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초

발살바동맥류 파열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Ruptured Aneurysm of Sinus of Vasalva)

  • 김정택;장병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607-612
    • /
    • 1997
  • 저자들은 1964년부터 1994년까지 발살바동 동맥류파열로 진단받고 수술받은 53례를 분석하고 추적조사 하였다. 파열된 발살바동은 우관상 발살바동이 43례(81%)로 가장 많았고 무관상 발살바동이 7례(13%), 다발성이 2례있었다. 우관상동에서 발생한 파열은 대부분 우심실로 유출되었고(81.4%), 무관상 발살바동에서 발생한 것은 대부분 우심방으로 유출되었다(71.4%). 수술방법으로는 대동맥과 유출된 심장챔버 양측을 절 개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고 41례(77%)에서는 직접봉합을 12례(23%)에서는 청포를 이용하여 봉합하였다. 대동맥판막부전은 26례(49%)에서 동반되었는데 14례에서는 대동맥판 성형술을 10례에서는 대동맥판 치환수술을 하였다. 대동맥판 성형술을 한 14례에서 9년동안 대동맥판쇄부전이 발생하지 않을 빈도는 55%였다. 수술사망은 없었으며 2례에서 만기사망이 발생하여 10년 생존률은 95%였다. 15례에서 만기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대동맥판 부전이 5례, 조직판막의 구조적실패가 3례, 발살바동의 재파열이 2례였다. 10년동안 만기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을 확률은 53%로 비교적 높았고 심내막염 동반이 위험인자로 작용하였다. 결론적 으로 발 移姆옰커\ulcorner\ulcorner외과적 치료는 만족할 만한 단기 및 장기생존율을 보였으나 대동맥판부전 또는 심내 막염과 관련된 경우 만기 합병증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동맥판부전이나 심내막염이 동반되었을 때에는 좀 더 세심한 관찰이 요망된다고 생각된다.

  • PDF

다빈치 수술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 20예 보고 - 단일 기관 보고 - (The First 20 Cases of Cardiac Surgery Using the da $Vinci^{TM}$ Surgical System: A Single Center Experience)

  • 제형곤;이용직;정성호;정재승;강필제;주석중;송현;정철현;이재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423-429
    • /
    • 2008
  • 배경: 최근 수술 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임상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2007년 8월부터 저자들에 의해 시행된 다빈치 수술 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의 조기 임상 경험을 보고하고, 로봇 심장수술 실현성 및 안정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8월부터 12월까지 총 20명의 환자에게 다빈치 수술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을 시행하였다. 승모판막 질환(n=11), 삼첨판막 질환(n=1), 심방중격결손증(n=1)의 수술시에는 우측 대퇴 동정맥 및 우측 내경정맥을 이용한 말초 삽관 후 체외 순환을 시행하였고, 전방성 심정지액 투입 및 흘곽의 늑간을 통한 대동맥 겸자를 시행한 후 개심술을 시행하였다. 7명의 환자에서 최소 침습적 관상동맥 우회술(MIDCAB)을 시행하기 위하여 다빈치 수술로봇을 이용하여 좌측 혹은 양측 내흉동맥을 박리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나이는 $50.1{\pm}15.1$세($26{\sim}78$)였으며, 11예의 승모판막 성형술시 3예의 Maze 수술 및 1예의 삼첨판막 성형술이 동반되었다. 평균 체외순환시간은 $208.0{\pm}61.3$분, 평균대동맥 차단시간은 $158.8{\pm}40.6$분이었다. 승모판막 성형술 후 2도를 초과하는 잔존하는 승모판막 역류는 없었으며 수술 후 재원 기간의 중간값은 4일이었다. 다빈치 수술로봇을 이용한 내흉동맥의 박리는 6명의 환자에서 좌측 내흉동맥을 박리하였고, 1명의 환자에서 양측 내흉동맥을 박리하였으며 평균 내흉동맥 박리 시간은 $43.2{\pm}12.0$분이었다. 박리된 내흉동맥은 양호한 혈류를 보였으며, 좌전 개흉술 후 직접시하에서 문합을 시행하였다. MIDCAB으로 시행한 문합의 개통률은 100% (18/18)였다. 결론: 다빈치 수술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은 승모판막 성형술, 삼첨판막 성형술, 심방중격 결손의 교정 및 관상동맥 우회술을 위한 내흉동맥의 박리 등에서 다양하게 적용되었으며, 비교적 안전하고 만족할만한 조기성적을 보였다. 본 연구를 계기로 국내에서도 다빈치 수술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의 임상적용 및 임상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것을 기대한다.

대동맥폐동맥창 (Aortopulmonary Window)

  • 김동진;민선경;김웅한;이정상;김용진;이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4호
    • /
    • pp.275-280
    • /
    • 2006
  • 배경: 대동맥폐동맥창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동반 심기형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다. 좌우 단락에 의한 과다한 폐 혈류량으로 조기 교정이 필수이나, 정확한 진단과 수술적 교정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20년간의 경험한 대동맥폐동맥창을 정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3월부터 2005년 1월까지 16명(남 10, 여 6)의 환자가 대동맥폐동맥창으로 진단되어 수술적 교정을 시행하였고,수술당시 평균연령은 $157.8{\pm}245.3$ ($15.0{\sim}994.0$)일이었고, 평균 체중은 $4.8{\pm}±2.5$ ($1.7{\sim}10.7$) kg이었다. 동반 심기형은 동맥관개존증(8예), 심방중격결손증(7예), 대동맥궁단절증(5예), 심실중격결손증(4예), 난원공(3예), 삼첨판막역류증(3예), 승모판역류증(2예), 대동맥판역류증(1예), 대동맥축착증(1예), 좌측상대정맥(1예), 우심증(1예)이었다. 수술 방법은 대동맥폐동맥창의 분리 절단 후 대동맥 부위를 일차 봉합 또는 첩포 봉합하고 폐동맥 부위를 일차 봉합 또는 첩포 봉합하거나(11예), 대동맥폐동맥창의 분리 절단 없이 동맥 내에서 첩포 봉합술을 하거나(3예), 대동맥궁단절 및 대동맥축착을 동반한 환자에서 하대동맥을 직접 대동맥 창에 봉합하였다. (2예). 결과: 사망한 경우가 1예 있었다. 환자는 기관지 분지부에서 상방 2.5 cm정도 심한 협착과 기관유래기관지가 우상엽과 연결되어 있었던 경우로, 기관성형술(sliding tracheoplasty)시행 후 과다 출혈로 술 후 5일째 사망하였다. 복잡 대동맥폐동맥창 환자의 입원 기간 및 중환자실 체류 기간이 더 길었으며, 재수술(5예)과 합병증의 빈도도 더 높았다. 재수술은 좌폐동맥 협착(4예), 우폐동맥 협착(2예), 주폐동맥 협착(1예) 등이 원인이었다. 평균 추적 기간은 $6.8{\pm}5.6$ (57.0일$\sim$16.7년)년이었고, 생존 환자의 추적 기간 동안 NYHA 기능분류는 모두 I이었다. 결론: 연구자 등은 대동맥폐동맥창으로 진단된 16명의 환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기 수술로 술 후 양호한 결과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동반 심기형의 적절한 수술적 교정이 만기 예후를 좌우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술 후 재협착의 빈도를 줄이기 위한 수술 전략의 재고가 요구된다.

대혈관전위증에서 Senning수술후 합병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Complications after Senning Operation for TGA with and Wothout VSD)

  • 안재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8호
    • /
    • pp.595-603
    • /
    • 1993
  • We analysed 60 consecutive patients who got Senning operation for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TGA] with or without ventricular septal defects [VSD]. There were 41 simple TGA [group I] and 19 TGA with VSD [Group II], the operative mortality was 20 % [in group I 4.9 %, group II 52.6 %]. Among the survivors [n=48],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7 years [range, 1 year to 13.5 years] and the actuarial survival rate at 13 years were 95 % in group I and 42 % in group II. Preoperative high left ventricular pressure and high pulmonary arterial pressure affected the surviving [p<0.01]. There occurred various type of arrhythmia like junctional rhythm, first degree atrioventricular [AV] block, sick sinus syndrome and complete AV block, and we inserted 2 permanent pacemakers for these patients. The incidence of arrhythmia were 28.2 % [11/39] in group I and 55.6 % [5/9] in group II, and the actuarial freedom from arrhythmia at 13 years after operation was 66 % [71 % in group I, 44 % in group II]. Increased aortic cross clamping time had affected the development of arrhythmia [p<0.05] which meant the complexity of the operation. The total incidence of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 [LVOTO] was 31.3 % [15/48], but only 3 patients [6.25 %] showed the significant gradient requiring reoperation. The pulmonary venous pathway obstruction [PVO] were found in 3 patients, all in group I, and among them only one required the reoperation. The estimated freedom from PVO was 89 % at 13 years [87 % in group I, 100 % in group II], but we couldn`t find any significant systemic venous obstruction in our series. There occurred 27.1 % [13/48] mild degree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 without necessary surgical correction. We experienced 14.6 % [7/48] reoperation rate: 3 residual VSD, 3 LVOTO, 1 PVO, 3 atrial baffle leakage. For this high incidence of complication rate after Senning operation and high mortality in TGA with VSD, We do not use this kind of surgical modality any more and do the Jatene operation for all the TGA patients since several years ago.

  • PDF

총폐정맥 환류 이상증에 대한 술후 장기성적 검토 (Long-term Results Following Surgical Repair of Tot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Return)

  • 원태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6호
    • /
    • pp.565-570
    • /
    • 1995
  • Seventy-three patients with isolated tot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connection the patients associated with other major cardiac anomalies such as single ventricle, DORV[Double Outlet Right Ventricle and large VSD[Ventricular Septal Defect were excluded were underwent surgical repair from January 1980 through October 1993. There were 45 boys and 28 girls. The mean age at operation was 19.9 months[range 6 days to 24 years and mean body weight was 7.1kg[range 2.6kg to 45kg . The anomalous locations of connection were supracardiac in 38, cardiac in 21, infracardiac in 5, and mixed in 9. In 38 patients[52% , the venous drainage was obstructed. The obstruction ratio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ype were as follows: 53%[28/38 in supracardiac, 52%[11/21 in cardiac, 100%[5/5 in infracardiac, 22%[2/9 in mixed type. The associated cardiac anomalies were persistent left SVC[2 ,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3 , cor triatriatum[1 , and mitral cleft[1 . And associated noncardiac anomalies were imperforate anus[1 and Neil Weightman syndrome[1 . The operative mortality was 23%. The causes of death were pulmonary hypertensive crisis, perioperative myocardial failure, pneumonia with sepsis, arrhythmia and etc.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postoperative mortality were the pulmonary venous obstruction and age [p<0.01 . The operative mortality was high in groups of age under 1 month and pulmonary venous obstruction. The mean follow-up was 27.1 months. There were two late deaths. The first patient was three months old boy with supracardiac type and severe obstructive symptoms. The postoperative echocardiography was showed anastomotic stenosis and reoperations were performed twice but the patients expired due to pneumonia and sepsis. The second patient was three month old boy with supracardiac type and total correction was done and was doing well postoperatively. Eight years later, he expired suddenly due to arrhythmia. But all the other patients were in NYHA Fc I and received no medications. The 5-year survival rate excluding early expired patients is 97.1 $\pm$ 0.03 %. In conclusion, although the operative mortality of tot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connection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major cardiac anomalies, we could expect excellent long-term results by early surgical correction.

  • PDF

Cardiovascular beriberi: rare cause of reversible pulmonary hypertension

  • Song, Joon Hyuk;Cheon, Sang Soo;Bae, Myung Hwan;Lee, Jang Hoon;Yang, Dong Heon;Park, Hun Sik;Cho, Yongkeun;Chae, Shung Chull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1권1호
    • /
    • pp.38-42
    • /
    • 2014
  • Cardiovascular beriberi is caused by thiamine deficiency and usually presents as high cardiac output failure associated with predominantly right-sided heart failure and rapid recovery after treatment with thiamine. Because of its rarity in developed countries, the diagnosis can often be delayed and missed.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cardiovascular beriberi with pulmonary hypertension which successfully treated with thiamine infusion. A 50-year-old man with chronic heavy alcoholics was refered to our department for dyspnea with mental change. Echocardiography showed marked right ventricular (RV) dilatation and flattening of the interventricular septum with a D-shaped deformation of the left ventricle. Moderate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 was found and estimated RV systolic pressure was 52 mm Hg. Because of his confused mentality and history of chronic alcohol intake, neurological disorder due to thiamine deficiency was suspected and intravenous thiamine was administered and he continuously received a daily dose of 100 mg of thiamine. Follow up echocardiography showed marked reduction of RV dilatation and improvement of a D-shaped deformation of the left ventricle. He finally diagnosed as cardiovascular beriberi on the basis of dramatic response to intravenous thiamine. Thiamine deficiency can cause reversible pulmonary hypertension, and can still be encountered in the clinical setting. Thus high index of suspicion is critically needed for diagnosis.

심장내 점액종의 외과적 치료;15년 임상경험 (Surgical Excision of Intracardiac Myxoma : A 15-Year Experience)

  • 송현;백완기;안혁;채헌;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2호
    • /
    • pp.176-182
    • /
    • 1992
  • From April 1977 to March 1991, 44 patients have undergone excision of intracardiac myx-omas, 36 cases were located in the left atrium[81.6%], 3 cases in the right atrium[6.6%], 2 cases in the right ventricle[4.5%], 3 cases in the left ventricle[6.6%], There were 32 female and 12 male.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39.6$\pm$12.3 years[ranged 11 to 67 years]. The major preoperative symptoms included exertional dyspnea in 35[79.6%], palpitation in 23[52.3%], syncopal episodes in 9[20.4%], and signs of systemic illness; low-grade fever, weight loss, arthralgia, headache and so on. The diagnosis was made by echocardiography alone in 7[15.9%], and by combination of angiography and echocardiography in 37[84.1%]. The weight of the tumor ranged from 15 to 115gm[mean weight, 47.6$\pm$27.6gm], and the volum of the tumor was 129.1cm3[$\pm$149.0]. Follow-up time ranged from 0.6 to 9 years[mean follow-up, 65$\pm$3.22 years]. There were no early and late deaths during the follow-up period. Tumor recurred in one patient with left atrial myxoma 8 years later, who underwent successful reoperati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12 patients: episodes of sup-raventricular arrhythmia in 7, convulsion in 2, wound problem in 2,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 in 1, massive bleeding in 1, and intubation granuloma in one. In conclusion, surgical excision of the myxoma can be considered curative with excellent long-term result.

  • PDF

큰 두위를 주소로 내원하여 헌터 증후군으로 일찍 진단된 증례 1례 (A Case of Early Diagnosed Hunter Syndrome Detected by Large Head on Routine Examination)

  • 이승호;박우성;이영석;유지숙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6-162
    • /
    • 2014
  • A 25-month-old boy was referred to the hospital due to large head detected on routine physical examination. At visit, dysmorphic facial appearances, including broad nose, prominent forehead, and coarse face, were noted. Nasal obstruction with nasal voice, prominent adenoids, and bilateral middle ear effusions were detected. His abdomen was distended, and liver and spleen were palpated about 3 finger and 2 finger breadths, respectively. He was operated for bilateral inguinal hernias. The motion of both elbow joints was mildly limited on supination and pronation. Urinary level of glycosaminoglycan was elevated and the enzyme activity of iduronate sulfatase in leukocytes was decreased. The mutational analysis of the gene iduronate 2-sulfatase (IDS) revealed c.263G>A (p.Arg88His) mutation. His developmental scale showed delayed development and there was cardiac valvular involvement (tricuspid regurgitation and mitral valve prolapse). After the diagnosis of Hunter syndrome, enzyme replacement therapy started on a weekly basis without progression of any clinical features. Here we report a case of early diagnosed Hunter syndrome detected by large head on routine examination. Thus, it is important to associate Hunter syndrome in the patient with large head especially, if there is the history of bilateral inguinal hernia and prominent adenoid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흉강경하 최소절개를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폐쇄 (Closure of Atrial Septal Defects through a Video-assisted Mini-thoracotomy)

  • 민호기;양지혁;전태국;박표원;최선우;박승우;민선경;이재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68-572
    • /
    • 2008
  • 배경: 이미 여러 외과 영역에서 내시경수술이 보편화 되었고, 심장외과 영역에서도 그간 무펌프 관상 동맥우회술이나, 최소절개 또는 변형된 흉골절개 등을 이용한 최소침습수술이 꾸준히 시도되어 왔다. 하지만, 시야확보 및 체외순환을 위한 흉골절개의 필요성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 둔감했던 것이 사실이다. 최근 로봇을 이용한 내시경 심장수술이 도입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저자는 기존의 흉강경을 이용하여 심방중격결손의 폐쇄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8년 2월까지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강경을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를 시행하였다. 수술 시 평균 연령은 $31{\pm}6$세였고 이들 중 2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자였다. 술전 심초음파상 심방중격결손의 평균 크기는 $24{\pm}5mm$였고, 삼첨판을 통한 압력차는 $30{\pm}5$ mmHg로 측정되었다. 삼첨판 페쇄부전은 3명에서는 경-중도였고 나머지에서는 경도 이하였으며, 1명에서 경-중도의 승모판폐쇄부전이 동반되었다. 수술은 우측 내경정맥과 대퇴동-정맥으로 캐뉼라를 삽관하여 체외순환을 시행하고, 유방하구를 따라 $4{\sim}5cm$의 소절개를 한 뒤 제4늑간을 통한 작업창과 흉강경으로 시야를 확보하며 심내교정을 시행하였다.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는 11명에서는 자가심낭을 이용하였고 4명에서는 일차봉합하였다. 관련 술기로는 3예의 삼첨판 성형술과 1예의 승모판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체외순환시간은 $160{\pm}47$분, 대동맥차단시간은 $70{\pm}26$분이었다. 결과: 술 후 사망 또는 주요합병증은 없었다. 3예에서 수혈이 필요하였고, 흉관제거 후 기흉이 관찰된 1예와 창상치유가 지연되었던 1예, 일시적인 부정맥의 1예 외에 별다른 합병증 없이 술 후 $5.9{\pm}1.8$일째 퇴원하였다. 술 후 시행한 심초음파 상 잔여 단락은 없었으며, 삼첨판폐쇄부전은 전예에서 경도 이하였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0.7{\pm}6.4$개월이었고 3명의 환자가 마지막 외래 방문 시 우측 가슴이나 대퇴부 안쪽의 감각이상을 호소하였으나 그 외 이상소견은 없었다. 결론: 저자들은 기존의 흉강경 장비를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로 술 후 만족할만한 임상적, 미용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술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완전히 폐쇄된 공간 안에서의 수술이 아니고 작으나마 개흉이 필요하므로 향후 경험과 장비 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소아 환자에서 Ross 수술 성적 보고: 아산병원 10년 경험 (The Ross Procedure in Pediatric Patients: 10 Years Experience at the Asan Medical Center)

  • 김희중;서동만;윤태진;박정준;박인숙;김영휘;고재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05-310
    • /
    • 2009
  • 배경: Ross 수술은 대동맥 질환을 가진 소아 환자에서 좋은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보고가 드물다. 이 연구는 소아에서의 Ross수술에 관하여 아산병원의 10년 동안의 중기 성적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3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16세 이하인 18명의 환자가 Ross 수술을 시행 받았다. 남자 환자는 11명, 여자 환자는 7명이었다. 환자의 중위수 나이는 8.5세 ($0.5\sim14$세)였다. 대동맥 판막 병태생리는 대동맥 부전증이 6예, 대동맥 협착증이 4예, 대동맥 협착부전증이 7례 그리고 감염성 심내막염이 1예였다. 판막 형태는 이첨판이 11예, 삼첨판이 7예였다. 모든 환자의 수술은 근부 치환술로 시행하였다. 폐동맥 판막은 심막으로 만든 단엽판막 팻취를 사용한 1예를 제외하고, 모두 동종이식 판막으로 대치되었다. 추적 관찰의 평균 기간은 52.8개월이었다($5.8\sim138.2$개월), 심장 초음파 자료를 검토하여 자가이식 판막 부전, 동종 이식 판막 부전, 그리고 재수술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추적 관찰 기간중 병원 내 사망과 후기 사망은 없었다. 2예에서 자가이식 판막 부전이 2등급이었고, 4예에서 자가이식 판막 부전이 1등급이었으며 나머지 경우는 역류가 없거나 근소하였다. 폐동맥 위치 도관에 의한 재수술이 3명에서 4회 있었다. 5년 재수술이 없는 생존률은 72.2%였다. 연속적인 경과 관찰에서, 대동맥륜(aortic annulaus)과 대동맥굴(aortic sinus)의 z-value는 수술 전 $1.6{\pm}1.7/0.9{\pm}1.7$에서 마지막 검사에서 $1.8{\pm}1.6$ (p=0.64)/$2.2{\pm}0.9$ (p=0.01)로 변화되었다. 신대동맥 근부의 성장과 신대동맥 부전의 의미 있는 연관성은 없었다. 결론: 소아 환자에서 Ross수술의 중기 결과는 좋은 자가이식판막의 기능과 성장 잠재력을 보여줬다. 그러나, 동종 이식 판막의 기능 부전으로 인한 재수술은 주요 문제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