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y thicknes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Aquaplast가 광자선의 표면선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quaplast on Surface Dose of Photon Beam)

  • 오도훈;배훈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95-100
    • /
    • 1995
  • 목적 : 두경부종양 환자의 방사선치료시 두경부의 고정에 흔히 이용되는 Aquaplast가 광자선의 표면선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실험을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6MV X-선(Siemens Mevatron 6740)의 표면선량과 선량증가영역의 선량을 PTW Frieburg 제작의 Markus chamber와 Capintec Model WK92 El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25{\times}25{\times}5cm^3$ 크기 아크릴판의 중앙에 고정된 전리함을 $25{\times}25{\times}5cm^3$ 크기의 폴리스티렌 팬톰 위에 올려 놓고 표면선량을 측정한 후 적당한 두께의 폴리스티렌 팬톰판을 올려가면서 선량증가영역의 선량을 측정하였다. 1.6mm 두께의 Aquaplast(WFR Aquaplast Corp. 제작)를 원형 그대로, 그리고 실제 환자의 고정시와 비슷한 정도로 변형시킨 상태로 전리함 위에 올려 놓은 후 각각 같은 방법으로 선량을 측정하였다. 또 트레이를 장착한 후 변형된 Aquaplast가 있는 상태에서와 없는 상태에서 각각 표면선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SSD 100cm에서 시행하였으며 $5{\times}5cm^4$, $10{\times}10cm^2$, $15{\times}15cm^2$의 세 가지 크기의 조사면에 대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표면선량과 선량증가영역의 선량 백분율은 Markus chamber의 과반응을 교정하기 위하여 Gerbi와 Khan이 제시한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결과 : $5{\times}5cm^2$, $10{\times}10cm^2$, $15{\times}15cm^2$의 조사면에서 표면선량은 각각 $7.9\%$, $13.6\%$, $18.7\%$ 이었고 원형 그대로의 Aquaplast가 있을 경우 표면선량은 각각 $38.4\%$, $43.6\%$, $47.4\%$ 이었으며 변형된 Aquaplast가 있을 경우의 표면선량은 각각 $31.2\%$, $36.1\%$, $40.5\%$ 이었다. 최대선량점 이상의 깊이에서는 거의 비슷한 선량 백분율을 보였다. 트레이는 조사면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Aquaplast가 없을 경우 $0.2\%$, $1.7\%$, $3.0\%$의 표면선량 증가에 기여하였으며 변형된 Aquaplast가 있을 경우 $0.2\%$, $1.9\%$, $3.7\%$의 표면선량 증가를 보였다. 결론 : Aquaplast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하여 Aquaplast를 원형 그대로 사용하였을 경우 약 $30\%$, 실제 환자의 고정시와 비슷한 정도로 변형하였을 경우 약 $22\%$의 표면선랑 증가를 가져왔으며 최대선량점 깊이 이상에서의 선량 백분율에는 건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제 환자에서의 Aquaplast의 사용은 피부 및 선량증가영역의 선량을 약간 증가시키지만 임상적으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Gas Composition in the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the Shelf-life of Longissimus dorsi of Korean Native Black Pigs-Duroc Crossbred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Muhlisin, Muhlisin;Panjono, Panjono;Kim, Dong Soo;Song, Yeong Rae;Lee, Sung-Jin;Lee, Jeong Koo;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8호
    • /
    • pp.1157-1163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s of gas composition in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on the shelf-life of Longissimus dorsi of Korean Native Black Pigs-Duroc Crossbred ($KNP{\times}D$) during refrigerated storage. Muscle sample was obtained from the left side of carcass of seven months old of $KNP{\times}D$ barrow. The sample was sliced into 1 cm in thickness, placed on trays (two slices/tray) and filled with different gas composition, i.e. 0:20:80/$O_2:CO_2:N_2$ (MAP1), 30:20:50/$O_2:CO_2:N_2$ (MAP2) and 70:20:10/$O_2:CO_2:N_2$ (MAP3). Other slices of sample were vacuum packed (VP) as a control. All packs were stored at $5{\pm}1^{\circ}C$. At 12 d of storage, pH value of MAP2 and MAP3 were higher (p<0.05) than that of MAP1 and pH value of MAP1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VP. At 6 d of storage, redness ($a^*$) value of MAP2 and MAP3 were higher (p<0.05) than that of VP and MAP1 and, at 9 and 12 d of storage, redness value of MAP3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VP, MAP1, and MAP2. At 3, 6, 9, and 12 d of storage, the 2-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 of MAP3 was higher than that of MAP2 and TBARS value of MAP2 was higher than that of VP and MAP1. At 3, 6, 9, and 12 d of storage, volatile basic nitrogen values of MAP2 and MAP3 were higher (p<0.05) than those of VP and MAP1. At 3 d of storage, total aerobic plate counts of MAP2 and MAP3 were higher (p<0.05) than those of VP and MAP1 and, at 6 d of storage, total aerobic plate counts of MAP3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MAP1 and MAP2.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total aerobic plate count among MAP1, MAP2, and MAP3 at 9 and 12 d of sto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total anaerobic plate count among MAP1, MAP2, and MAP3 during storage. It is concluded that the MAP containing 30:20:50/$O_2:CO_2:N_2$ gas composition (MAP2) might be ideal for better meat quality for $KNP{\times}D$ meat.

Mevatron KD 8067 선형가속기의 23 MV 광자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23 MV Photon Beam from a Mevatron KD 8067 Dual Energy Linear Accelerator)

  • 김옥배;최태진;김영훈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1호
    • /
    • pp.115-124
    • /
    • 1990
  • 고 에너지 23MV광자선의 특성 중 임상적용에 중요한 심부선량 백분율, 조직-최대선량비 (TMR), 산란-최대선량비 (SMR), 표면선량 및 출력선량 보정계수등의 변수가 이온전리 (IC-10)함 및 평행 평판전리 (PS-033)함에 의해 측정 조사되었다. 명목상의 23 MV X-선에 대한 가속에너지는 $18.5\pm0.5$ MV로 측정되었다. Mevatron KD 8067의 23 MV X-선의 중심선속의 반가층이 기하학적인 좁은 선속으로 측정되었으며 반가층의 두께는 $24.5\;g/cm^2$이었다. 조직-최대선량비는 심부선량백분율표에서 구해졌으며, 실측치와 비교한 결과 각 조사면의 크기와 깊이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평균 $0.7\pm0.5$의 오차를 나타내고 있어 계산에 의한 TMR 값과 잘 일치함을 보였다. 조사면 $0\times0\;cm^2$의 TMR 값은 zero 조사면의 유효감약계수에 의한 값과, 각 조사면의 조직-최대 선량비로 부터 비선형최소자승법에 의해 구해진 유효선흡수계수 및 반가층 측정에 의한 유효선흡수 계수에 의한 값들로 비교되었으며, $\mu=0.0283{\pm}0,0002cm^{-1}$을 보였고, 세 방법 모두 오차범위내에서 잘 일치됨을 보였다. 한편, 불규칙 조사면의 선량계산에 이용될 SMR은 조사면의 반경 50cm까지 계산되어 대형 조사 면에서도 선량율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Mevatron KD 8067의 23 MV X-선의 조직 표면선량은 SSD 100 cm, 1$10\times10\;cm^2$의 조사면에서 최대조직선량율의 $9.6\%,\;25\times25\;cm^2$에서는 $25.4\%$를 보였다.

  • PDF

Determination of Optimal Storage Condition for Pre-packed Hanwoo Loin

  • Seol, Kuk-Hwan;Park, Tu San;Oh, Mi-Hwa;Park, Beom-Young;Cho, Seong In;Lee, Mooh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90-394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storage condition of pre-packed Hanwoo beef without freezing. Hanwoo loin was purchased from a local distributor at 48 h after slaughter, then sliced in $1.5{\pm}0.5$ cm thickness, and packed in a polyethylene (PE) tray covered with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film. The studied factors to set the optimal storage condition were chamber temperature (5, 2.5 and $-1^{\circ}C$ for 14 d), cooling method (direct and indirect cooling system), and ultraviolet (UV) light irradiation for beef surface sterilization (0, 30, 60, and 120 min). The changes of pH,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number of aerobic bacteria were measured during storage. Beef samples stored in $-1^{\circ}C$ showed the minimal increasing rate in TBARS and microbial growth. After 15 d of sto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and TBARS values. However, the microbial population of beef stored in direct type cooling chamber ($4.25{\pm}0.66$ Log CFU/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eef stored in indirect type chamber ($6.47{\pm}0.08$ Log CFU/g) (p<0.05). After 4 d of storage, 60 or 120 min UV light irradiated beef sampl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microbial population, and at 14 d of storage, 60 min UV irradiated beef sample showed significantly lower microbial population ($3.14{\pm}0.43$ Log CFU/g) than control ($4.46{\pm}0.13$ Log CFU/g) (p<0.05). However, TBARS values of 60 or 120 min UV light irradiated beef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irradiated beef sample after 4 d of storage (p<0.05).

냉장고 내 온도와 상대습도가 포장 한우 등심의 품질 및 저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refrigerator on quality traits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Pre-packed Hanwoo loin)

  • 설국환;김기현;김영화;염경은;이무하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415-42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포장 한우 등심의 저장 시 각각 다른 저장고 내 온도와 상대습도가 저장 기간별 이화학적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한우 등심의 냉장저장시 저장온도와 상대습도는 육색을 포함한 식육의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식육의 지방산패와 미생물 증식속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포장된 한우육의 저장 시 온도를 낮추며 상대습도를 55%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품질을 유지하면서 저장기간을 연장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온 습도 뿐만 아니라 저장고 내의 여러 조건들의 조절을 통하여 소비자가 고품질의 한우육을 장기간 보관하며 섭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향후 한우 소비의 증진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조건이 포장 한우 등심의 관능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condition on sensory proper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re-packed Hanwoo loin)

  • 설국환;김기현;김영화;염경은;이무하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1호
    • /
    • pp.37-46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storage condition, such as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RH), on the change of sensory properties and free fatty acid composition of pre-packed Hanwoo loin (Musculus longissimus) until $21^{st}$ day of storage. The Hanwoo loin was sliced in $1.0{\pm}0.2cm$ thickness and each of the sliced pieces was packed in a foamed polystyrene tray with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film to simulate the pre-packed Hanwoo loin sold in retail market, then stored in home-style refrigerator (Con; $5^{\circ}C$, 17%RH), and temperature and RH controled chambers (T1; $5^{\circ}C$, 55%RH, T2; $5^{\circ}C$, 85%RH, and T3; $-1^{\circ}C$, 99%RH), respectively.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pre-packed Hanwoo loin during storage in different conditions were measured on raw or after cooking. After 21 days of storage, the loin stored in T3 showed significantly high color and acceptability scores ($7.46{\pm}1.07$, $7.06{\pm}1.36$, respectively) on raw loin, and flavor and acceptability scores ($7.16{\pm}0.90$, $6.90{\pm}0.92$, respectively) on cooked loin than those of others (p<0.05). The concentration of 12 fatty acids of pre-packed Hanwoo loin during storage in different conditions were analysed. The concentration of oleic acid (C18:1, $39.92{\pm}3.22%$), palmitic acid (C16:0, $28.20{\pm}2.42%$), and stearic acid (C18:0, $12.59{\pm}2.79%$) was high in Hanwoo loin on $1^{st}$ day of storage. The concentration of palmitic acid of Hanwoo loin stored in T2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4^{th}$ day of storage (p<0.05), and the concentration of myristic acid(C14:0) of Hanwoo loin stored in treated chamber (T1 to T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 after $14^{th}$ day of storage (p<0.05). The concentration of linolenic acid (C18:3) of Hanwoo loin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4^{th}$ day of storage in all tested storage condition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or consistent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oleic acid (C18:1) during storage period in every Hanwoo loin stored in tested conditions. Although, the concentration of total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was decreased in Con and T2 (p<0.05), there was no consistent change in the monounsaturated fatty acids to saturated fatty acids ratio (MUFA/SFA) during storage period (p>0.05). From those results, it was considered that storage condition affects on the sensory acceptabi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re-packed Hanwoo loin as storage period was increased.

고정기구 재질로써 탄소 섬유와 아크릴의 방사선량 감쇄 영향 비교 (Carbon Fiber as Material for Radiation Fixation on Device : A comparative study with acrylic)

  • 지의규;박장필;허순녕;홍세미;박석원;김인아;우홍균;김재성;강위생;김일한;하성환;박찬일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1-7
    • /
    • 2005
  • 방사선치료용 고정기구 재질로 사용되는 아크릴을 탄소 섬유로 대체할 목적으로 양 재질의 특성을 방사선량 감쇄와 모의촬영 및 고에너지 확인 영상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30{\times}30cm$ 크기의 2mm 두께의 탄소 섬유판과 6mm 두께의 아크릴판을 선형가속기의 차폐 선반 위치 및 폴리스티렌 팬톰 표면에서 0cm, 5cm, 10cm에 위치시키고, 0.6cc Farmer형 이온전리함으로 측정을 시행하였다. $10{\times}10cm$ 조사야에 4W 광자선을 이용하여 선량을 300MU/min로 50MU를 조사하였다. 선원-팬톰 거리는 120cm였으며, 선량보강은 1cm이었다. 각각의 위치에서 각 재질을 두께를 달리하는 중침 조건에서 3회 반복측정 하였으며, 각각의 경우 대조군인 개방 조사야에 대한 투과율을 얻었다. 영상소견은 통상적 모의촬영조건에서 비교하였다. 동일 두께의 탄소 섬유는 아크릴 보다 방사선 감쇄율이 약 1% 정도 높으나, 동일 강도에서는 방사선 감쇄율이 낮았다. 탄소 섬유는 아크릴과 비교하여 팬톰 표면에 밀착된 경우 선량을 약 2%정도 증가시키나, 표면에서 떨어져있는 경우에는 아크릴에 의하여 작게는 $2{\sim}3%$ 많게는 $5{\sim}7.5%$ 정도 감소된 체내 방사선량 분포를 $97{\sim}99%$ 정상화시켰다. 임상적으로 아크릴판 20 mm 판 2장이 중첩된 고정기구 부분을 방사선이 통과하는 상황이 존재하며, 이 경우 탄소 섬유 8 mm의 방사선 투과율은 폴리스티렌 팬톰 표면 0, 5, 10 cm에서 각각 1.008, 0.991, 0.976이며 아크릴 40mm는 각각 0.916, 0.855, 0.815으로, 아크릴에 의해 $8{\sim}18.5%$ 정도 감소된 체내 방사선량 분포를 2.4% 이내 감소로 호전시켜 $87{\sim}100%$ 정상화시킴을 확인하였다. 탄소 섬유의 모의촬영 영상이 통상 영상소견에 주는 악영향은 없었다. 탄소 섬유는 아크릴에 비하여 고정기구 재질로서의 두께 및 무게 감소, 강도유지, 체내 방사선량 감쇄 측면에서 월등하므로 향후 적극 이용되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