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ompe-l'oeil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현대 포스터에서의 착시적 표현 (The illusional expression seen in the modern poster art)

  • 노시연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71-80
    • /
    • 2002
  • 현대의 포스터에에서는 눈의 착각과 트릭을 이용한 표현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스터에서 볼 수 있는 이러한 개성적 표현을 $\ulcorner$착시적(錯視的)$\lrcorner$이라고 하는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개념은 현대 그래픽 디자인의 하나의 경향적 표현으로써 부조화(浮彫化)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것에는 심리학의 $\ulcorner$착시$\lrcorner$ 보다도 넓은 정의와 개념이 필요하다. 현대 포스터에서 볼 수 있는 착시적 표현을 통일화하기 위해서 새로운 $\ulcorner$착시$\lrcorner$의 정의를 시도해 봄으로써 현대 포스터에 영향을 준 과거의 시각예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착시적 표현에 대한 관심도는 서구의 여러 나라에서 더욱 많이 있었음을 알수 있었다. 착시를 역사적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르네상스의 원근법을 시작하여 15세기 이후의 유럽에서 유행한 속임수 그림, 알친볼드(Arzhibauld)의 회화, 아나몰포즈(anamolphoses) 등에 귀착되며, 근대와 현대에서는 슈르리얼리즘(surrealism)과 에셔(Escher)의 작품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은 현대 포스터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 PDF

PO 발상법을 적용한 3D 가상 패션디자인 개발 -티셔츠 디자인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3D Virtual Fashion Design by Applying the PO Method -With a Focusing on the T-shirt Design-)

  • 서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5호
    • /
    • pp.73-87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fashion designs by applying the PO (Provocative Operation) method as a 3D virtual clothing program and to derive the PO application method in fashion design. The first T-shirt design was presented as an existing thinking method, and the second design was developed by applying escape, reversal, exaggeration, distortion, and hopeful thinking techniques, which are techniques for 'provocation' of the PO method, to the first design. Thus, 18 T-shirt designs were developed as 3D virtual clothing, with 3 sets of 6 designs, including the 1st and 2nd designs. The method of using the 'provocation' techniques of the PO method in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derived from this was as follows. First, the 'escape' technique wa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a part of the detail or structure was deleted, or a part of the structure or expression element of another item was applied. Second, the 'inversion' technique was expressed by inverting the position or shape of a detail or structure up, down, left, and right; fitting the structural detail or reversing the shape; or converting the structure and form. Third, the 'exaggeration' technique exaggerated the size, length, and volume of a structure's form or detail. Fourth, the 'distortion' technique was expressed as a distortion of lines or shapes or a visual distortion using the Trompe l'oeil technique. Fifth, the 'hopeful thinking' technique was developed and expressed from the idea of an hypothetical 'if' it was absurd, irrational, and unrealistic.

자크 라캉 무의식이론의 관점에서 본 현대 에로티시즘 패션의 미적 정체성 연구 -주이상스와 응시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esthetic Identity of Modern Eroticism Fashion from the Perspective of Jacques Lacan's Unconscious Theory -Focusing on Jouissance & Gaze Theory-)

  • 양정원;이미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2호
    • /
    • pp.124-13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esthetic identity of modern eroticism fashion in which the energy of desire is maximized through the 'jouissance' and 'gaze' of the unconscious theory of Jacques Lacan. The research method derived aesthetic identity after examining jouissance and gaze deeply related to eroticism in Lacan's theory of the unconscious by analyzing data of domestic and foreign monographs and prior research. Case analysis was limited to 2000 S/S to 2022 F/W. Based on prior research, it was analyzed mainly on clothing with eroticism characteristics of 'exposure, close contact, see-through, the conversion of underclothes into outer garment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roticism, which can be linked to Lacan's type of 'jouissance' with multiple meanings as the generating point of eroticism, has manifested itself in voyeuristic eroticism, fatale eroticism, masochistic eroticism, surplus eroticism, and sacred eroticism. Second, as eyes of unconscious desire, visu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gaze' appeared as anamorphosis, trompe l'oeil, and dépaysement. The identity of eroticism derived from Lacan's jouissance and the perspective of the desire gaze was divided into voyeuristic desire to gaze, fatal desire to gaze, masochistic desire to gaze, surplus desire to gaze, and sacred desire to gaz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xpand theoretical horizons of eroticist fashion with a new interpretation of eroticism by combining Lacan's desire as a repressed and alienated subject within the human unconscious with the art that expands it.

왕실 머리장식을 응용한 헤어 액세서리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Hair Accessory Designs Using Royal Hair Ornaments)

  • 유진영;김지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83-90
    • /
    • 2023
  • 최근 젊은 세대의 전통 복식 체험이나, 퓨전 한복의 일상복화 등의 추세에 따라 한복용 헤어 액세서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왕실 여성의 머리 장식을 활용하여 한복과 어울리는 실용적이고 현대적인 헤어 액세서리 디자인을 개발하여 한복 문화를 활용한 패션 콘텐츠 개발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전통 문화의 다양한 경험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서 전통 머리모양 및 영왕비의 전통 장신구들을 조사하였고, 실증연구로 실물을 제작하였다. 제작과정은 먼저 전통 머리모양을 응용하여 나일론 메쉬로 기본 형태를 만들었고, 그 위에 장엄하고 화려한 왕실 유물을 활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원단을 접목하여 궁극적으로 전통 장신구를 착용한 듯한 트롱프뢰유 기법을 줄 수 있도록 디자인을 설계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6개의 헤어 액세서리 디자인이 완성되었으며, 헤어 밴드, 헤어 핀, 헤어 고무밴드의 구조로 제작하였다. 또한 착용자의 헤어 스타일에 관계 없이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나일론 메쉬 소재의 특유의 빳빳하면서 유연한 재질을 이용하여 볼륨감 있는 머리 모양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는데, 이는 마치 머리카락과도 같은 시각적인 착시 효과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일상의 유희와 희소성 있는 가치를 추구하는 대중들에게도 독특한 미적, 문화적 경험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