지지체의 기공구조 및 기체 투과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cursor Alumina Particle Size on Pore Structure and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Tubular α-alumina Support Prepared by Slip Casting Process)

  • 양은목;이혜련;조철희
    • 멤브레인
    • /
    • 제26권5호
    • /
    • pp.372-38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입자크기가 다른 3가지 ${\alpha}$-알루미나 분체로부터 주입성형법과 소결법을 혼용하여 튜브형 ${\alpha}$-알루미나 지지체를 제조하여 초기 ${\alpha}$-알루미나 분체의 입자크기와 소결 온도가 지지체의 기공구조와 기체투과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평균입경이 0.2, 0.5, $1.7{\mu}m$${\alpha}$-알루미나 분체를 사용했을 시 제조된 ${\alpha}$-알루미나 지지체는 각각 약 80, 130, 200 nm의 평균 기공경을 가졌으며 평균 기공경은 소결 온도 보다는 초기 알루미나 분체의 입자크기에 의존하였다. 모든 시편에서 소결 온도가 증가할수록 지지체의 부피 밀도는 증가하였고 겉보기 기공률은 감소하였다. He, $N_2$, $O_2$, $CO_2$에 대하여 $30^{\circ}C$에서 단일기체 투과 특성을 평가한 결과, 기체 투과도는 기공경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기공률이 증가함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를 토대로 제조된 ${\alpha}$-알루미나 지지체의 기체 투과는 점성유동(viscous flow)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alpha}$-알루미나 지지체의 기체 투과 특성은 초기 ${\alpha}$-알루미나 분체의 입자크기와 소결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케토롤락트로메타민 서방성 펠렛의 약물속도론적 평가 (Pharmacokinetic Evaluation of Ketorolac Tromethamine Sustained-Release Pellets after Oral Administration in Rabbits)

  • 곽손혁;황성주;장혁;남경완;문영걸;이해방;조선행;육순홍;이한구;정상영;이영원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0권4호
    • /
    • pp.241-246
    • /
    • 2000
  • To develop a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containing ketorolac tromethamine, two sustained-release pellet formulations were evaluated with a pharmacokinetic study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commercial tablets (10 mg $Tarasyn^{TM}$, Roche Korea Ltd.). Two sustained-release formulations were as follows; formulation A was composed of an inner layer containing 75% of drug coated with $Eudragit^{TM}$ RS 100 membrane and an outer layer containing 25% of drug mixed with $Eudragit^{TM}$ NE30D, and formulation B was composed of only an inner layer containing 100% of drug coated with $Eudragit^{TM}$ RS 100 membrane. The dissolution test was performed for two formulations. In case of conventional tablets, 2.5 mg of drug per a dose was administered orally into male Albino rabbit (2.0-2.3 kg of body weight) 3 times at intervals of 4 hours. In case of two sustained formulations, 7.5 mg of drug was administered once orally. Blood samples were withdrawn periodically after the administration, and the blood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HPLC. The conventional tablets showed very high peak-trough fluctuation between administered doses, but two sustained formulations showed less fluctuation. Formulation A with the loading dose showed the time to reach minimum effective concentration (MEC) i.e. the onset time was less than 20 min, while Formulation B had more than 1 hr of the onset time. Formulation A had the more constant plasma level than formulation B. However, formulation B had a time lag, so the plasma level was less than MEC for an initial period of 1 hr. In formulation A, the plasma level was maintained within the therapeutic window $(0.3-5\;{\mu}g/ml)$ for a long period. Formulation A was thought to be an ideal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for ketorolac tromethamine oral delivery system.

  • PDF

불규칙 파랑 비선형 천수 과정 수치해석 - 천수 단계별 파고분포 변화를 중심으로 (Numerical Analysis of Nonlinear Shoaling Process of Random Waves - Centered on the Evolution of Wave Height Distribution at the Varying Stages of Shoaling Process)

  • 김용희;조용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06-121
    • /
    • 2020
  • 항 외곽시설 신뢰성 설계가 합리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해양환경 특성이 반영된 확률모형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에서는 천 해역 확률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부로 불규칙 파랑 천수 과정을 수치 모의하였다. 수치 모의는 자연해안에서 흔히 관측되는 사주가 원빈에 형성된 해안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파랑모형은 spatially filtered Navier-Stokes Eq., LES[Large Eddy Simulation], one equation dynamic Smagorinsky turbulence closure 등으로 구성하였다. 불규칙 파랑은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관측되는 너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첨두 증강계수를 지니는 JONSWAP 스펙트럼과 random phase method를 사용하여 모의하였다. 파고분포의 모수는 먼저 수치 모의에서 관측된 자유수면 시계열 자료를 threshold crossing method로 파별 해석[wave by wave analysis]하여 개별 파랑을 특정하고, 이어 이렇게 특정된 파마루와 파곡 빈도 해석결과로부터 산출하였다. 모의결과 현재 천 해역 파고분포를 대표하는 수정 Glukhovskiy 파고분포는 큰 파고와 작은 파고 발생확률은 과다하게, 중간 크기 파고 발생확률은 과소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모의 되었으며, 이에 반해 본 논문에서 제시된 파고분포의 경우 일치도가 상당하였다. 또한, 전술한 수정 Glukhovskiy 파고분포와의 간극은 쇄파역에서 제일 현저하게 관측되어 수정 Glukhovskiy 파고분포를 쇄파역 언저리에 거치되는 외곽시설 신뢰성 설계에 적용하는 일은 지양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t slaughtering and post mortem characteristics on Traditional market ewes and Halal market ewes in Tuscany

  • Sargentini, Clara;Tocci, Roberto;Campostrini, Matteo;Pippi, Eleonora;Iaconisi, Valeria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9호
    • /
    • pp.35.1-35.10
    • /
    • 2016
  • Background: The aim of this work was the comparison between the carcass and the meat ewes of the regional Traditional market and the Islamic religious (Halal) market. Methods: Thirty and 20 at the end of career traditional market and Halal market ewes were slaughtered following the EC (European Council, 2009) animal welfare guidelines. Live weight of ewes was taken and dressing percentage of carcasses was calculated. On every carcass zoometric measurement and the evaluation trough the EU grid rules were performed. On the Musculus longissimus thoracis of 12 Traditional market carcasses and 11 Halal market carcasses the physical-chemical and nutritional analysis were performed. Consumer tests for liking meat ewe were performed in order to find consumer's preference level for Traditional and Halal markets ewe meat. Considering as fixed factor the ewe meat market (Traditional and Halal), results were submitted to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o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sults: The Halal market ewes have shown lower dressing percentages ($42.91{\pm}0.82$ vs $46.42{\pm}0.69$) and lower conformation score ($4.5{\pm}0.5$ vs $7.8{\pm}0.4$). The Halal market meat showed higher cooking loss in oven ($37.83{\pm}1.20$ vs $32.03{\pm}1.15%$), lesser Chroma value ($18.63{\pm}0.70$ vs $21.84{\pm}0.67$), and lesser Hue angle value ($0.26{\pm}0.02$ vs $0.34{\pm}0.02$). This product had also lower fat percentage ($4.2{\pm}0.4$ vs $7.09{\pm}0.4$). The traditional market meat had higher percentage in monounsatured fatty acids (MUFA) ($43.84{\pm}1.05$ vs $38.22{\pm}1.10$), while the Halal market meat had higher percentage in ${\omega}3$ poliunsatured fatty acids (PUFA) ($5.04{\pm}0.42$ vs $3.60{\pm}0.40$). The consumer test showed as the ewe meat was appreciate by the consumers. Conclusions: Both meat typologies have shown goo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The traditional market meat had higher MUFA composition, and a better MUFA/satured fatty acids (SFA) ratio, while the Halal market meat had higher PUFA composition. These results were also supported by the PCA. The consumers preferred the traditional market m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