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dentiger obscuru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검정망둑(Tridentiger)속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Goby, the Genus Tridentiger (Gobiidae, Pisces) from Korea)

  • 김익수;최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9-69
    • /
    • 1989
  • 1982년부터 1987년 사이에 우리나라 연안과 기수 및 담수에서 채집한 Tridentiger속 어류의 표본을 검토하여 이들을 새로운 검색표와 함께 재기재하고 본 조사에서 처음으로 밝혀진 1미기록종에 대해 기재하였다. 즉 한국산 Tridentiger속에는 T. trigenocephalus, T. obscurus, T. nudicervicus T. brevispinis가 출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T. trigenocephalus는 동해안과 남해안의 연안과 기수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였고 T. nudicervicus는 전북 옥구군 미성읍과 금강하구에서만 출현하였다. 형태적으로 T. obscurus와 아주 유사하여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T. obscurus와 동일종으로 여겨졌던 T. brevispinis는 논산, 부안, 삼척(담수), 아산, 영덕 등의 담수에서 출현하였고, T. obscurus는 제주도 (서귀포, 중문), 삼척(맹방해수욕장 부근), 보길도 등의 기수에서 출현하였다. 또한 T. brevispinis는 체장에 대한 백분비로서 제1등지느러미 제3기조의 길이가 암컷은 14.4-24.7, 수컷은 16.1-32.0이고, 새비수가 8-11인 반면, T obscurus는 체장에 대한 백분비로서 제 1등지느러미 제3기조 길이가 암컷은 15.4-33.0, 수컷은 24.4-43.8이고 새파수가 11-14개라는 점에서 2종은 잘 구분되었다.

  • PDF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 of Trident Goby, Tridentiger obscurus

  • Hwang, Seon-Yeong;Park, Jae-Min;Lee, Sung-Hun;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3호
    • /
    • pp.205-212
    • /
    • 2018
  •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larval skeleton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trident goby, Tridentiger obscurus belonging to the larvae and juveniles and use it as the basic data of the taxonomic study. 8 days after hatching, the parasphenoid was ossified with an average total length of 3.62 mm, and basioccipital began to ossify. Caudal vertebrae and neural spine ossified in vertebra. 17 days after hatching, the average total length of the long hairs was 4.32 mm, pterotic and epiotic were ossified, and interhyal and subopercle were ossified. 52 days after hatching, the average total length of the juvenile was 18.2 mm, and lateral ethmoid, hypohyal ossified, vertebrae were parapophysis, and epural bone was osseous to the bone.

한국산 검정망둑(Tridentiger obscurus)과 민물검정망둑(T.brevispinis)의 분류학적 고찰

  • 김종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3호
    • /
    • pp.359-377
    • /
    • 1995
  • 전국에서 채집된 검정망둑과 민물검정망둑의 지리적 변이를 조사한 결과 두 종은 반문형태상 뚜렷한 차이가 있었고 유전자 분석결과에서도 두 종은 3개의 유전적 표식인자 (Me-1, Gp-4, Aco)를 가지는 별개의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유전적 근연치는 S=0.813 , 유전적 차이치는 D=0.192로 종 수준 이하의 유전적 분화를 보였으며두 종의 동서하천에서 미세분포 상황 및 생식적 격리 수준을 조사한 결과, 두 종은 서식처 분리가 ENfut하여 검정망둑은 주로 염수역에, 민물검정망둑은 주로 담수역에 분포하며 이들 사이에 유\ulcorner 교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서식처 분리가 깨진 여천 방죽천 집단의 경우, 두 종간에는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며 F2 이상의 잡종개체를 포함하여 높은 비율(25.6%) 의 자연잡종이 발생되는 것으로 보다 두종은 교배전 격리기작 (prmatign isolating mechanism) 이 불완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F-statistics 분석결과 $F_{IS}$(inbredding coefficient) 값은 두 종간에 자유교배가 일어나지 않음을 보여 검정망둑과 민물검정망둑은 현재 아종에서 종으로 분화중에 있는 반종(semispecies)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학명은 T.obscurus obscurus(검정망둑)와 T.obscurus brevispinis (민물검정망둑)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한국산 말뚝망둥어 Periopthalmus cantonensis(농어목:망둑어과)의 골학적 연구 (Osteological Study of the Mudhopper, Periopthalmus cantonensis (Perciformes, Gobiidae) from Korea)

  • 이충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2-410
    • /
    • 1990
  • 한국산 P. cantonensis의 골격 특징을 조사하기 위하여 같은 망둑어과 어류에 해당되는 Tridentiger obscurus, Synechogobius hasta 및 Odontogobius platycephala등의 골격들과 비교 검토한 결과, 새조골이 5개이고, 상미축골이 2개이며, hypomeral이 존재하는 점은 서로 일치하였으나, 뇌두개를 구성하는 골격들이 융합되었고, 익상골이 사각형이면서 방형골과 떨어져 있으며, 3개의 사출골은 융합하고, hypomeral이 늑골에 100% 부착하며, 준하미축골이 매우 퇴축되었으며, 또 치골과 관절골 사이의 관절이 잘 움직이고, 훙대와 요대의 관절과 이들의 지느러미 기부에 근육이 발달된 점 등으로 본 P. cantonensis에서만 독특하게 나타나고 있어 본 종은 망둑어과 어류 중에서도 계통분류학적으로 매우 특이한 분류군으로 사료되었다.

  • PDF

Estrogenicity of 4-nonylphenol and diethylstilbestrol on in vitro oocyte maturation of the dusky tripletooth goby, Tridentiger obscurus

  • Hwang, In-Joon;Kim, Hyun-Woo;Kim, Jin-Koo;Lee, Young-Don;Baek, Hea-Ja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4권3호
    • /
    • pp.161-167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strogenicity of 4-nonylphenol (NP) and diethylstilbestrol (DES) in vitro during oocyte maturation in the marine fish, Tridentiger obscurus, using steroid hormone assays and GVBD assay. Vitellogenic (0.53mm diameter) and fully vitellogenic (0.75mm diameter) oocytes were in vitro exposed to NP (0.045 453.82 nM and DES (0.037 372.62 nM). In vitellogenic oocytes, 45.38 and 453.82nM NP and 3.73 372.62nM DES increas the estradiol-$17{\beta}$ (E2)/testosterone (T) ratio. In fully vitellogenic oocytes, 0.45, 45.38 and 453.82nM NP and 3.73nM DES increased E2/T. In the GVBD assay, 0.45 and 4.54nM NP and 0.037, 3.73 and 37.26nM DES inhibited GVBD. These results suggest that NP and DES have estrogen-agonistic effects in oocyte maturation in T. obscurus. In addition, NP and DES have different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oocyte developmental stage, and the estrogenagonistic effects of DES were greater than were those of NP.

검정망둑(Tridentiger obscurus)의 초기 생활사 (Early Life History of the Tridentiger obscurus(Pisces, Gobiidae))

  • 황선영;이원교;윤성민;김춘철;이성훈;서원일;노성삼;한경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1호
    • /
    • pp.47-54
    • /
    • 2006
  • 이 연구는 2003년 4월부터 7월까지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하동마을과 오천동 주변 하구역에서 검정망둑 어미를 채집하여 실험실에서 사육하면서 산란 습성, 난 발생 과정 및 자치어 형태 발달을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전구 모양으로 난황은 무색이었으며, 알의 장경은 $0.86{\sim}1.07mm$, 단경은 $0.53{\sim}0.74mm$였다. 난막의 기부에는 많은 부착사가 있어서 부착하는 분리 부착란으로 여러 개의 작은 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부화는 수온 $18.4{\sim}23.2^{\circ}C$(평균 $21.2^{\circ}C$)에서 수정 후 154시간 40분에 시작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이 $2.72{\sim}2.87mm$(평균 2.83mm)로 난황이 거의 흡수되었고, 입과 항문은 열려 있었다. 부화 후 21일째 후기 자어는 전장이 $5.32{\sim}7.23mm$(평균 6.02mm)로 꼬리 끝부분 척색이 $45^{\circ}$로 완전하게 굽어져 있었다. 부화 후 45일째 개체의 전장은 $11.62{\sim}14.32mm$(평균 13.45mm)로 모든 지느러미 가시와 줄기가 정수에 달하여 치어 단계로 이행하였다.

  • PDF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Dusky Tripletooth Goby Tridentiger obscurus in Jeju Island, Korea)

  • 진영석;박창범;김한준;이치훈;송영보;김병호;이영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4-192
    • /
    • 2006
  • 제주연안에 서식하는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의 생식주기를 조사하기위해 기수지역에서 2004년 5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총 408마리, 조수웅덩이에서 2004년 7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총 271마리를 채집하였다. 기수지역의 수온은 $11.0{\sim}21.6^{\circ}C$이었다. 조수웅덩이의 수온은 2004년 7~8월에 $30.1{\sim}29.2^{\circ}C$의 범위였으나, 2005년의 수온변화는 기수지역과 유사하여 $11.1{\sim}24.5^{\circ}C$로 조사되었다. 기수지역 암컷의 GSI는 4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5~8월에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기수지역 검정망둑의 생식주기는 미성숙기 (11~5월), 성숙기 (3~9월), 완숙 및 산란기 (5~9월), 퇴행기 (7~12월)로 조사되었다. 조수웅덩이 암컷의 GSI도 4월에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5년 7월까지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고수온 시기인 2004년 7월에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검정망둑의 생식주기는 미성숙기 (8~4월), 성숙기 (3~8월), 완숙 및 산란기 (3~7월), 퇴행기(2004년 7~8월, 2005년 8월)로 조사되었다. 기수지역과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검정망둑의 포란수는 각각 1,214~12,109와 2,427~13,892의 범위였고 포란수는 조수웅덩이가 기수지역보다 높았다 (P<0.05). 그리고 두 지역 모두 전장과 체중이 증가할수록 포란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기수지역에서 전장 111 mm 이상인 개체들은 산란시기에만 관찰된 반면 조수웅덩이에서는 2004년 10월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기수지역과 조수웅덩이에서 이러한 개체들의 출현빈도는 각각 0~12%와 11.4~57.9%이었다. 이들 결과로 보아, 검정망둑의 난소 발달은 수온 및 일장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고군산군도 연안 어류상 (The Fish Fauna of the Kokunsan Island, Korea)

  • 김익수;이완옥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52
    • /
    • 1993
  • 1989년부터 1993년까지 고군산군도의 어류상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12목 50과 81속 102종을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중에 많은 개체가 채집된 종은 밴댕이 Herengula zunasi, 멸치 Engraulis japonica, 민태 Johnius grypotus, 흰베도라치 Pholis fangi, 꽃돛양태 Repomucenus ornatipinnis, 별망둑 Chasmichthys gulosus,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과 참서대 Cynoglossus joyneri의 8종이었다. 채집된 12목 어류중에 농어목, 횟대목 그리고 가자미목의 3개 목에 포함된 어류가 약 7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과별로는 망둑어과가 12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채집된 어류중에 흰베도라치 Pholis fangi, 꽃돛양태 Repomucenus ornatipinnis, 참돛양태 Repomucenus koreanus, 황점복 Takifugu flavidus, 황복 Takifugu obscurus 등 5종은 황해에만 출현하는 고유종들이다. 본 조사 지역에서 15개체가 채집된 Sebastes sp.는 Sebastes hubbsi 그리고 Sebastes longispinnis와 유사하지만 등지느러미 기조수, 측선공수, 새파수와 체색에서 한국에 출현하는 Sebastes속 어류 어느 종과도 달라서 분류학적으로 주목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