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choderma sp.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31초

목이버섯 배지 오염 곰팡이균의 분리, 동정 및 생물학적 방제제 선발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mpetitive Fungi on Medium for Black Wood Ear Mushroom in Korea and In Vitro Selection of Potential Biocontrol Agents)

  • 김서연;조미주;안선민;박지윤;박지원;홍성국;김지우;차주훈;노유진;김다솜;전미진;지원재;박숙영
    • 식물병연구
    • /
    • 제30권1호
    • /
    • pp.66-77
    • /
    • 2024
  • 목이버섯(A. auricula-judae)은 중국, 일본, 한국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버섯이다. 인공 배지에서 목이버섯을 재배할 경우 자연적으로 나무에서 키울 때보다 시간과 비용 면에서 더 효율적이다. 그러나 배지 재배의 경우 빠르게 자라는 곰팡이에 감염할 경우 성장이 느린 목이버섯이 배지 경쟁에서 밀려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장흥과 순천에서 목이버섯 재배용 배지에 감염한 푸른곰팡이들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 총 54개의 균주를 수집한 뒤 ITS 염기서열 분석 및 형태학적 동정을 수행하였다. 총 54개 균주 중 Trichoderma spp.가 92.6%, Penicillium spp.가 5.6%, Talaromyces sp.가 1.8%였다. 친환경 방제제를 선발하기 위해 우리는 6개의 Streptomyces spp. 균주를 선발하고 Benomyl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분리균주인 Trichoderma spp.와 Penicillium spp.에 대한 길항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이 중 Streptomyces sp. 203-3이 Trichoderma spp.와 Penicillium spp.에 가장 높은 균사저지 효과를 보여, 목이버섯 배지에 감염하는 곰팡이에 대한 잠재적인 방제제로의 가능성을 보였다.

표고골목을 가해하는 주홍꼬리버섯의 완전세대 변화 및 2차 오염 해균상 (Changes of Teleomorph of Diatrype stigma Damaging Bed-log of Shiitake and Secondary Harmful Fungi)

  • 박원철;이봉훈;김세권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3-58
    • /
    • 2003
  • 1999년 12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주홍꼬리버섯 완전세대 형성 이후의 변화와 2차적으로 침입하는 다른 오염해 균을 조사하였다. 주홍꼬리버섯 자좌의 표면 색은 12개월 후 모두 적갈색에서 흑갈색으로 변하였다. 공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완전세대형성 초기보다 크기가 작아지고 단위면적당 갯수가 적어지다가 20개월 후에는 대부분의 시험골목에서 사라졌다. 자낭각과 자낭포자도 자좌 표면의 색 변화와 공구의 유무에 의해 반드시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었지만, 종균접종 이듬해 4월부터 서서히 없어지다가 20개월 후에는 시험골목 중 10% 정도에서만 포자를 갖는 자낭각이 발견되었다. 주홍꼬리버섯에 오염된 표고골목에 2차적으로 발생하는 다른 종류의 해균조사 결과, 검은혹버섯, Nodulisporium sp., 치마버섯, Trichoderma spp. 등이 주홍꼬리버섯 자좌 위에서 발견되었고 Penicillum sp.은 주홍꼬리버섯 포자 퇴 위에서 발견되었다. 이밖에 Hypoxylon howeianum, Enteridium lycoperdon, Fuligo sp., Physaurm umbiliciferum, Stemonitis fusca 등 4종의 점균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종균접종 이듬해 4월부터 일부 골목에서 주홍꼬리 버섯의 불완전세대(Libertella sp.)가 다시 발생하였다.

잔디 근권에서 분리한 식물생장촉진 균류 (Plant Growth Promoting Fungi Isolated from Rhizosphere of Zoysiagrass in Korea)

  • 박명수;유승헌
    • 한국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0-34
    • /
    • 2005
  • 전국 각 지역의 잔디 근권에서 분리한 728 균주의 균류 중에서 식물(토마토) 생장 촉진 효과를 보이는 15 균주의 PGPF를 선발하였다. 분리된 PGPF 15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였던 바 Gliocladium sp.가 1균주, Penicillium sp.가 5균주, Trichoderma sp.가 3균주, Fusarium sp.가 3균주, 및 미동정균 3균주로 분류되었다. PGPF 15균주 중 6균주(PF-31, PF-136, PF-238, PF-225, PF-395, PF-420)는 토마토 유묘의 생장을 현저히 촉진하였으며, 3균주(PF-31, PF-101, PF-255)는 고추의 생장을, 2균주(PF-31, PF-255)는 오이의 생장도 촉진하였다. PGPF 15 균주를 뿌리 정착 능력에 따라 4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그 중 식물생장촉진 효과가 우수한 PF-17, PF-101, 및 PF-225은 뿌리 정착력이 우수한 group 1에 속하였다.

지류 및 섬유질 문화재의 미생물에 관한 연구 (紙類 및 纖維質 文化財의 微生物에 關한 硏究) ­경남지방(慶南地方)을 중심(中心)으로-

  • 민경희;안희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14권
    • /
    • pp.225-250
    • /
    • 1981
  • 경남지방(慶南地方)의 지류(紙類) 및 섬유질유물(纖維質遺物) 보관고내(保管庫內) 공중균(空中菌)의 분포(分布) 조사(調査)를 위하여 중요민속자료(重要民俗資料) 37호(號) 이휴정소장출토복식(二休亭所藏出土服飾) 등(等) 4개소(個所)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리배지(分離培地)는 malt extract agar이었으며 잡균(雜菌)의 증식(增殖)을 방지(防止)하기 위(爲)하여 chloram phenicol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4개소 유물보관고(遺物保管庫)에서 분리(分離) 동정(同定)된 공중(空中) 사상균(絲狀菌)은 Cladosprium cladosprioides, Alternaria chlamydo-spora, Aspergillus fumigatus, A. versicolor, Eurotium chevalieri penicillum charlesii Var. rapidum, P. oxalicum, P. viridcatum, Trichoderma viride, Acremonium sp, Mucor sp, yeast 등(等) 8속(屬) 9종(種) 이었으며 또한 4개소(個所)의 유물보관고내(遺物保管庫內)에 분포(分布)된 사상균(絲狀菌) 포자(包子)는 Cladosporium cladosporioides가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이 Acremonium sp, penicillium, Aspergillus Trichoderma, Aeternaria, Eurotium의 순서이었다. 또한 지류(紙類) 및 섬유질문화재(纖維質文化財)로부터 사상균(絲狀菌)을 직접 채취(直接 採取)하여 분리(分離)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8속(屬) 14(種)이 검출되었다. 이중에서 가장 많이 분리(分離)된 종(種)은 Clodosporium cladosporioides이었고 그 외에 Acremonium, Penicillium, Asper gillus, Trichoderma 등도 분리(分離) 동정(同定) 되었다. 이중에서 특히 아직 우리 나라에서 미기록종(未記錄種)은 Chacetomium globosum, Mucor racemosus, Pspinalosum, Torulaellisii 등(等) 4종(種)이 발견(發見)되었음을 확인(確認)하였다. 끝으로 화학약제(化學藥劑)에 대(對)한 방균(防菌) 효과(效果) 실험(實驗)은 Aspergillus penicillium, cladosporium Trichoderma 등(等) 8종(種)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약품(藥品)은 Benzoic acid, Sorbic acide, Dehydroacetic acid, Thymol 등(等) 4가지 화학약품(化學藥品)을 사용(使用)하여 방균효과(防菌效果)를 조사(調査) 하였다. 동실험결과(同實驗結果) Thymol은 0.5%이상(以上)에서 모든 균(菌)의 생장(生長)을 저지하였으며 기타 3가지의 화학약제(化學藥劑)는 각각(各各)의 농도(濃度)에 따라 억제상황(狀況)이 상이(相異)하게 나타났음을 보고(報告) 드린다.

왕호장근(Reynoutria sachalinensis)을 이용한 배지에서의 느타리 균사 생장 효과 (The Effect of Reynoutria sachalinensis on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 박원목;김영호;고한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322-328
    • /
    • 1996
  • 왕호장근(Reynoutria sachalinensis)은 국내에서 자라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잡초로써 단위 면적당 Biomass가 매우 높으므로 버섯재배의 첨가 기질로써 이용가능성을 시험하였다. 대조구인 malt extract agar보다 왕호장근 1/4 희석 배지에서 느타리 균사 생장이 우수하였으며 1/8 희석 배지에서는 대조구보다 3배나 균사생장이 빨랐으며 균총의 밀도도 매우 높았다. 또한 느타리 균사가 왕호장근 한천배양기의 최적 산도 및 희석비율을 알아본 결과 pH 6.5, 희석비율 1/8이 느타리 균사생장에 가장 적합하였다. 왕호장근, 톱밥 및 미강를 각각 혼합하여 균사생장을 비교하여 본 결과 왕호장근을 넣은 배지에서 느타리 생강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1.5 내지 2배의 균사생장을 보였다. 왕호장근 한천배양기의 희석비율 l/4, 1/8와 pH 4.5, 6.5, 8.5에서 느타리 균사와 Trichoderma sp.의 대칭배양에서 산도 및 희석농도와 관계없이 느타리 균사생장이 월등하게 나타났으며 Trichoderma sp.의 균사생장을 억제하였다. 왕호장근, 톱밥, 미강을 혼합하여 종균 제조시 톱밥+왕호장근 10%+미강 10%의 배지에서 균사활착이 대조구보다는 4내지 5일 빨랐으며 2배 이상의 균사생장을 보였고 균사의 밀도도 가장 우수하였다.

  • PDF

Trichoderma sp. FJ1의 섬유소폐기물을 이용한 Cellulolytic enzymes의 고생산

  • 유승수;김경철;오영아;정선용;김성준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449-452
    • /
    • 2002
  • Trichoderma sp. FJ1의 cellulase 생산을 위한 배지조성의 검토에서, 질소원으로서 0.1% bacto peptone을 사용하였을 때 생산성이 향상되었으며, 순수 상업용기질인 avicel과 섬유소 폐기물인 볏짚의 혼합배양에서 높은 효소생산성이 얻어졌다. 경제적인 효소생산성을 위한 기질로 섬유소 폐기물의 농도와 혼합비를 검토한 결과, 1%농도에서 볏짚과 펄프를 50:50으로 사용했을시 CMCase, xylanase, ${\beta}-glucosidase$, avicelase는 24.3, 38.7, 1.5, 0.6 U/ml가 얻어졌다. 이러한 효소생산성은 타 보고서의 결과보다 동등이상의 우위를 보여주고 있으며 섬유소 폐기물의 생물학적 당화기술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 PDF

Structure-Antifungel Activity Relationships of Cecropin A Hybrid Peptides against Trichoderma sp.

  • Shin, Song-Yub;Lee, Dong-Gun;Lee, Sung-Gu;Kim, Kil-Lyong;Lee, Myung-Kyu;Hahm, Kyu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5권1호
    • /
    • pp.21-24
    • /
    • 1997
  • The hybrid peptides, CA-ME, CA-MA and CA-BO, with the N-terminal sequence 1-8 of cecropin A and the N-terminal sequences 1-12 of melittin, magainin 2 and bombinin, respectively, have more improved antibacterial activities. CA-MA was found to have stronge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richoderma sp than other hybrid peptides and their parental peptides. In order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ptide structure and antifungal activity, several analogues of CA-MA or CA-BO were also designed and synthesized by the solid phase method. An tifungal activity was measured against T. reesei and T. viride, and hemolytic activity was measured by a solution method against human red blood cells. The residue 16 of CA-MA, Ser, was found to be important for antifungal activity. When the residue was substituted with Leu, showed powerful antifungal activity was dramatically decreased. CA-MA, P1, P4 and P5 designed in this study showed powerful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 reesei and T. viride with low hemolytic activity against human red blood cells. These hybrid peptides will be potentially useful model to further design peptides with powerful antifungal activity for the effective therepy of fungal infection and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antifungal actions of hybrid peptides.

  • PDF

유기물 첨가가 오이 모잘록병에 대한 미생물 제제의 생물학적 방제 효과 증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Amendments on Efficacy of Biological Control of Seedling Damping-off of Cucumber with Several Microbial Products)

  • 이종문;도은수;백수봉;천세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4-49
    • /
    • 2003
  • Pythium ultimum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이 모잘록병의 생물학적 방제의 효율을 연구하기 위하여 여러 미생물 제제인 Trichoderma harzianum, Streptomyces sp., Bacillus sp.,(그린바이오텍, 경기도 파주)에 톱밥, 쌀겨 등이 첨가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 첨가한 톱밥 자체만으로도 P. ultimum 균사의 생육이 저해되었다. Green-all T(Trichoderma harzianum), Green-all S(Streptomyces), Green-all G(Bacillus)제제들은 오이 모잘록병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종자를 파종하고 병원균을 접종한 실험에 있어서 톱밥, 쌀겨 등을 Green-all T, Green-all S 제제에 첨가한 것은 입모율에 있어서 미생물 제제 단독처리에 비하여 생물학적 방제의 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지는 못하였다. 대조적으로, Green-all G 제제는 아미노닥터를 첨가하여 주면, 단독 처리시의 42% 이병율에서 2% 이병율로 크게 감소하여, 오이모잘록병에 대한 오이묘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효과 실험에서 Green-all T 제제에 톱밥을 첨가하면, 발병도(disease index)가 56으로 5로 감소하여, P. ultimum의 생물학적 방제 효과가 톱밥이 첨가되지 않는 것에 비하여 더욱 증가되었다. 이는 유기물 첨가에 의하여 생물하걱 방제 효과가 증진될 수 있음을 가르쳐 주는 것이라 하겠다.

장마철 표고(Lentinula edodes) 재배사내 발생 유해 진균류의 동정 (Identification of fungal species in oak mushroom cultivation houses during the rainy season)

  • 정상욱;장은경;최선규;이원호;반승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6-70
    • /
    • 2021
  • 표고 재배사내 진균류의 발생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골목에서 발생한 진균류를 분리·동정하고 재배사내 온·습도 환경을 분석하였다. 표고골목에서 발생한 진균을 분석한 결과 Cladosporium sp., C. cladosporioides, C. anthropophilum, Pleosporales sp., Trichoderma harzianum, Acremonium sp. 6종으로 확인되었다. 재배사내 환경을 조사한 결과는 5월 1일부터 10월 12일 사이에 재배사내 최고·저 온도가 14.0~30.1℃, 평균습도는 82.8%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표고 재배과정 중 진균류의 발생이 활발한 초여름부터 가을철 사이에 철저한 재배관리가 중요하며, 한번 발병한 진균류는 연중 재배사내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전에 유해 진균류 발생에 유리한 생육환경을 예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