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뇌공등(雷公藤) 디클로메탄(CH$_2$Cl$_2$)분획의 항암효능 연구 (Study on the Antitumor Activity of Dichloromethane Extract of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박완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196-1199
    • /
    • 2006
  •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is distributed in Korea and Northern China. This extract has been used as a herb medicine, especially antiparasitic, anti-inflammatory and detoxifying agent in East asia. During our research to develop new antitumor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Dichlorornethane (CH$_2$Cl$_2$) extract of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DTR) showed the potent apoptotic effects in A-549 lung cancer, HeLa-3 cervical cancer, SKMEL-2 melanoma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order to purify major compounds from DTR, column chromatography was carried out gradually. Silica gel and RP-18 column chromatography for active fractions led to the isolation of a compound. The compound determined by 1 H-NMR was turned out to De Celastrol known to have antitumor activity.

미역줄나무의 항암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tumor Activity of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박완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41-445
    • /
    • 2005
  • Tripterygium regelii has been used as an oriental medicine, especially antiparasitic, anti-inflammatory and detoxifying agents in East asia. During our research to develop new antitumor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MeOH ext. and CH2Cl2 ext. of Tripterygium regelii showed the potent antitumor activity. In order to purify active compounds from Tripterygium regelii,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was carried out. Silica gel and RP-18 column chromatography for the active fraction led to the isolation of two compounds and their antitumor activities were studied. Those two compounds didn't show potent antitumor activity against human tumor cell lines. The structure of two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1H-NMR$, $^{13}C-NMR$, DEPT, $^1H-^{13}C$ COSY and IR spectrum. Compound I and Compound II were turned out to be Celastrol, and ${\beta}-sitosteryl-3-o-{\beta}-D-glucopyranoside$ respectively.

해발고도에 따른 백두대간 신갈나무군락 특성 연구 - 향로봉에서 깃대배기봉 구간을 대상으로 - (Analysis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in the Baekdudaegan Mountains by Elevation - Between Hyangnobong and Gitdaebaggybong -)

  • 정보광;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49-461
    • /
    • 2013
  • 본 연구는 백두대간 향로봉에서 깃대배기봉 구간에 있는 신갈나무군락을 대상으로 2개의 권역(I, II)으로 나누어 고도에 따른 군락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사는 신갈나무군락 총 63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 결과 총 5개 군락(A~E)으로 분류되었다. 군락의 지역적 분포는 A군락의 경우 해발고도 1,300m 이상의 태백산 일대에서(II권역) 주로 나타났으며 B, C군락은 해발고도 700~1,500m 사이의 설악산과 오대산 지역(I권역)에서 D, E군락은 1,100m 이하의 청옥산과 금대봉 지역(II권역)에 밀집해 있었으며 그 외 설악산과 오대산 지역(I권역)에서도 나타났다. 각 군락의 교목과 관목 개체수, 최대종다양도, 교목의 수고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차츰 낮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40년까지의 수목 생장량을 살펴본 결과 해발고도 1,100m 이하 지점까지는 특별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지만 1,100m 이상에서는 수목 생장량이 급격히 낮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연구대상지에 출현한 수종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고도 1,000m 이상에서는 거제수나무와 신갈나무가 -0.53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고도 1,000m 이하에서는 신갈나무와 산딸기가 0.59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고도에 따른 환경 변화가 신갈나무군락의 종조성, 개체수, 생장량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