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port Zone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23초

Undertow를 고려한 해빈단면지형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ach Profile Change in the Consideration of Undertow)

  • 손창배;김창제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7-154
    • /
    • 1999
  • A Numerical model is developed in order to predict cross-shore beach profile change. In this model it is assumed that sediment transport is generated by waves(bed load transport suspended load transport) and undertow which is defined as offshore directional steady flow in the surf zone. In addition wave tank experiments which reproduce storm-surge were performed. By comparing resulting profile of calculation with experiments, the applicability of this method is verified.

  • PDF

O/D 데이터를 활용한 녹색교통지역 및 서울시 자동차 운행제한 확대 연구 (A Study on the Expansion of Low Emission Zone in Green Transport Zone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Using Origin-Destination Traffic Volume)

  • 정재은;손의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90-99
    • /
    • 2020
  • 전 세계적으로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많은 차량의 진입을 제한하는 "공해차량 운행제한지역(LEZ : Low Emission Zone)" 제도 시행이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2년부터 서울시 전 지역과 일부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노후경유차 운행제한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2019년 12월부터는 서울 도심인 한양도성 녹색교통지역에 진입하는 자동차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의 운행을 제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녹색교통지역 자동차 운행제한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기·종점통행량(O/D) 자료와 지역별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별 자료를 활용하여 추후 운행제한 대상차량 확대시 등급별 교통량을 추정해 보고자 한다. 또한 서울시 25개 자치구에 진입하는 배출가스 등급별 교통량을 추정하여, 추후 자동차 운행제한 대상지역 추가 확대시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대상지역(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식생대에서 유사의 퇴적과 하도변화 수치모의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deposition and channel change in the vegetation zone)

  • 황효;장창래;강민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호
    • /
    • pp.23-3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과 수치모의를 통해 식생대에서의 소류사 이동 및 하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내시험에서 식생대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아크릴 봉으로 제작한 인공 식생대를 실험수로에 설치하였으며, 유량 조건을 조정하여 유량변화에 따른 식생대에서의 소류사 이동 및 하도 변화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실내실험과 동일한 조건을 2차원 수치 모형인 Nays2D모형에 적용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실내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수치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용성을 검토한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식생밀도의 변화에 따른 소류사 이동 및 하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실내실험과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유량변화에 따른 식생대에서의 소류사 이동 및 하도 변화를 검토한 결과, 두 적용 방법의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류에서 유입된 소류사가 식생대 내부에 퇴적되었으며, 식생대 반대편에는 흐름이 집중되어 침식이 발생하였다.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하류방향으로 침식범위가 증가하였다. 식생밀도의 변화에 따른 소류사 이동 및 하도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 식생대의 식생밀도가 증가할수록 상류에서 유입된 소류사가 식생대 내부에 퇴적되었다. 또한 식생밀도의 증가로 인하여 흐름이 식생대의 반대편으로 집중되어 식생대 반대편 하도의 침식이 발생하였다.

인천해역 개발에 따른 조석변화 및 오염물질 운송 예측 (Prediction of Tidal Changes and Contaminant Transport Due to the Development of Incheon Coastal Zone)

  • 정신택;조홍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8
    • /
    • 1997
  • 대규모 간척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인천연안의 해수유동 변화 및 오염물질 운송 양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조간대의 노출-침수를 고려할 수 있는 평면 2차원 수치모형을 수립 적용하였다. 해수유동 모형은 정도지점의 현장 측정자료에 대하여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주 흐름방향의 유속 및 수위에 대한 계산치가 현장 관측치 재현에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수립된 흐름모형을 이용하여 영종도 신공항 및 시화방조제 건설 전 \ulcorner후의 조석변화 양상을 모의하는 한편, 흐름모형에서 계산된 대조기 흐름조건하에서 가상의 오염부하에 따른 오염물질 확산 양상을 수치 모의하였다. 수치모의결과, 해역의 개발로 인하여 유속이 감소되고 있으며, 유입된 오염물질은 잘 발달된 협수로를 따라 주로 이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인천해역에 대하여 수립된 본 모형은 향후 인천해역의 개발계획에 대한 조석변화 및 오염물질 확산을 예측하는 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First-Order Mass Transfer in a Vortex-Dispersion Zone of an Axisymmetric Groove: Laboratory and Numerical Experiments

  • Kim, Young-Woo;Kang, Ki-Jun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651-657
    • /
    • 2010
  • Solute transport through a groove is affected by its vortices. Our laboratory and numerical experiments of dye transport through a single axisymmetric groove reveal evidence of enhanced spreading and mixing by the vortex, i.e., a new kind of dispersion called here the vortex dispersion. The uptake and release of contaminants by vortices in porous media is affected by the flow Reynolds number. The larger the flow Reynolds number, the larger is the vortex dispersion, and the larger is the mass-transfer rate between the mobile zone and the vortex. The long known dependence of the mass-transfer rate between the mobile and "immobile" zones in porous media on flow velocity can be explained by the presence of vortices in the "immobile" zone and their uptake and release of contaminants.

수분함량이 쌍둥이형 계면활성제 및 소수성 유기오염물질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Water Content on the Transport of Gemini Surfactant and Hydrophobic Organic Compounds)

  • 박인선;박재우;조종수;황인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39-46
    • /
    • 2003
  •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불포화 지역에 고정화 지역을 설정함으로써, 지하수로 유입되는 유기오염물질의 거동을 지연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수분함량을 보유한 불포화 및 포화 조건에서 연속식 컬럼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수분함량에 따른 계면활성제와 유기오염물질의 거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이 충진된 컬럼 실험에서 계면활성제(dialkylated disulfonated diphenyl oxide)의 거동 및 수착 특성은 수분함량이 달라져도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계면활성제(DADS)로 개질된 산화알루미늄이 충진된 컬럼 실험에서는 유기오염물질인 나프탈렌(naphthalene)이 수분함량이 감소됨에 따라 거동이 지연되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더 많은 양의 나프탈렌이 알루미늄 산화물에 흡착된 계면활성제로 흡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유기오염물질의 고정화 방법이 불포화 지역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PRELIMINARY MODELING FOR SOLUTE TRANSPORT IN A FRACTURED ZONE AT THE KOREA UNDERGROUND RESEARCH TUNNEL (KURT)

  • Park, Chung-Kyun;Lee, Jae-Kwang;Baik, Min-Hoon;Jeong, Jong-Ta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79-88
    • /
    • 2012
  • Migration tests were performed with conservative tracers in a fractured zone that had a single fracture of about 2.5 m distance at the KURT. To interpret the migration of the tracers in the fractured rock, a solute transport model was developed. A two dimensional variable aperture channel model was adopted to describe the fractured path and hydrology, and a particle tracking method was used for solute transport. The simulation tried not only to develop a migration model of solutes for open flow environments but also to produce idea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solute behaviours in indefinable fracture zones by comparing them to experimental results. The results of our simulations and experiments are described as elution and breakthrough curves, and are quantified by momentum analysis. The main retardation mechanism of nonsorbing tracers, including matrixdiffusion, was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