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tiated componen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핵융합 배가스 중 수소 회수를 위한 촉매반응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talyst Reaction for Hydrogen Recovery from Nuclear Fusion Exhaust Gas)

  • 정우찬;정필갑;김정원;문흥만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402-408
    • /
    • 2015
  • In D-T fusion reaction, $D_2$ (duterium) and $T_2$(tritium) are used as fuel gas. The exhaust gas of nuclear fusion includes hydrogen isotopes $Q_2$ (Q means H, D or T), tritiated components ($CQ_4$ and $Q_2O$), CO, $CO_2$, etc. All of hydrogen isotopes should be recovered before released to the atmospher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covery of hydrogen isotopes from $CQ_4$ and $Q_2O$. Two kind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talytic reaction characteristics of SMR (Steam Methane Reforming) and WGS (Water Gas Shift) reactions using Pt catalyst. First test was performed to convert $CH_4$ into $H_2$ using 6% $CH_4$, 6% CO/Ar feed gas. In the other test, 100% CO gas was used to convert $H_2O$ into $H_2$ at various reaction conditions (reaction temperature, S/C ratio, GHSV). As a result of the first test, $CH_4$ and CO conversion were 41.6%, 57.8% respectively at $600^{\circ}C$, S/C ratio 3, GHSV $2000hr^{-1}$. And CO conversion was 72% at $400^{\circ}C$, S/C ratio 0.95, GHSV $333hr^{-1}$ in the second test.

벼 세포적기에 미치는 염분 농도의 영향 (Effect of Salt on Mitotic Cycle in Root Meristem Cells of Rice)

  • 김재철;권성환;이진재;이영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97-404
    • /
    • 1992
  • 본 연구는 내염성이 비교적 강한 Japonica형 품종인 섬진벼와 내염성이 비교적 약한 통일형 품종인 칠성벼를 염분농도에 따른 세포주기를 측정하고 각 phase의 기간 변화도 조사하였으며, 또한 DNA, RNA 및 단백질 합성량를 제출하여 세포주기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섬진벼와 칠성벼의 세포주기는 염분농도 0%, 0.3% 및 0.6%에 서 12시간으로 동일하였다. 2. 세포주기로부터 측정된 각 phase 별 기간은 무처리구와 처리구에서 차이를 보였다. 섬진벼가 무처리구에서 G1=3.3, S=3.8, G2=2.8, 그리고 M=2.1 시간이었고, 0.3%에서 G1=3.5, S=3.6, G2=2.8, 그리고 M=2.1 시간이었으며, 0,6%에서 G1=3.5, S=3.6, G2=2.8, 그리고 M=2.1 시간으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G1 기간은 길어겼고, S 기간은 약간 짧아졌다. 칠성벼에서는 무처리구에서 G1=2.6, S=5.2, G2=2.3, 그리고 M=1.9 시간이었고, 0.3%에서 G1=2.5, S=6.2, G2=1.6 그리고 M=1.7 시간이었으며, 0.6%에서 G1=2.1, S=6.0, G2=2.0 그리고 M=1.9 시간으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처리구의 G1과 G2 기간은 짧아졌고 S 기간은 길어졌으며, 이는 섬진벼의 변화와 반대 성향을 보여 주었다. 3. 섬진벼에서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DNA와 RNA 합성은 감소한 반면, 단백질 합성은 증가하였으며, 칠성벼에서는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DNA와 단백질 합성은 증가하였으나, RNA 합성은 섬진벼와 같이 감소하였다.

  • PDF

벼 뿌리세포의 유사분열주기에 대한 배양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Mitotic Cycle of Rice Root Meristem Cells)

  • 김재철;이승준;권성환;곽성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5-72
    • /
    • 1990
  • 본 연구는 Japonica형 품종인 섬진벼와 통일형품종인 서광벼의 세포주기를 측정하고 온도의 하항에 따른 세포주기의 지연을 측정하여 품종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세포주기를 phase별로 기간을 측정하고 온도의 변화에 따른 각 phase 기간변화로 조사하였다. 아울러 DNA, RNA 및 protein 합성량도 측정하여 세포주기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는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섬진벼와 서광벼의 세포주기는 3$0^{\circ}C$에서 6시간, 2$0^{\circ}C$에서 12시간으로 동일하였으나 15$^{\circ}C$에서는 섬진벼 18시간, 서광벼 20시간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Japonica형 품종인 섬진벼가 통일형 품종인 서광벼에 비하여 냉해에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세포주기로부터 측정된 각 phase별 기간은 섬진벼가 2$0^{\circ}C$에서 $T_{G_1}$=2.0, $T_{s}$ =4.4, $T_{G_2}$=3.2 그리고 $T_{M}$=2.4 시간이었고, 3$0^{\circ}C$에서 $T_{G_1}$=1.8, $T_{s}$ =2.6, $T_{G_2}$=0.6 그리고 $T_{M}$=0.8 시간이었다. 서광벼에서는 2$0^{\circ}C$에서 $T_{G_1}$=3.0, $T_{s}$ =3.0, $T_{G_2}$=3.5 그리고 $T_{M}$=2.5시간이었고 3$0^{\circ}C$에서 $T_{G_1}$=1.5, $T_{s}$ =1.5, $T_{G_2}$=2.0 그리고 $T_{M}$=1.0시간이었다. 2$0^{\circ}C$에서 3$0^{\circ}C$로 배양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섬진벼에서는 2$0^{\circ}C$에 비하여 3$0^{\circ}C$에서 $G_1$기는 길어졌고 $G_2$기와 M기는 짧아졌다. 그러나 서광벼에서는 각 phase의 상대적 기간이 거의 일정한 비율이었다. 3. DNA, RNA 및 protein 합성은 온도가 하항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Effects of Ribosomal Protein L39-L on the Drug Resistance Mechanisms of Lung Cancer A549 Cells

  • Liu, Hong-Sheng;Tan, Wen-Bin;Yang, Ning;Yang, Yuan-Yuan;Cheng, Peng;Liu, Li-Juan;Wang, Wei-Jie;Zhu, Chang-Li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7호
    • /
    • pp.3093-3097
    • /
    • 2014
  • Background: Cancer is a major threat to the public health whether in developed or in developing countries. As the most common primary malignant tumor, the morbidity and mortality rate of lung cancer continues to rise in recent ten years worldwide. Chemotherapy is one of the main methods in the treatment of lung cancer, but this is hampered by chemotherapy drug resistance, especially MDR. As a component of the 60S large ribosomal subunit, ribosomal protein L39-L gene was reported to be expressed specifically in the human testis and human cancer samples of various tissue origins. Materials and Methods: Total RNA of cultured drug-resistant and susceptible A549 cells was isolated, and real time quantitative RT-PCR were used to indicate the transcribe difference between amycin resistant and susceptible strain of A549 cells. Viability assay were used to show the amycin resistance difference in RPL39-L transfected A549 cell line than control vector and null-transfected A549 cell line. Results: The ribosomal protein L39-L transcription level was 8.2 times higher in drug-resistant human lung cancer A549 cell line than in susceptible A549 cell line by quantitative RT-PCR analysis. The ribosomal protein L39-L transfected cells showed enhanced drug resistance compared to plasmid vector-transfected or null-transfected cells as determined by methyl tritiated thymidine (3H-TdR) incorporation.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The ribosomal protein L39-L gene may have effects on the drug resistance mechanism of lung cancer A549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