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portation Safety

검색결과 2,723건 처리시간 0.037초

도로운송 위험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개선 연구 (A Study for Safety Management on Road Transportation of Dangerous Goods)

  • 이봉우;정성봉;김소영;최동황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3-82
    • /
    • 2013
  • 현대사회의 산업발전과 새로운 기술개발로 다양한 화학제품이 생산되어 인류생활을 윤택하게 하였지만 일부 화학물질은 국민의 안전과 환경에 많은 위험을 주고 있으며, 이들의 운송, 저장, 취급 등의 안전관리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로운송 위험물은 사고빈도가 높아서 체계적인 안전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운송위험물의 현황, 관련법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제운송위험물규칙(UN-RTDG)과 비교 검토하여 선진화된 안전관리 정책제언과 도로운송 위험물 분류표준화 방안 및 통일된 운송위험물 표시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선진화된 위험물질 안전관리에 의해 사고예방 및 대응을 최적화하여 인류의 건강과 환경보호에 기여할 것이다.

GPE 블록의 연안운송시 안전성 평가를 위한 영향인자 (Influence Factors for the Safety Assessment on the GPE Blocks during On-shore Transportation)

  • 김성찬;홍기섭;신대균;유병석;김관홍;서용석;백세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6권6호
    • /
    • pp.595-602
    • /
    • 2009
  • Great number of ships has been built by Korean Shipyards since early of 2,000 due to the expanding worldwide trade. Most of shipyards have enlarged the weight of erection block and many blocks have been assembled in block fabrication factories outside the shipyards to reduce the shipbuilding period. Especially, Giga blocks that exceed 2,000 tons are often assembled by the block fabrication factories outside the shipyard. Generally, the blocks are transported to building dock in shipyard by towing barges. Accident can be occurred during the sea transportation and it may bring about not only the delay of delivery but also a disaster on the ocean environments. Transportation condition of GPE (Grand Pre-Erection) block differs from the ocean going conditions of marine vessels. Special consideration should be included before transportation work in order to guarantee the safety of GPE blocks and barge carriers. In this paper, several examples, which have been investigated to set up the safety standard of transportation of the GPE blocks on coastal routes, are introduced. For the barge transportation on coastal sea route, the design criteria are discussed, considering the design wave, the acceleration induced by wave, structural strength, and the fixture condition of blocks.

내항선안전관리체제 운영의 내실화 방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ns to Promote Rationalization of the Co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 정정호;노창균;정건명;윤명오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41-246
    • /
    • 2006
  • 우리 정부와 해운기업은 해상에서의 인명 및 환경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내항선에서의 안전관리가 미흡하여 내항선에 맞는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안전관리체제 운영의 내실화 방안이 절실하다. 본 논문은 관련기관 및 해운기업에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실증분석을 통하여 현 내항선안전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우리나라 내항해운에 적합한 안전관리체제의 내실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주행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차량간 상호작용에 따른 사고발생가능성 분석 (Analysis of Crash Potential by Vehicle Interactions Using Driving Simulations)

  • 김윤종;오철;박수빈;최새로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98-112
    • /
    • 2018
  • 공격운전은 상대방 운전자에 대한 공격 의지를 가지고 위협을 가하는 매우 위험한 운전행태이다. 기존 연구의 경우 공격운전자에 대한 주행특성 및 유발요인 등 공격운전자를 초점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격운전을 안전성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서는 공격운전 가해자와 피해자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ulti-Agent 주행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여 공격운전 가해자와 공격운전 피해자간의 차량간격 및 상대속도를 통해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공격운전 가해자와 피해자의 가감속 패턴을 파악하고 차간거리를 통해 TTC(Time-to-Coillison)를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TTC를 EDF(Exponential Decay Function)를 통해 사고발생가능성으로 전환하여 일반운전과 공격운전의 사고발생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격운전 시 일반운전에 비해 사고발생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공격운전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공격운전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율주행자동차 도입에 따른 사업용 차량 도로교통 안전사업 개선방안 우선순위 선정 연구 (Study on the Prioritization of Improvement Plan for Road Traffic Safety Projects for Business Vehicles by the Introduction of Autonomous Vehicles)

  • 박상민;정하림;이승준;박수정;남두희;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14
    • /
    • 2017
  • 최근 자동차 산업은 자율주행자동차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관련된 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자율주행자동차의 기술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도로교통 안전과 관련한 변화 예측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율주행자동차의 도입에 따른 사업용 차량 도로교통 안전사업의 개선방안 제시와 우선순위 도출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자율주행자동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와 AHP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통수단안전점검 법령 개정, 자율주행자동차 운전자 및 운영자 등에 대한 교육제도 개발 등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송안전정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HAZMAT Information System)

  • 안승범;김시곤;김용진;홍우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9-65
    • /
    • 2004
  • Ministry of Environment developed ‘Emergency Response Information System (ERIS)’ in 2001, which is in operation. As a next step, currently National Emergency Response Information System (NERIS) is being developed. The main difference among ERIS and NERIS is to enhance the system in the national level, including transportation of hazardous materials. This paper introduces concepts and methods applied to NERIS, especially HAZMAT, and the information system, operating strategies. Based on GIS and transportation-network data, the best route can be offered using Risk Analysis. Strategies for reporting and first-response information systems are also designed for emergencies in the paper.

계층화 분석 과정에 의한 최적운송 수단에 관한 연구 (On the Optimal Solution Transportation Problem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정순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5-360
    • /
    • 2008
  •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s known as a useful tool for the group decision making methods. This tool has been area such as investment, R&D management, manufacturing, production and marketing. Typically, transportation problems have addressed by mathematical programming. In this paper, an optimal solution of transportation problem was determined b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 PDF

TMS를 이용한 최적 라우팅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icitation of Optimal Routing Using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 조중현;윤의식;양광모;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05-308
    • /
    • 2005
  • Recently, according to rise importance of logistics cost, transportation management has had high interest. In this paper, we will elicitate optimal routing through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case of J corporation.

  • PDF

Spent Nuclear Fuel Safety Evaluation Methodology (SSEM)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 Kim, Y.K.;Noh, J. S.;Lee, S.K.;Kim, T.W.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논문요약집
    • /
    • pp.57-58
    • /
    • 2017
  • New approach to achieve the safety goals in transportation and dry storage of SNF, so called SSEM has been proposed. The main concept of the SSEM is that it simplifies the reviewing processes of each campaign of the transportation or storage of SNF with standard format. This SSEM could be considered as a model case for assuring public that the SNF be managed safely.

  • PDF

안전문화 평가방안 연구 (Towards an Effective Assessment of Safety Culture)

  • 홍인기;백종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8-12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ssues for an effective safety culture assessment by conducting a case study of an electronics manufacturing plant in Korea. Cooper's safety culture model was used as the assessment method, and Fleming and Hudson's safety culture maturity models were applied as assessment criteria. The results of the safety culture assessment showed that there needs to be a design optimized for study purposes. For examp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needs to be analyzed. The result of the behavior monitoring should show the relationships with other dimensions. A safety culture maturity model has to be developed to customize the study factors and ques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