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1초

불규칙 삼각망을 이용한 골프장의 지표면적 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und Surface Area Calculation of Golf Course using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 김상석;장용구;곽재하;김윤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61-71
    • /
    • 2001
  • 오늘날 측량장비개발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정밀도가 많이 향상되고 있고, 컴퓨터를 이용한 지형공간정보체계기술의 발달로 보다 정밀한 3차원 지형의 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면적 및 체적산출방법에 있어서는, 재래적인 측량방법인 평판측량을 통해서 지형을 만들어낸 후 구적기나 기타 다른 방법을 통해서 2차원 물량을 산출해 내고 거기에 일정량의 경사보정계수를 곱하여 3차원 물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래적인 측량방법 및 물량산출방법에 대한 비효율성 및 비정밀성을 제시하고, 현대측량장비인 광파거리측량기와 GPS장비를 이용해서 불규칙삼각형방식과 격자형방식으로 측량을 실시하고, 두 측량데이터를 가지고 각각 방법에 따라 3차원 지형모델을 구축한 후 2차원 및 지표면적을 산출하였다. 그 후 재래적인 측량방법을 이용한 면적산출량을 기준으로 불규칙삼각형방식과 격자형방식으로 산출한 면적산출량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효율성이 높은 지표면적 산출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딥러닝과 그래프 모델을 활용한 고해상도 영상의 건물 변화탐지 (Building change detection in high spatial resolution images using deep learning and graph model)

  • 박슬아;송아람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27-237
    • /
    • 2022
  • 다시기 고해상도 영상에 존재하는 건물의 위치 및 형태학적 왜곡은 건물의 변화탐지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3차원 지형정보 및 딥러닝을 활용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실제 사례에 적용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효율적인 변화탐지를 수행하기 위하여, 건물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건물 간 위상정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다양한 비연직 영상에서의 건물을 학습하기 위하여 SpaceNet v2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Mask R-CNN (Region-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학습하였으며, 건물 객체를 탐지하여 중심점을 노드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건물 노드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두 시기에 대해 각각 TIN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그래프들을 형성하고, 두 그래프 간 구조적 차이가 발생한 영역에 기반하여 변화 건물을 추출하기 위해 그래프 유사도와 노드의 위치 차이를 반영한 변화 지수를 제안하였다. 최종적으로 변화 지숫값을 기반으로 두 그래프 간 비교를 통해 새롭게 생성되거나 삭제된 건물을 탐지하였다. 총 3쌍의 테스트 영역에 대해 제안한 기법을 적용한 결과, 건물들 간 연결성의 변화를 고려함으로써 기복 변위에 의해 서로 다른 시기간 동일 건물 쌍을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변화가 발생한 건물을 적절하게 탐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분적 시각화와 수정을 위한 TIN 압축 (TIN Compression for Partial Visualization and Modification)

  • 박동규;조환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2)
    • /
    • pp.601-603
    • /
    • 1999
  • 대부분의 다면체 모델 데이터의 표면과 지리 정보 시스템을 위한 지형 데이터는 삼각 분할을 통하여 만들어진 불규칙 삼각형 네트웍(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TIN) 구조를 가지고 있다. 대용량 TIN 데이터를 그래픽스 시스템에서 빠르게 시각화 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TIN 데이터의 특징을 이용하여 압축된 데이터를 이용한다. 그러나 압축한 TIN 데이터는 부분적인 수정과 같은 연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체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다시 인코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므로 이같은 연산이 자주 발생하는 응용분야에는 부적합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삼각형 메쉬를 삼각형 스트립으로 재구성 한 후에 이 삼각형 스트립을 정점 체인과 각 정점의 차수 정보를 이용하는 저장하는 압축 알고리즘과 함께 이 알고리즘이 부분적인 불규칙 삼각망 수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각각의 정점 체인이 독립적으로 인코딩 가능하므로 불규칙 삼각망 정보를 수정할 경우 최소한의 인코딩과 디코딩으로 불규칙 삼각망을 수정할 수 있다.

  • PDF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토공량 산정 (The Determination of Earthwork Volume using LiDAR Data)

  • 강준묵;윤희천;민관식;위광재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33-540
    • /
    • 2006
  • In recent years, civil-engineering work is desired the terrain information to be more efficient in earthwork volume calculation. One method for collecting elevation data is LiDAR. Lidar data was used to produce rapidly an accurate digital elevation model of the terrai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ground surveys, photogrammetty, and remote sensing. Raw Lidar data is combined with GPS positional data to georeference the data sets. Lidar data is edited and processed to generate surface models, elevation models, and contours. Here we can either create a Tin Volume Surface or a Gird Volume Surface.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TIN) has complex data structure, but it can describe well terrain surface features. As we have seen, we search the efficiency for earthwork volume calculation using Lidar data. One conclusion we can draw from this study is that Lidar data is more accurate result than digital map in the calculation of earthwork volume.

  • PDF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with TIN-based topographic representation and its application to an analysis of spacial variability of soil properties on runoff response

  • Tachikawa, Yasuto;Shiiba, Michiharu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36
    • /
    • 2000
  • A TIN,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based topographic modeling method and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using the topographic representation is presented. In the TIN based topographic representation, a watershed basin is modeled as a set of contiguous non-overlapping triangular facets: the watershed basin is subdivided according to streamlines to deal with water movement one-dimensionally; and each partitioned catchment is approximated to a slope element having a quasi-three-dimensional shape by using cubic spline functions. On an approximated slope element, water movement is represented by combined surface-subsurface kinematic wave equations considering a change of slope gradient and slope width. By using the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the effects of spatial variability of soil properties on runoff response are examined.

  • PDF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가시권 분석의 적정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Evaluating Suitable Analysis Methods Using Digital Terrain in Viewshed Analysis)

  • 여창환;장영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0-4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GIS 분석기법을 활용한 가시권 분석이 활발해 지고 있으나 분석결과의 정확도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가시권 분석방법에 대한 심층적 논의를 통해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있다.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가시권 분석은 분석 대상지의 특성, 수치지형도의 축척, 분석의 공간 해상도, 지형자료의 형태에 따라 상이하게 도출되어 분석결과의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공간 해상도가 낮아지면 가시권 분석결과의 면적은 넓어지고 유효 한계해상도보다 해상도가 낮아지면 분석결과의 면적은 불안정한 변화추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공간 해상도별 가시면적의 변화추이와 공간 일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분석 대상지와 수치지형도의 축척, 공간 해상도, 입력된 지형자료의 형태에 따라 분석결과가 상이하게 도출되어 분석결과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시영역이 산지 지형인 경우에서 안정적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또 입력되는 지형자료의 경우는 제한된 조건에서 TIN보다 레스터 자료에서 안정적인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해상도별 가시면적의 변화추이와 공간 일치도 분석결과에 비춰보면 축척별 수치지형도에 따른 유효한 최소의 공간 해상도가 존재하는데, 1/1,000의 경우는 8m, 1/5,000은 20m, 1/25,000은 35m를 넘지 않은 범위에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IS를 이용한 광산개발지역의 추이 현황 분석 (Analysis of Terrain Change Caused by Mining Development using GIS)

  • 이형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1-269
    • /
    • 2006
  • 광산 개발 후 자연환경과 유사한 지형으로의 복원 및 복구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어 사후 관리를 위하여 원 지형과 개발중인 지형에 대한 특성 비교가 필요하며, 효율적인 복원계획을 위한 개발 진행에 따른 지형의 추이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년별 광산개발에 따른 지형의 추이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항공사진측량으로 수치화 된 캐드 자료중 년도별로 등고선 자료를 분류하고 각각 불규칙삼각망으로 생성하였다. 수치지형모형인 불규칙삼각망을 통해 종 횡단면을 작성하여 변화량이 많은 지점들을 판별할 수 있었으며, 불규칙삼각망을 래스터로 변환하여 각 셀별 고도 값을 연산함으로써 2000년부터 2002년과 2003년까지 광산개발로 인한 지형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11,094,460m^3$가 절토되고 절토량의 46%인 $5,127,968m^3$이 성토되었다. 또한 채굴에 따른 년도별 절 성토 지역의 표면 변화 양상을 정량적 및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광산개발에 따른 년별 추이 현황 비교는 채광이 완료되는 지역의 경우 성토를 통해 최대한 과거 지형에 근접하도록 설계할 수 있도록 광산 추가개발 및 복원계획에 대한 자료로 사용가능 할 것이다.

GIS를 이용한 강하분진 중 금속원소의 공간분포분석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Metallic Elements in Dustfall using GIS)

  • 윤훈주;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463-474
    • /
    • 1997
  • Metallic elements in dustfall have been known as notable air pollutant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ing human health and wealth. The first aim of this study was to obtain precis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5 elements (Pb, Zn, K, Cr, and Al) in dustfall around Suwon area. To predict isometric lines of metal fluxes deposited on unsupervised random sites, the study has applied both spatial statistics as a receptor model and a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tal of 31 sampling sites were selected in the study area (roughly 3 by 3 km grid basis) and dustfall samples were then collected monthly basis by the British deposit gauges from Dec., 1995 to Nov., 1996. The metallic elements in the dustfall were then analyzed by an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AAS). On the other hand, a base map overlapped by 7 layers was constructed by using the AutoCAD R13 and ARC/INFO 3.4D. Four different spatial interpolation and expolation techniques such as IDW (inverse distance weighted averaging), TIN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polynomial regression, and kriging technique were examined to compar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Each pattern obtained by each technique was substantally different as varing pollutant types, land of use types, and topological conditions, etc. Thus, our study focused intensively on uncertainty analysis based on a concept of the jackknife and the sum of error distance. It was found that a kriging technique was the best applicalbe in this study area.

  • PDF

제약 기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Spatial Database Modeling based on Constraint)

  • 우성구;류근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95
    • /
    • 2009
  • 지리정보시스템(GIS)과 같은 대용량 공간 데이터 처리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바로 제약 데이터베이스(CDB) 모델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관련연구를 통하여 스키마 구성 및 질의처리의 한계점을 찾아내고 보다 효율적인 처리방식의 제약 데이터 모델을 제안한다. 제약 데이터 모델의 개념, 표현방법, 질의처리의 예를 제시했으며, 특히 평면자료에 높이를 표시하는 불규칙 삼각망(TIN)을 제약 데이터 모델로 표현하고, 기존 공간 데이터 모델과 비교 평가했다. 우리는 제약 데이터모델링을 통하여 단순하고 우아하게 형식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3차원 지형모델링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uracy Improvement of Three-Dimension Terrain Modelling)

  • 신봉호;양승용;엄재구;송왕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1-15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현존하는 수치지형모델 구축기법간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인 수치지형 모델 구축방안을 제시하고, 프랙탈 기하학의 수학적 알고리즘을 응용, 터보 파스칼을 이용 3차원 프랙탈 지형 모델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형공간정보시스템 기반의 프랙탈 지형 모델링 시스템을 구현하는 기초연구를 수행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점 데이터와 선 데이터의 조합에 의해 불규칙삼각망을 생성하는 방법이 정확도 향상의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나타났으며, 프랙탈 기하학을 응용한 3-D 프랙탈 지형 모델링 시스템 개발은 프랙탈을 이용한 3차원 지 형 모델링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기초연구로서 소기의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