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ton X -100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32초

Cetylpyridinium Chloride와 Triton X-100의 혼합 미셀화에 미치는 염 및 부탄올 이성질체들의 효과 (Effect of Salts and Isomeric Butanols on the Mixed Micellar Properties of Cetylpyridinium Chloride with Triton X-100)

  • 정종재;이상학;김영철;이병환
    • 공업화학
    • /
    • 제9권7호
    • /
    • pp.968-973
    • /
    • 1998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cetylpyridinium chloride(CPC)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TX-100)의 혼합계면활성제에 염(KCl과 $Na_2CO_3$)과 부탄올 이성질체(tert-부탄올, iso-부탄올과 n-부탄올)를 첨가하였을 때 변화되는 임계미셀농도값($CMC^*$)을 UV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CMC^*$값들로부터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들을 유사상태분리모델(pseudo-phase separation model)을 이용한 식에 의해 계산하였으며 그 값들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염 및 부탄올 이성질체들을 첨가하였을 때 CPC/TX-100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는 순수 물에서의 경우보다 열역학적 함수값($X_1$, $\beta$, ${\gamma}i$, $ai^M$, $C_i$${\Delta}H_{mix}$)들이 큰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모두 비이상적 혼합미셀모델에 잘 일치하였으며 이상적 혼합미셀모델과는 음방향으로 크게 벗어남을 보였다.

  • PDF

원유로 심하게 오염된 쿠웨이트 토양 정화를 위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토양세척법 적용 (Application of the Nonionic Surfactant-enhanced Soil Washing to the Kuwait Soil Seriously Contaminated with the Crude Oil)

  • 허효진;이민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6호
    • /
    • pp.491-500
    • /
    • 2015
  • 원유로 심각하게 오염된 쿠웨이트 토양에 대하여 대표적인 비이온계면활성제 용액을 이용한 토양세척법의 적용 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세척조건에서 배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쿠웨이트 지역의 증발된 원유소호(oil pond) 주변에서 채취한 토양의 평균 TPH농도는 223,754 mg/kg으로, 기존의 토양세정/세척 연구에서는 거의 적용되지 않았던 오염이 매우 심한 쿠웨이트 토양과, 유류나 유기오염물에 대하여 토양세척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고된 비이온계면활성제 9종(Tween 계열 4종, Tergitol 계열 4종, TritonX-100)을 사용하였다. 먼저 각 계면활성제 용액의 농도에 따른 원유의 용해도를 측정하기 위한 배치실험을 실시하였고, 높은 원유 용해도를 나타낸 세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토양세척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계면활성제 중에서 TritonX-100이 5% 농도에서 67%의 가장 높은 원유 제거율을 나타냈지만, 1회 세척만으로는 정화목표(TPH 농도: 10,000 mg/kg)에 도달하지 않아 연속세척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 종류의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2% 계면활성제 용액을 이용한 연속세척 실험 결과, 세척 횟수가 증가할수록 원유의 제거율이 증가하였고, 5회 연속세척 후 96%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며 제거목표에 도달하였다. 연속세척 실험 후 토양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의 탈착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앞서 실시한 연속세척 실험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리카 비드와 오염 토양을 TritonX-100 2% 계면활성제 용액으로 5회 세척한 경우, 각각 7.8%와 19.6%의 계면활성제가 흡착되어 비드와 토양 내에 잔류하였다. 계면활성제가 흡착된 비드와 토양을 증류수를 이용해 동일한 세척방법으로 추가 물세척을 실시한 결과, 비드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는 0.2%로, 토양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는 4.3%로 감소하여 흡착된 대부분의 계면활성제가 추가 물세척에 의해 탈착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TritonX-100, Tergitol S-15-7, Tergitol S-15-9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토양세척법이 유류 오염이 매우 심한 원유오염 토양(TPH 농도 200,000 mg/kg 이상)을 정화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외래 유전자와 공배양한 정자를 이용해 난자내 직접 주입술한 후 EGFP의 발현 (Positive Expression of EGFP Gene in Bovine Embryos after ICSI using Spermatozoa Co-cultured with Exogenous DNA)

  • 윤효진;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5-214
    • /
    • 2002
  • 현재까지 외래 유전자를 도입하여 형질전환 동물을 생산하는 방법이 다방면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정자를 EGFP 유전자와 공배양한 후 이를 난모 세포내에 미세 주입한 다음, 수정란의 발달과 ECFP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즉, 동결후 융해나 Triton X-100 처리 등으로 세포막을 파괴하여, 이들 정자를 EGFP 유전자와 다분간 공배양함으로써 정자와 EGFP 유전자와의 결합을 유도하였다. 정자나 정자두부의 미세주입에 의해 수정된 난자는 0.3%의 BSA가 첨가된 CR1aa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으며, EGFP 유전자의 발현은 형광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통결 후 융해로 처리된 정자와 Triton X-100 처리 한 정자를 미세주입한 결과 난할율은 85.7과 80.1%였고, 배반포 발생율은 32.4 과 35.0%로서 유의차가 없었다. 동결 후 융해와 Triton X-100 으로 처리된 정자를 각각 미세주입한 수정란의 EGFP 유전자 발현율은 각각 19.1과 13.9%로서 전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 정자 배양액에 첨가된 EGFP유전자의 농도가 54 ng/${\mu}\ell$일 때 EGFP 발현율은 15.4% 로서, 27 ng/${\mu}\ell$일 때의 9.0%와 63.5 ng/${\mu}\ell$일 때의 5.1%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발현율을 높히기 위한 방법중 하나로써 electric shock의 방법을 이용해 보았으나 기존의 공배양 방법으로 얻은 최고 발현율인 19.1%에 못 미치는 2%를 보였다. EGFP 유전자가 발현된 수정란의 배반포 발생율은 0%로서 비발현 수정란의 29.5%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EGFP 유전자의 발현은 mosaicism 형태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록 낮은 외래 유전자 도입율을 보이기는 하나 (19.0%), 정자를 매개로 한 형질전환 동물의 생산은 그 방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보고들의 효율성을 재고하여 볼 때, 난자내 정자 직접 주입술에 의한 형질전환 동물 생산의 연구는 향후 밝은 전망을 시사하고 있다.

Colloidal Gas Aphrons의 제조와 안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paration of Colloidal Gas Aphrons and Stability)

  • 윤미해;조대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70-677
    • /
    • 2007
  • 비이온성 및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CGA(cllodial gas aphron)의 안정성을 고찰하였다. 실험에서 이용한 계면활성제는 SDS(Sigma-Aldrich, Co.), Triton X-100, Tween 80, Quillaja Saponin이다. CGA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단일 성분의 계면활성제 및 혼합 계면활성제에 의한 CGA를 제조하였고, 농도, 온도, 시간에 따른 CGA의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단일 성분 CGA의 경우, Saponin이 143분의 지속시간을 보여 가장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Triton X-100, SDS, Tween 80순으로 안정성이 높았다(상온). CGA제조시 계면활성제 용액을 $70^{\circ}C$로 가열한 경우, SDS가 가장 높은 안정성을 보였으며(116분) Saponin은 상온에 비해 안정성이 낮아졌다. (105분). 혼합 계면활성제일 경우, 두 계면활성제의 중간 수준의 안정성을 보였으며, SDS+Saponin 조합이 139분으로 가장 안정성이 컸다. 가열한 혼합 계면활성제에서는 Saponin+Triton X-100 조합이 가장 안정성이 낮아 53분에 불과했다. CGA는 초기 평균 입경이 약 140 ${\mu}m$ 였다가 융합이 일어나면 그 크기가 약 190 ${\mu}m$로 상승하고 이후 붕괴하는 양상을 띠었다. 가열하여 제조한 CGA에서는, Saponin이 포함된 경우 상온에 비해 그 크기가 감소하였으며, 타 계면활성제에서는 일반적으로 그 크기가 증가하였다. 요약하면 CGA는 가열 했을 때 보다는 상온일때, 분자간 상호작용이 크게 작용하는 혼합 계면활성제보다 단일 계면활성제일 경우, CGA 지속시간이 길어져 안정성이 높아졌다.

햄스터 볼주머니를 이용한 구강점막 자극평가 조건설정 (Condition Setting for Oral Mucosal Irritation Evaluation using Hamster Cheek Pouch)

  • 박교현;김광만;김배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05-411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ptimum conditions for oral mucosal irritation testing using the buccal pouch of hamsters. Methods: Test materials were applied to the buccal pouch of seven-week old male Syrian hamsters (SLC, Japan) four times at one-hour intervals and macroscopic changes were examined at 24 hours after final treatment. After sacrifice, the buccal pouches were removed and prepared for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In order to set the exposure time, we performed exposure tests of 5, 12, 18 and 23 minutes using sodium lauryl sulfate (SLS) 1% and set the treatment volume from the test results at 2, 3, or 4 ml treatment using SLS 1%, Triton X-100 1% and ethanol. After setting the experimental conditions, seven groups of materials [sodium lauryl sulfate (SLS) (1%), Triton X-100 (1%), hydrogen peroxide (3%), ethanol (100%), chlorhexidine (0.2%, 2%), phosphate buffer saline (PBS)] were assessed. Results: Experimental conditions of material exposure time were fixed as 18 minutes from the exposure tests of 5, 12, 18 or 23 min using sodium lauryl sulfate (SLS) 1%. Treated volume was set as 4 ml per each pouch from the test results of 2, 3, or 4 ml treatments using SLS 1%, Triton X-100 1% and ethanol. The results in terms of irritation degree were in the order of sodium lauryl sulfate (SLS) (1%) > Triton X-100 (1%) ${\fallingdotseq}$ hydrogen peroxide (3%) > ethanol (100%) ${\fallingdotseq}$ chlorhexidine (0.2%, 2%) > phosphate buffer saline (PBS). Conclusion: From this study, suitable conditions for hamster mucosal irritation testing were suggested and this method was verified through materials commonly used on oral mucosal membranes.

Klebsiella pneumoniae 균주의 세포외막에서 분리한 2-furaldehyde dehydrogenase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the Outer Membrane-Associated 2-Furaldehyde Dehydrogenase from Klebsiella pneumoniae)

  • 이준우;강사욱;하영칠;한홍의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97-206
    • /
    • 1988
  • Klebsiella pneumoniae의 세포외막으로부터 2-furaldehyde를 2-furoic acid로 산화시키는 2-furaldehyde dehydrogenase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효소는 $\beta$-$NAD^{+}$를 특이적으로 요구하였다. 분리과정중의 효소활성도는 2-furaldehyde를 기질로 사용하고 $\beta$-$NAD^{+}$를 조효소로 사용하면서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해 측정 되었다. 세포외막은 Percoll의 밀도흉배에 의한 초원심분리방법과 $Mg^{2+}$, Triton X-100으로 용해시킨 후, 초원심분리시키는 방법으로 수집되었다. 세포외막단백질은 EDTA와 lysozyme을 처리함으로서 얻어졌고, 효소는 QAE-Sephadex Q-504 S Sephadex G-100-을 사용하면서 column chromatography 방법에 의해 분리되었다. 본 효소는 $85^{\circ}C$, PH9.5, 그리고 1.5% (vol/vol) Triton X-100의 존재하에서 최대활성을 보여주었다. 효소의 분자량은 nondenaturing polyacrylamide gel e electrophoresis의 결과, 88, 000.으로 추정되었고, 2-furaldehyde에 대한 효소의 Km값은 4.72 mM 이였다.

  • PDF

광학형광법에 의한 란탄족 원소의 정밀분석법에 관한 연구 일부 : TTA, n-Octanol 과 Triton X-100 의 삼성분 착물계에 의한 희토류 원소의 형광분석 방법 (Precision Analysis of Lanthanides by Fluorescence Spectroscopy Part one : Flourimetric Determination of Rare Earths by Ternary Complexes of TTA, n-Octanol and Triton X-100)

  • 차기원;박광원;하영구;김하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653-659
    • /
    • 1994
  • pH 7인 수용액에서 2-thenoyltrifluoroacetone(TTA), n-octanol과 Triton X-100의 존재하에서 유로퓸과 사마륨의 형광세기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이 착물에 과량의 $La^{3+}$을 첨가할 때 형광세기가 100배 이상 증가하였다. 유로퓸과 사마륨의 최대 들뜨기 파장은 각각 345 nm과 380 nm이고, 최대 형광파장은 각각 617 nm, 567 nm 이었다. 유로퓸과 사마륨의 형광세기는 농도가 각각 $1{\times}10^{-7}∼1{\tiems}10^{-9}\;M,\;1{\tiems}10^{-5}∼1{\times}10^{-7}\;M$에서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유로퓸은 $1{\times}10^{-11}\;M$ 그리고 사마륨은 $1{\times}10^{-8}\;M$까지 검출할 수 있었다.

  • PDF

이종 심장 판막 및 대혈관 이식편과 심낭에서 효과적인 탈세포화 방법에 관한 연구: 탈세포화의 최적화 (Study on an Effective Decellularization Technique for Cardiac Valve, Arterial Wall and Pericardium Xenographs: Optimization of Decellularization)

  • 박천수;김용진;성시찬;박지은;최선영;김웅한;김경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50-562
    • /
    • 2008
  • 배경: 조직공학분야에서 이종조직의 세포성분에 대한 면역반응을 없애기 위한 기본적인 과정으로 조직의 탈세포화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다. 본 연구는 기존에 탈세포화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되었던 방법들을 변형 혹은 재현해 보고, 이를 통해 치적의 탈세포화를 얻을 수 있는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돼지의 대동맥 및 폐동맥판막, 대동맥 및 폐동맥벽, 심낭을 탈세포화 세정제(detergents)에 대한 농도 및 배양시간, 온도조건, 용질에 대한 삼투압 등을 달리하고, 여러 탈세포화용액 및 그 조합을 통해 단일단계 및 여러 단계의 방법으로 배양하여 탈세포화를 시행하였다. 이렇게 탈세포화 실험을 마친 조직은 hematoxylin-eosin (H&E) 염색을 통해 탈세포화의 정도와 세포 외 기질의 보존 정도를 평가하였고, 일부탈세포화된 조직에서는 이종항원면역제거 정도를 파악하는 alpha-Gal 염색과 DAPI 염색을 동시 시행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Polyethylene glycol이나 peracetic acid를 이용한 방법에서는 탈세포화가 되지 않았다. 단일단계방법으로는 sodium deoxycholate (DOA), sodium dodesyl sulfate (SDS), Triton X-100, SDS와 Triton X-100을 섞은 용액에서, 다단계방법으로는 저장성 완충용액 ${\rightarrow}$ X-100 ${\rightarrow}$ SDS, DOA ${\rightarrow}$ 저장성 완충용액 ${\rightarrow}$ SDS, 저장성 완충용액 ${\rightarrow}$ SDS에서 탈세포화가 이루어 졌다. DOA는 다른 탈세포화 방법에 비해 세포 외 기질의 파괴가 심하였고, 특히 실험온도가 높아질 수록 세포 외 기질의 파괴가 더욱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종류, 양, 처리시간 및 세포 외 기질의 파괴 정도를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재현 가능한 탈세포화에 비교적 적합한 조합 및 조건은 단일단계방법으로 $4^{\circ}C$에서 SDS와 Triton X-100를 섞은 저장성용액에서 24시간 배양하는 방법과, 다단계방법으로 저장성 완충용액과 SDS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4^{\circ}C$에서 $6{\sim}8$시간 이상 저장성 완충용액에 처리한 후, 0.25% SDS가 섞인 저장성 완충용액에 16시간 배양 후 등장성 완충용액에 처리하는 방법이었다. 결론: $4^{\circ}C$에서 SDS 과 Triton X-100을 섞은 저장성 완충용액에서 24시간 배양하는 단일단계방법이나, 저장성완충용과 SDS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다단계 방법을 통해 세포 외 조직을 비교적 잘 보존하면서 적은 수의 탈세포화 용액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탈세포화를 얻을 수 있었다.

Use of Triton X-100 and Sephacryl S-500 HR for the Purification of Cymbidium Mosaic Virus from Orchid Plants

  • Han, Jung-Heon;La, Yong-Joon;Lee, Cheol-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34-37
    • /
    • 1999
  • Cymbidium mosaic virus (CyMV) was purified from CyMV infected orchid plant leaves by Sephacryl S-500 HR column chromatography. Partial purification was done by solubilization with Triton X-100 (alkylphenoxypolyethoxy ethanol) and precipitation with polyethylene glycol (PEG 6,000) followed by ultracentrifugation on 30% sucrose cushion. Based on the spectrophotometric analysis, 33 mg of CyMV could be obtained form 100 g of CyMV-infected orchid plant leaves. The purified CyMV represented one distinct homogeneous band by SDS-PAGE, and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at it was highly homogeneous and not fragmented. Bioassay demonstrated that the purified CyMV had a normal infectivity to Chenopodium amaranticolor and orchid pla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urification method in this work could be served as an improved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CyMV and similar viruses with good yield, high purity and native integrity.

  • PDF

Highly Selective and Simple Zero and First Order Derivative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Palladium by Using α-Benzilmonoxime in Triton X-100 Micellar Solution

  • Eskandari, Habibollah;Karkaragh, Gholamhassan Imanzadeh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12호
    • /
    • pp.1731-1736
    • /
    • 2003
  • The reaction of ${\alpha}$-Benzilmonoxime with palladium(II) produces a green complex in triton X-100 micellar media. Palladium has been determined using zero and first derivative spectrophotometric methods. The absorbances of Pd(II)- ${\alpha}$--benzilmonoxime complex at 441.8 and 677.0 nm in 0.10 M perchloric acid solution were monitored and linear working ranges of 0.3-12.0 and 0.7-20 ${\mu}$g mL$^{-1}$ with detection limits of 0.07 and 0.10 ${\mu}$g $mL^-1$ were obtained, respectively. Also, recoveries in the range of 92.8 to 100.1% and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in the range of 0.4 to 7.1% were obtained. First derivative spectrophotometry has also been applied for palladium determination under the optimum condition. The linear dynamic range of 0.2-24.0 ${\mu}$g $mL^{-1}$ palladium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of 0.6-6.9% and recoveries in the range of 94.9-102.5% has been obtained by first derivative spectrophotometry. The method shows high selectivity because of the high concentration of acid used, which prevents formation of complexes of ${\alpha}$--benzilmonoxime with the other cations. The palladium complex formed was stable at least one day. The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palladium in some synthetic palladium alloys and palladium-charcoal pow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