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uma-patient

검색결과 1,340건 처리시간 0.024초

뇌성마비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ies of Cerebral Palsy)

  • 강원식;전경훈;손병희;김성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4호
    • /
    • pp.512-518
    • /
    • 2002
  • 목 적: 저자들은 뇌성마비의 임상양상과 원인인자를 관찰함으로써 본질환의 원활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운동발달 지연이나 자세이상으로 성분도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뇌성마비로 진단 받고 부설 소아물리치료실에서 추적 관찰한 10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통하여 뇌성마비 환아의 생리적 분류와 고위험요인 및 뇌단층 또는 뇌자기공명영상의 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총 103명의 환아들 중 남아가 64명, 여아가 39명이었다. 2) 뇌성마비 환아들 중 미숙아 출생이 59명, 만삭아 출생이 44명이었다. 3) 대상 환아 103명의 생리적 국소학적 분류에서는 경직성 반신마비가 55례(53.4%)로 가장 많았다. 4) 대상 환아의 위험인자로 산전인자는 전치태반 1례(0.9%), 태반조기박리 1례(0.9%),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 1례(0.9%)였다. 주산기 인자는 미숙아 출생이 59례(52.2%), 신생아 가사 12례(10.6%), 난산 2례(1.7%), 다태임신 5례(5.5%), 둔위분만 1례(0.9%)였다. 산후인자는 두부 외상 3례(2.7%), 뇌막염 2례(1.8%)였으며, 총 103명의 환아들 중 원인을 모르는 경우도 26례(23%)였다. 5) 대상 환아의 뇌단층촬영 및 뇌자기공명영상 소견은 미숙아군 59례 중 55례에서 관찰한 결과 37례(62.7%)에서 뇌실주위연화증이 가장 많았고 정상소견도 6례(10.2%)였다. 만삭아군은 44례 중 33례에서 관찰한 결과 뇌위축이 15례(41.7%)로 가장 많았고, 정상소견을 보인 경우도 6례(13.6%)였다. 6) 대상 환아 103명 중 29례(28.2%)에서 경련을 동반하였다. 결 론: 최근의 뇌성마비 원인인자와 임상양상 등 그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뇌성마비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신경섬유종을 동반한 다발성 외경동맥 동맥류 - 증 례 보 고 - (Multiple External Carotid Artery Aneurysms with Neurofibromatosis - Case Report -)

  • 표세영;김무성;심홍보;이선일;정용태;김수천;심재홍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9호
    • /
    • pp.1248-1254
    • /
    • 2000
  • 신경섬유종을 동반한 다발성외경동맥 동맥류는 아주 드물며, 외경동맥동맥류의 원인으로 외상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39세 여자가 좌측 측두두정후두부의 거대한 종괴로 인한 두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학적 검사 소견상 좌측 측두두정후두부의 $5{\times}15{\times}18cm$ 거대한 종괴가 인지되었고, 아래로 처진 좌측 귀, 체간 및 사지에 다발성 담갈색 색소침착을 보였다. 뇌혈관조영술상 표재성 측두동맥과 후두동맥에 뇌동맥류가 인지되었으며 두부 자기공명영상에서 좌측 측두두정후두부에 거대한 혈종과 피하 종양이 관찰되었다. 수술전 다발성 외경동맥동맥류에 대해 색전술을 시행하고 혈종제거술, 피하 신경섬유종 절제술 및 뇌동맥류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증상은 호전되어 환자는 신경학적 장애 없이 퇴원하였다.

  • PDF

요추부 불안정증의 방사선학적 소견 (Lumbar Spinal Instability and Its Radiologic Findings)

  • 양경훈;김남규;김영수;고용;오성훈;오석전;김광명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호
    • /
    • pp.78-86
    • /
    • 2000
  • Objective : Lumbar spinal instability occurs when normal biomechanics support in lumbar vertebrae interrupted. Despite the recent enthusiastic studies, the precise radiological assessment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yet. Therefore, we carefully studied our cases to analyze the radiologic findings in lumbar spinal instability. Patients and Methods : We have put together radiological analysis and assessment based on 38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and treated for lumbar spinal instabilities from June 1994 to December 1998,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and treated for trauma were excluded from study. Results : The outcomes are as follows : 1) Lumbar lordotic curv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unstable group by 23.7,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17.0^{\circ}$). 2) According to the resting x-ray, sagittal plane angulation measured on unstable group was $21.1^{\circ}$, control group $18.0^{\circ}$. Therefore unstable group was noticeably higher(p<0.01). 3) According to the resting x-ray sagittal plane displacement, unstable group had 4.3mm, the comparison had 1.2mm. Therefore measurement from the unstabl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p<0.01). 4) According to stress view, sagittal plane translation was 4.1mm for the unstables and 2.7mm for the comparisons. Therefore unstables were noticeably higher(p<0.01). 5) According to stress view, sagittal plane rotation was $15.1^{\circ}$ at L3-4, $22.0^{\circ}$ at L4-5, $27.9^{\circ}$ at L5S1 for the unstable group and $11.3^{\circ}$, $18.1^{\circ}$, $21.0^{\circ}$ each for the comparison. 6) Facet angle for unstable group, left $29.3^{\circ}-61.5^{\circ}$, right $24.4^{\circ}-63.2^{\circ}$ and the mean for each are $43.1^{\circ}$, $47.2^{\circ}$. The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facet angle was $3.5^{\circ}-20.7^{\circ}$ and the mean value $15.3^{\circ}$. Facet angle for the comparisons for the left was $29.3^{\circ}-59.5^{\circ}$, right was in between $25.7^{\circ}-64.5^{\circ}$ range and the each mean are $44.9^{\circ}$ and $47.6^{\circ}$. Also, the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facet angle was $4.1^{\circ}-9.3^{\circ}$ and the average was $17.1^{\circ}$. The averag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angle are found not to have statistic necessity for both unstable and stable measurements(p>0.01). 7) 19 patients were found to have vacuum facet phenomenon among unstable group etc. results were collected. Conclusion : According to above results, we attempted to prepare the application to the patient of radiological analysis and assessment for lumbar spinal instability early checkup.

  • PDF

외해부학적 우회술 7년 뒤에 발생되어 기질성 혈전으로 밝혀진 우회술 봉합 부위에서 야기된 드문 양상의 지연성 가성동맥류 - 1예 보고 - (An Unusual Delayed Pseudoaneurysm That Originated from a Bypass Suture Site and It Was Revealed to Be an Organizing Thrombus 7 Years an Extraanatomic Bypass - A case report -)

  • 이우성;김요한;지현근;황재준;김준석;이송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532-536
    • /
    • 2009
  • 우회로 조성술은 폐색으로 인한 혈관 질환에서 혈류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주행 경로와는 다른 해부학적 경로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해부학적 우회로 조성술 및 외 해부학적 우회로 조성술이 시행되고 있다. 특히 외해부학적 우회로 조성술은 고유 혈관의 해부학적 회로 조성술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군에서 주로 시행되며, 이러한 위험 인자로는 고령, 감염, 이전의 수술 및 외상 등을 고려할 수 있다. 96세인 고령의 환자가 좌측 장골 동맥의 폐색으로 우측 대퇴 동맥에서 좌측 대퇴 동맥으로의 성공적인 우회로 조성술을 7년 전에 시행 받았고 특별한 문제없이 지내던 중, 술 후 7년 뒤에 특별한 원인 없이 갑자기 야기된 자발성 가성 동맥류가 발생하여 수술적 치료를 받았고 이는 이전 수술 부위의 봉합 부위에서 야기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기질성 혈전으로 진단되었다.

요골두아탈구 환자에서 방사선 검사 시행과 연관된 인자 분석 (Factors Associated with Radiologic Tests in Patients with Radial Head Subluxation)

  • 장익완;김도균;박소영;서동범;정재윤;곽영호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7권2호
    • /
    • pp.13-19
    • /
    • 2014
  • Purpose: In general, X-ray examinations are not recommended for radial head subluxation (pulled elbow)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X-ray examination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cision to perform an X-ray examination on a patient with a pulled elbow. Methods: Patients who visited the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ED) of one tertiary hospital from January 1, 2011, to December 31, 2012, with a diagnosis of radial head subluxation at discharg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rough retrospective chart reviews, factors that could have influenced the decision to perform an X-ray examination and their statistical relevance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308 patients were enrolled, and 101 patients (32.8%) underwent X-ray examinations. Among the 252 patients with a typical pulled elbow, 65 underwent X-ray examination. This resul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d to atypical pull-elbow group (25.8% vs. 64.3%, p<0.001).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cision to perform an X-ray examin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the Fisher's exact test. The mechanism of injury and consultation with an orthopedic surgeon (p=0.001)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the odds ratio (OR) for the injury mechanism was 4.7 (95% CI: 1.8~8.8, p<0.001) and that for consultation with an orthopedic surgeon was 8.0 (95% CI: 1.6~40.7, p=0.004). Conclusion: One third of patients with a pulled elbow underwent X-ray examination, and patients with an atypical mechanism of injury underwent more frequent X-ray examinations than did patients with a typical mechanism of injury. The factors that could have influenced the decision to perform an X-ray examination were mechanism of injury and consultation with an orthopedic surgeon.

치위생 임상에서 조직접착제를 활용한 외상성 치은열창의 처치 (Management of Traumatized Gingival Wound Using Tissue Adhesivein Dental Hygiene Practice)

  • 정원균;노희진;장선옥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4
    • /
    • 2003
  • 본 고는 치위생 임상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상성 치은 손상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조직접착제의 활용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직접착제는 조직 표층의 열창을 기존 봉합법에 의하지 않고 화학물질에 의한 접착 방식으로 폐쇄하기 위한 용도로서 그 동안 구강외과나 치주수술 분야에서 그 응용이 모색되어 왔다. 치과위생사가 치석제거 및 치근활택술 등의 시술 과정에서 부적절하거나 과도한 기구조작에 의해 치은이나 구강점막에 열창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발생하였을 경우, 조직접착제를 이용하여 열창을 폐쇄하면 매우 효과적이며 단순하고 편리하다. 조직접착제는 n-butyl-2-cyanoacrylate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직의 수분과 접촉하면 빠르게 중합되어 접착력을 나타낸다. 조직접착제를 이용한 치은열창의 처치는 그 심미적 결과가 양호하며, 추가적인 조직 손상이 없을 뿐 아니라 시술 방법이 간단하여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국소마취가 필요치 않으며, 창상 소독이나 봉합사 제거를 위해 환자가 다시 내원하지 않아도 되는 등의 여러 임상적 장점이 있다. 창상의 감염 방지나 지혈 작용 등에도 효과적이다. 조직접착제는 치위생 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직손상에 대한 처치법으로서 환자나 치과위생사 모두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견인을 이용한 치험례 (THE FORCED ERUPTION OF IMPACTED MAXILLARY INCISOR: CASE REPORT)

  • 김종식;김은정;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6-32
    • /
    • 2005
  • 치아 매복이란 여러 가지 이유로 구강 점막이나 악골내에서 치아가 맹출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악 중절치 매복의 원인은 치아종, 과잉치, 공간의 상실, 선행유치의 만기잔존 또는 조기상실, 선행유치의 외상으로 인한 치관이나 치근의 기형, 치배의 이소위치 등이 있다.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경우, 측절치가 빠르게 근심으로 이동하여 공간을 상실하고, 정중선의 변이가 발생하며, 낭종을 형성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매복치의 조기 진단과 그에 따른 적절한 처치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매복의 정도가 심하지 않거나, 각화조직에 의해 매복이 초래된 경우 외과적인 노출만으로도 맹출을 유도할 수 있지만, 외과적인 노출후에 일정기간의 관찰에도 맹출이 되지 않는다거나, 치아의 맹출 방향이 자가 교정될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변위되어 있는 경우, 매복의 위치가 너무 심부에 있는 경우에는 교정적 견인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증례는 매복된 상악 중절치 중 일정기간의 주기적 관찰후 맹출이 기대되지 않았기에, 교정적으로 견인하여 치료하였으며, 치료후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수평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견인: 증례 보고 (ORTHODONTIC TRACTION OF HORIZONTALLY IMPACTED MAXILLARY INCISORS: CASE REPORTS)

  • 김미니;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57-765
    • /
    • 2008
  • 본 증례는 수평 변위 매복과 치근 만곡을 가진 상악 중절치를 폐쇄 노출법을 이용한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여 영구 전치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하였다. 상악 영구 전치가 수평으로 매복된 경우, 가급적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촉진, 시진, 방사선 사진 등을 이용한 적절한 치료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상악 영구 전치의 매복이 조기에 적절히 치료되지 못하면 정중선의 변위, 인접치의 이동에 의한 맹출 공간의 감소, 치조골 높이의 차이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심미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소아 심리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매복치의 치료는 매복치의 형태, 위치, 상태에 따라 다양하나, 주기적 관찰 방법, 상부 연조직과 경조직을 단순히 제거하여 맹출을 유도하는 방법, 외과적 노출 후 매복치를 교정적으로 견인하는 방법, 치아 이식술, 발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이중 이번 증례에서 시행한 매복치의 교정적 견인은 매복치의 치축이 정상 맹출로와 일치되지 않으며, 주기적인 관찰 후 더 이상의 맹출이 기대되지 않을 때 시행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으로 매복의 심도, 치아의 발육단계, 만곡의 부위와 정도, 수술방법과 견인방향 등을 고려하여 치료의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 PDF

Single Median Maxillary Central Incisor(SMMCI) 환아의 증례보고 (CASE REPORTS OF SINGLE MEDIAN MAXILLARY CENTRAL INCISOR)

  • 신윤경;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72-678
    • /
    • 2007
  • Single Median Maxillary Central Incisor(SMMCI)는 상악 중절치 형성부전으로 하나의 상악 중절치가 정중앙에 위치하는 치아 발달의 해부학적 이상을 의미한다. 50,000명 중에 1명 꼴로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물며 각종 증후군 및 정중선 이형성을 보이는 발달장애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SMMCI는 다른 이상과 연계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나 상염색체 우성유전인 전전뇌증(holoprosencephaly)의 경미한 발현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전자 상담이 필요하다. 또 특징적인 안모 및 구강 상태를 보이므로 환아의 바람직한 신체적, 정서적 발달을 위해 조기에 교정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증례는 다른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세 명의 SMMCI 환아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Ocular Complications in Assault-Related Blowout Fracture

  • Choi, Woong Kyu;Kim, Young Joon;Nam, Sang Hyun;Choi, Young Woong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28-134
    • /
    • 2016
  • Background: Blowout fracture is one of the most common facial fractures, and patients usually present with accompanying ocular complications. Many studies have looked into the frequency of persistent ocular symptoms, but there is no study on assault patients and related ocular symptoms. We evaluated the incidence of residual ocular symptoms in blowout fractures between assaulted and non-assaulted patients, and sought to identify any connection among the degree of enophthalmos, defect size, and assault-related injury.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for any patient who sustained a unilateral blowout fracture between January 2010 to December 2014. The collected data included information such as age, gender, etiology, and clinical ocular symptoms as examined by an ophthalmologist. This data was analyzed between patients who were injured through physical altercation and patients who were injured through other means. Results: The review identified a total of 182 patients. Out of these, 74 patients (40.7%) have been struck by a fist, whereas 108 patients (59.3%) have sustained non-assault related injuries. The average age was 36.1 years, and there was a male predominance in both groups (70 patients [94.6%] in the assaulted group and 87 patients [80.6%] in the non-assault group). Diplopia and enophthalmos were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 assault history than in non-assaulted patients (p<0.05). Preoperatively, 25 patients (33.8%) with assault history showed diplopia, whereas 20 patients (18.5%) showed diplopia in the non-assaulted group (p<0.05). Preoperative enophthalmos was present in 34 patients (45.9%) with assault history, whereas 31 patients (28.7%) showed enophthalmos in the non-assaulted group (p<0.05). Conclusion: Patients with an assault history due to a fist blow experienced preoperative symptoms more frequently than did patients with non-assault-related trauma history. Preoperative diplopia and enophthalmos occurred at a higher rate for patients who were assaulted. Surgeons should take into account such characteristics in the management of assaulted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