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angle set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4초

해일표류물의 충돌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응답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Due to Waterborne Debris Impact Loads)

  • 최호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590-59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해일표류선박의 충돌이 해일피난건물로 선정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충돌속도, 선박의 질량 및 선박의 길이를 변수로 한 진자를 이용한 축소 충돌실험을 실시하여, 건축물의 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최대 충돌력, 충돌시간, 충돌파형 형상, 반발계수 등에 대한 기본적인 물리량 변동추이를 상세히 평가하였다. 그 결과, 충돌파형 형상은 대부분의 실험결과에서 삼각형 분포가 나타났으나, 충돌실험체의 길이의 증가에 따라 사다리꼴에 가까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건축물의 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량 (충돌력 파형의 면적)을 산정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결과이다. 또한 반발계수는 충돌속도의 대소에 관계없이 일정하나, 충돌체의 질량 및 길이에 의해 변화하며, 단위길이당 질량으로 정리하면 반발계수의 변동이 평가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선분의 등분할 작도에 나타나는 6학년 영재.일반 학급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Mathematical Thinking of Sixth-Grade Gifted.Normal Class Students in the Equal Division Process of Line Segments)

  • 임영빈;류희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7-282
    • /
    • 2011
  • 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살펴보면 자와 컴퍼스를 사용하여 삼각형과 원을 그리며, 삼각자를 활용해 수직선과 평행선을 그리는 작도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10년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작도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작도지도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영재학급 6학년 학생들은 교사의 적절한 조언이 뒷받침되면 선분의 등분할 작도를 통해 유추, 연역, 발전, 일반화, 기호화의 사고와 같은 수학적 사고가 가능하며, 일반학급 학생들에게도 현행 교육과정보다 심화된, 자와 컴퍼스를 이용한 수직이등분선, 사각형, 마름모, 선분의 연장 등의 작도는 교육이 가능하다.

  • PDF

소규모 배열식 지진관측소를 이용한 미소지진 관측 (Microseismic Monitoring Using Seismic Mini-Array)

  • 신동훈;조창수;이희일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6권1호
    • /
    • pp.53-58
    • /
    • 2013
  • 효과적으로 미소지진을 관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소규모 배열식 지진 관측소와 분석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관측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2012년 12월 19일부터 2013년 1월 9일까지 시험 관측을 수행하였다. 중앙에 6 채널 지진 기록계 1 대와 3 성분 지진계 1 대를 설치하고 수직성분 지진계 3 대를 중앙으로부터 약 100 m 정도 떨어진 지점에 삼각형 형태로 각 꼭짓점에 설치하여 소규모 배열식 지진관측소를 구성하였다. 모든 지진계는 동일한 계기 응답 함수를 가지며 하나의 6 채널 지진 기록계에 연결되어 200 sps 의 간격으로 관측 자료를 저장하였다. 3 주의 시험 관측 기간 동안 총 16 개의 미소 지진을 관측하였다. 수직성분 지진계에서 관측한 P파의 도달시간 차이, 3 성분 지진계에서 관측한 P파와 S파의 도달시간 차이, P파와 S파 지진 파형의 배열식 분석으로 얻은 후방 방위각들을 이용해 지진의 진원을 결정하기 때문에 하나의 소규모 배열식 관측소만으로도 진원 결정이 가능하였다.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발생한 미소 지진 2 개의 진앙은 관측 부지로부터 1.3 km 거리에 있는 채석장으로 분석되었으며, 채석장의 발파 기록과 분석된 결과가 서로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삼각망 생성기법 개발 (Development of Generating Technique for Triangular Mesh by using Distinct Element Method)

  • 김남형;윤현철;허영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67-373
    • /
    • 2010
  • 수치해석을 수행할 경우 좀 더 정확한 수치모의를 위하여 해석영역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요소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개별요소법(DEM)은 입자의 마찰력 및 항력을 제외한 반발력과 인장력만을 적용하였다. 초기 쿼드트리(Quad-tree)형식으로 충진된 입자들을 DEM을 이용하여 재배치할 경우 입자의 형상이 원형이기 때문에 입자사이에 존재하는 빈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결국 입자 중심점의 배치가 정삼각형에 가깝게 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 재배치된 입자를 대상으로 Delaunay 삼각기법을 이용하여 삼각망을 구성하고, Laplace 보간을 수행하여 격자 품질을 향상시켰다. Laplace 보간 전 후의 형상비(Aspect Ratio: AR)를 비교한 결과 DEM을 이용하여 작성한 격자의 품질도 우수하지만, Laplace보간을 수행한 이후 보다 높은 품질의 격자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법은 기존의 삼각격자망 생성기법에 비해 다소 계산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지만, 복잡한 형상과 정확한 지형의 재현을 필요로 하는 파랑 해석용 유한요소 격자망 작성 및 다양한 수치모의 분야에서 그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하도(河圖)와 러셀 역설 (Hado and Russell's Paradox)

  • 김병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83-590
    • /
    • 2007
  • The significance of Han medicine (韓醫學),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at has lasted throughout the past couple millenniums relies upon Han Philosophy distinguished by its uniqueness. In brief, the specificity of Han medicine is characterized by unity of spirit and body, part and whole. According to this theory, when curing a frozen shoulder, it is usually cured by acupuncturing the area around the part that aches, but also doing so on the area that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aching part such as the opposite part of the body. In fact, this can be pursued only through aspects that enable one to realize the unity of part and whole, and a ground for this possibility bases upon the crux of Eastern Philosophy, I-ching(역), such as theory of Five Elements (음양오행) and Three Pillars(삼재). In Western set theory, the issues of Class(부류) and elements(요원), whole and part were independently discussed in the area of mereology, and the question of part and whole was encountered with aporia and paradox since Greek ancient philosophy. At the turn of this century, many philosophers endeavored to pursue academic inquiry to resolve this paradox, especially by Russell and Whitehead through ${\ll}$Principia Mathematica${\gg}$ at the beginning of this century. in the process, there came out a phrase 'Russell's Paradox'. Russell himself proposed a typological resolution as an answer to the inquiry. However, 'Russell's Paradox' still remains as an aporia even till present days. During medieval period, this inquiry was even considered as 'insolubia'. Throughout this paper, 1 attempt to provide an analytic aspect on 'Russell's Paradox' from an unique thinking method and perspective of Han medicine that embodies the concept of 'unity of part and whole'. To do so, 1 suggest a physiological model in the first place depicted by diagrams of Circle 원, Quadrangle 방, Triangle 각(CQT) that portray the logic of Hado or Hotu 하도 which is 'the pattern from the river Ho'. That is to suggest that CQT원방각 of Hado can De a logical foundation that explains the notions of spirit (정신,뇌), internal organs(장부), and meridian system which functions as a solution to the question of 'Russell's Paradox'. There are precedent academic works examining the issue from philosophical aspect such as Sangil Kim's ${\ulcorner}$Han medicine과 러셀역설 해의${\lrcorner}$ Han Medicine and Resolution of Russell's Paradox(2005), and this analysis will further attempt to critically examine such works from a perspective of Han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