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p pattern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초

취업자의 1일 통행수단선택 분석 및 모형의 시간이전성 검토 (Analysis of Travel Modal Choice and the Temporal Transferability for Workers)

  • 김대웅;배영석;이명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9-32
    • /
    • 1999
  • 본 연구는 도시 내에서 비교적 안정된 통행패턴을 이루고 있는 취업자를 대상으로 대구광역시 사람통행실태 자료(1988년, 1992년)를 이용하여 취업자가 1일에 행한 복수통행 간의 상관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명확히 규명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취업자의 교통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여 그 모형의 이전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취업자의 통행행태분석 결과, 통행패턴은 1일에 2통행의 피스톤형태로 비교적 단순하였으며, 교통수단선택패턴도 1일에 행한 복수통행 가운데 첫 번째 통행에서 이용한 수단을 최종 통행수단으로 이용하는 비율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통수단선택모형의 추정결과 채택된 설명변수의 추정계수 및 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한 값을 나타내어 본 모형의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끝으로, 구축된 모형의 적용성 검토로서 1988년과 1992년 모형의 시간적 이전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여러 지표들로부터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어 본 모형의 시간이전성은 충분하다고 판단되어진다.

  • PDF

화물자동차기반 대도시 화물수요모형 구축을 위한 화물자동차 통행특성 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Truck Movement for the Truck based Urban Freight Demand Model)

  • 한진석;박민철;성홍모;김형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07-118
    • /
    • 2012
  • 본 연구는 대도시 화물자동차의 화물통행수요 추정을 위한 목적으로 대도시 화물자동차의 통행수요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도시 화물자동차의 통행수요특성은 활동발생과 도착지선택, 그리고 통행사슬행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출발존의 서비스업 사업체수가 대도시 화물자동차의 활동발생과 도착지 선택에서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도착지 유형이 도소매업체이고, 운송품목이 음식료품의 경우 통행사슬 내 통행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향후 대도시 화물자동차 통행수요추정시 이러한 변수와 운송품목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교통카드 데이터를 이용한 대중교통 통행패턴 분석 : 강화군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Transit Ridership Pattern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 focusing on Ganghwa)

  • 이민우;한종학;이향숙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8-72
    • /
    • 2018
  • 강화군은 제4차 국토종합계획에 의해 기존의 농촌이미지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발전의 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러나 체계적인 대중교통 운영이 사실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제시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군의 일주일간 승객 교통카드 분석을 통해 강화군의 대중교통 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화군은 평일기준 약 7천1백 명의 승객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특히 금요일에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7~8시에 뚜렷한 오전 첨두가 형성이 되었고, 주로 학생들이 하교하는 16~17시에 오후 첨두가 나타나는 특징이 나타났다. 강화군의 사회경제지표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도서지역의 특성상 의료시설이나 인구, 학교용지 면적과 같이 주거단지나 상업단지가 밀집된 지역에서 많은 승하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강화군의 버스이용 패턴을 파악하여 향후 체계적인 대중교통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일 인구이동으로 본 국토공간의 도시체계 변화: 2005년과 2012년 (The Changes of Urban System Reflected in Daily Movement: 2005-2012)

  • 손승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03-216
    • /
    • 2015
  • 본 연구는 일일 인구이동에 의한 네트워크와 유동패턴을 통해 한국의 도시체계 변화를 고찰하였다. 일일 인구이동이 일상적인 통행패턴을 반영하므로, 도시간 연결관계에 의한 도시체계는 생활권의 관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2012년 들어 도시간 인구이동이 증가하면서, 도시 네트워크의 연결체계를 비롯하여 출발지와 도착지로 구성되는 통행권의 수가 모두 증가하였다. 통행량의 분산에도 불구하고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수도권과 부산을 중심으로 하는 부산권의 공간범위는 확대되었다. 서울지향형 고속교통망이 구축된 강원도에서는 춘천을 중심으로 하는 소양강문화권과 영동지방의 생활권 분리가 심화되었다. 교통망의 접근성이 양호한 대전과 그 주변지역을 아우르는 생활권은 경기남부까지 확대되었다. 전남에 형성된 기존의 생활권은 광주의 중심성이 약화되면서 목포와 순천을 중심으로 서부와 동부에서 분절되었다. 생활권은 거시적으로 광역 행정경계와 대체로 일치하였지만, 도 경계를 넘어 다른 광역단체의 시군과 통합되는 사례가 증가하였다. 서울과 그 주변 도시간의 상호작용이 강화된 것은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세계도시-지역의 발전 가능성을 높여준다.

  • PDF

광역 교통권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rea)

  • 박병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5-66
    • /
    • 1990
  • The research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of transportation areas in the metropolitan cities. The purpose is three-fold ; 1) to review the existing literature : 2) to analyze the commuting (work and school) pattern and interregional movement pattern of passengers and freights ; 3) to establish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rea based on the above analyses. The transportation area is defined by the analysis of trip pattern to the center city of each metropolitan area. The detailed indices for establishment are selected by the rank-size and time-distance analyses. For the operational purpose, the study defines 3 different transportation areas as follows : the first transportation area means the directly effecting region of the center city ; the second means the region with many reverse trips and development potentials ; and the third means the indirectly effecting reg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irst transportation area includes 10 cities and 5 counties in Seoul metropol tan region, Yangdsan-Gun, Kimhae-Gun and Kimhae-Si in Busan, Dalsung-Gun, Chilgok-Gun and Kyungsan-Gun in Daegu, Hwasung-Gun and Raju-Gun in Kwangju, and Daeduk-Gun in Daejun. These results could be expected to have many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rea-wide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decision-making bodies and others.

  • PDF

고속철도 차량의 경제 주행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An Economical Run for High Speed Train)

  • 황희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1-168
    • /
    • 1998
  • This paper presents an simulation methdology for determining an economical running pattern for a high speed train which minimizes energy consumption under an given trip time margin. The economical running pattern is defined with an economical maximum speed in traction phase, a speed at the end of coasting and a speed at the end of regenerative braking alone in braking phase. An economical run for subways is also described. As a case study, the simulation is carried out fer an economical run of high speed NamSeoul-Pusan line, and the results described. To do this, train performance simulation program is built and extended to be able to find an economical running pattern and then to simulate the defined economical run.

  • PDF

The fashion consumer purchase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through big data - Based on sequential pattern analysis -

  • Ki Yong Kwon
    • 복식문화연구
    • /
    • 제31권5호
    • /
    • pp.607-626
    • /
    • 2023
  • This study analyzes consumer fashion purchase patterns from a big data perspective. Transaction data from 1 million transactions at two Korean fashion brand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data, R, Python, the SPADE algorithm, and network analysis were used. Various consumer purchase patterns, including overall purchase patterns, seasonal purchase patterns, and age-specific purchase patterns, were analyzed. Overall pattern analysis found that a continuous purchase pattern was formed around the brands' popular items such as t-shirts and blouses. Network analysis also showed that t-shirts and blouses were highly centralized items. This suggests that there are items that make consumers loyal to a brand rather than the cachet of the brand name itself. These results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process of brand equity construction. Additionally, buying patterns varied by season, and more items were purchased in a single shopping trip during the spring season compared to other seasons. Consumer age also affected purchase patterns; findings showed an increase in purchasing the same item repeatedly as age increased. This likely reflects the difference in purchasing power according to age, and it suggests that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pur- chasing products simplifies as age increases. These findings offer insight for fashion companies' establishment of item-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TCS 자료를 이용한 강설과 고속도로 통행특성 관계 연구 (Analysis of Snowing Impacts on Freeway Trip Characteristics Using TCS Data)

  • 백승걸;정소영;이태경;원제무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68-79
    • /
    • 2010
  • 기상조건은 도로 및 운전조건을 열악하게 함으로써 교통사고와 정체의 원인이 되며, 운전자의 통행선택에 영향을 미쳐 기종점통행특성도 변화시킨다. 기종점 통행량은 교통계획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료이지만, 기상조건과 통행량과의 관련성을 검토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강설조건이 기종점간 통행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로, 1998년-2008년 기상자료와 TCS 통행량 자료를 이용하여 강설일과 비강설일의 차종별 일통행량, 평균통행거리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강설수준별 통행량 관계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강설일 대비 비강설일의 통행량은 감소하며, 통행거리도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강설시 주말/평일별 차종별로 통행특성의 차이가 있고, 강설수준에 따른 통행량의 차이도 있으나 그 정도는 크지 않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광주시 주부의 개인 속성과 일상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aily Activity of Housewives in Kwangju City)

  • 김송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7-228
    • /
    • 1997
  • 본 논문은 여성의 취업 선호 현상으로 인한 사회 참여가 높아짐으로서 나타나는 여성의 역할과 일상 행동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 광역시에 거주하는 주부 132명의 평일, 토요일, 일요일에 나타나는 일상 행동 궤적을 조사하고, 이를 개인 속성과 관련시켜 고찰하였다. 일상 행동은 하루의 노동 행동과 여가 행동 및 수면을 중심으로 7개의 범주로 세분하였으며, 개인 속성은 연령, 취업정도, 교육정도, 가족수, 주거형, 거주지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반적으로 개인 속성과 일상 행동의 관계는 취업 정도에 의해 평일과 토요일의 일상 행동에 대한 판별이 가능하였다. 둘째, 1주일의 일상 행동은 평일, 토요일, 일요일로 분류할 때, 토요일에 공간적 이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셋째, 개인 속성과 통행수의 관계에서는 토요일 전업 취업 주부일수록 4회 이상의 다목적 통행을 나타냈다. 넷째, 주기수와 통행수의 관계는 주기가 빈번해질수록 다목적 통행을 나타내나, 1회 주기가 대부분이며 평일에 두드러졌다. 다섯째, 개인 속성과 행동 패턴의 관계는 평일과 주말에 따라 다르나, 전반적으로 WH, LH, WLH LHLH 형을 나타냈다.

  • PDF

인천광역시 도서지역에서 번식하는 저어새(Platalea minor)의 육추 교대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Nest Attendance Patterns of Chick-rearing Black-faced Spoonbills (Platalea minor) in Incheon, South Korea)

  • 박종현;이기섭;권인기;정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2권1호
    • /
    • pp.89-95
    • /
    • 2020
  • Our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nest attendance of the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from 2015 to 2018 at two Islets located in Incheon, South Korea. We visited study sites in March-April and set up the remote sensor cameras at two breeding sites (Mae-do, Guji-do) to observe chick-rearing behavior. Mean nest bout length at Mae-do (female: 4.2 ± 0.1 hr, male: 4.0 ± 0.1 hr) was shorter than at Guji-do (female: 5.3 ± 0.2, male: 6.0 ± 0.3 hr), and trip duration at Mae-do (female: 4.4 ± 0.1 hr, male: 4.0 ± 0.1) was also shorter than at Guji-do (female: 7.0 ± 0.2 hr, male: 7.0 ± 0.3). Mean nest bout length and trip duration at both study sites decreased as chick rearing progressed. Males attended their nests during the daytime, and females attended their nests during the nighttime. Our results showed that females and males' duties were divided by the diel cycle, but the pattern of nest attendance could change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ir breeding sites during the chick-rearing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