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ransliteration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utomatic Construction of a Transliteration Dictionary from Bilingual Corpus (이중언어 코퍼스로부터 외래어 표기 사전의 자동구축)

  • Lee, Jae-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142-149
    • /
    • 1999
  • 외국문명의 영향으로 많은 외래어가 한국어 문서 내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단어는 주로 전문용어, 고유명사, 신조어 등으로 사전에 등록되지 않는 것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언어 코퍼스로부터 자동으로 외래어 사전을 추출해 내는 확률적 정렬 방법과 실험결과를 소개한다. 확률적 정렬 방법은 통계적 음차 표기 모델에서 사용된 방법을 변형하여 적용한 것이며, 문서단위로 정렬된 두 종류의 영-한 이중언어 코퍼스에 대해 실험하여 재현률과 정확률을 측정하였다 성능은 전처리단계인 한국어 미등록어 추정에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미등록어 추정을 대략하였을 경우, 재현률은 평균 58%였고, 정확률은 평균74%이었으며, 수동으로 미등록어 명사를 분리했을 경우, 재현률 평균86%, 정확률 평균91%로 외래어와 대응되는 원어를 추출해 냈다.

  • PDF

An Enhanced Context Sensitive Algorithm for Equivalent Foreign Word Transliteration Detection (문맥을 고려한 유사 외래어 검출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

  • Ko, Sook Hyeon;Lee, Jae 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7.10a
    • /
    • pp.114-121
    • /
    • 2007
  • 한국어에 대한 음성적 유사도 비교 알고리즘은 다양한 음차표기로 사용되는 외래어에 대하여 유사도 비교에 따른 등가부류를 형성해줌으로써 정보검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영어 환경에서의 음성적 유사도 비교 알고리즘인 SOUNDEX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된 KODEX는 최소한의 제약사항으로 최대한의 재현율을 보였으나, 정확도 면에서 현저한 성능 감소를 보였다. 이를 보완하여 제안된 EKODEX 알고리즘은 Metaphone 알고리즘의 개념을 도입, 부분적인 모음 정보의 사용과 'ㅇ' 음가의 정보 보존 등의 제약사항을 통해 KODEX의 정확도를 끌어올렸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CKODEX 알고리즘은 KODEX와 EKODEX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예외사항이 많은 한국어 발음 특성에 기반하여 세부적인 규칙을 정하고, 기존 알고리즘의 조건을 수정하는 방법으로 정확률과 재현율을 보다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질의어에 대한 클러스터링에 보다 효과적임을 밝혔다.

  • PDF

A Study on he Julpoong (折風의 硏究)

  • 김진구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3 no.1
    • /
    • pp.1-15
    • /
    • 1995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julpoong of Koguryo. The meaning, form, structure, user, the origin of the word the julpoong were examined. The pien of he ancient China and the julpoong of Koguryo were examin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Chinese and the people of Koguryo used the meanings of the julpoong differently : the Chinese referred the julpoong to the conical hat with the seams including one seam on it, while the people of Koguryo called the julpoong as the conical hat with seams excluding one seam on it. the people of Koguryo called the julpoong with one seam as the chack . The julpoong was used by all people of Koguryo : the government officials, envoys, and the commoners wore it. The word julpoong of Koguryo was derived from dulband, dulband, dubend, dolband of Persians. the word julpoong is correspondent with the above the persian words. The julpoong of Koguryo word was transliteration of dulband(dulband, dulbend, dolband) meaning turban or sash. The hat called chack by the people of 고구려 was the conical hat with one sea and their meaning of he chack was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the chack of the Chinese. The julpoong a kind of conical hat, was called by the pine by the ancient Chinese.

  • PDF

Improving English-to-Korean Transliteration through Automatic Relevance Feedback (적합성 피드백을 이용한 자동 음차표기의 성능향상 기법)

  • 오종훈;최기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805-807
    • /
    • 2004
  • 음차표기란 외국어의 단어를 글자나 발음을 이용하여 자국어로 표기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자동음차표기는 기계번역과 정보검색 등의 자연언어처리 응용에서 사용된다. 기계번역에서는 번역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고유명사나 전문용어를 번역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며, 정보검색에서는 단어불일치 문제의 해결과 질의확장 등에 사용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영-한 자동 음차표기 연구들은 대부분 주어진 원어에 대하여 가장 적합한 음차표기를 생성하는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원어로부터 가능한 음차표기를 파악하는 연구에서도 해당 음차표기에 대한 적합성을 파악하지 않고 단순 리스트형태로 음차표기를 생성함으로써, 음차표기생성 결과에 대한 품질이 낮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어진 원어로부터 가능한 음차표기를 생성하고 이들에 대한 적합성을 자동으로 파악하는 음차표기 모델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기법은 약 72%의 단어 정확률을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기법보다 최고 31%의 성능향상을 나타내었다.

  • PDF

An English-to-Korean Transliteration Model based on Character and Pronunciation (글자 및 발음 기반 영-한 음차표기 모델)

  • 오종훈;배선미;최기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925-927
    • /
    • 2004
  • 음차표기란 외국어의 발음을 자국어로 표기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영-한 자동 음차표기 방법에는 직접방식, 피봇방식, 혼합방식이 있다. 기존의 영-한 음차표기 연구들은 직접방식에 기반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음차표기는 직접방식에서 사용하는 단순한 자소 대 자소변환 작업이라기보다는 자소의 음성적 변환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소뿐만 아니라 음소 등 음성적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자소 정보뿐만 아니라 음소 정보를 이용한 음차표기 기법을 제안한다. 주어진 자소와 음소 및 자소와 음소의 문맥정보를 이용하여 한국어 음차표기를 생성하는 본 논문의 기법은 약 60%의 단어정확도를 나타내었다.

  • PDF

Disambiguating in Transliteration of some Text Symbols using Decision tree (결정 트리를 이용한 ′이음표′ 문자화의 중의성 해소)

  • 정영임;이동훈;남현숙;윤애선;권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940-942
    • /
    • 2004
  • 한국어 텍스트 음성합성에서 문장 기호의 문자화에 나타나는 오류는 기호의 중의성에 기인한다. 선행연구에서 규칙에 기반하여 중의성을 해결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여전히 기호는 다양한 문맥에서 높은 중의성을 가지고 문자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문 텍스트에 나타나는 문장 기호 중 이음표의 문자화를 이음표를 포함한 어절의 패턴, 패턴의 좌우에 위치하는 어절 정보 및 휴리스틱스 자질을 학습하여 제시된 이음표의 문자화의 중의성을 해소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1개 일간지 2년 치 기사에서 이음표를 포함한 어절 49,000여 개를 임의 추출하여 분석하였고, 분석된 자질을 자동추출하여 결정 트리를 구성하였다. 실험 결과, 96.2%~97.7%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An OT Analysis of Chinese Transliterations of English Place Names

  • Liang, C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v.7 no.2
    • /
    • pp.137-143
    • /
    • 2019
  •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Chinese transliterations of English place names in the Optimality Theory (OT) [1]. Three groups of monosyllabic, disyllabic and multisyllabic English place names are analyzed to represent the hierarchical ranking of both Markedness and Faithfulness constraints in terms of sound epenthesi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pair strategies named the Preservation Principle [2] devised to "preserve" every source segment (or sound) of the target place names. By doing so, this paper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y sound epenthesis takes place in transliterating words between languages. With the help of the established ranking of the relevant constraints, this paper explains the process of sound epenthesis formally.

Korean Characteristics of OkJoongHwa and J. S. Gale's Translation Practices in "Choon Yang" (『옥중화(獄中花)』의 한국적 고유성과 게일의 번역 실천 - J. S. Gale, "Choon Yang"(The Korea Magazine 1917.9~1918.8)의 번역용례를 중심으로)

  • Lee, Sang Hyun;Lee, Jin Sook
    • Cross-Cultural Studies
    • /
    • v.38
    • /
    • pp.145-190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ranslated individual words in J. S. Gale's "Choon Yang" in comparison with its original OkJoongHwa("獄中花") while referring to early modern bilingual dictionaries and missionaries' ethnography. Gale faced a lot of translation difficulties because the source text had a very different cultural system from the object text. OkJoongHwa was a Korean pansori novel which meant it included many Korean characteristics. However, Gale considered its Korean characteristics were deeply connected with Chinese classics. Even famous people and place names cited from the Chinese classics in OkJoongHwa represented the Korean thinking. Gale tried to faithfully translate the source text as much as possible whether the words were Chinese or Korean. In this paper, we deal with mostly various translation aspects of the Chinese-letter words in OkJoongHwa. Gale's first method to translate words made of Chinese Character is transliteration, the examples of which are the name of Chinese famous people and places, and Chinese poems. The second method is to parallel transliteration and English interpretation equivalent to the Chinese Character. The examples are the names of main characters like "Spring Fragrance or Choonyang," "Mongyong, or Dream-Dragon" and in his translation of word play in Osa (Commissioner), or Kamsa (Governor), kaiksa (a dead beggar). The third is literal translation of Chinese idiomatic phrases as Gale translated 侵魚落雁 into "She'd make the fishes to sink and the wild-geese to drop from the sky." The fourth is a little free translation of the title of public office, the various names of Korean yamen servants and the unique Korean clothing and ornaments. We expect Gale's many translation difficulties as we can see the translated long list of yamen clerks and Korean clothing and ornaments. After our investigation of his translation practices in "Choon Yang" we conclude that he tried to translate its literary language very faithfully though he could not avoid inevitable loss caused by the cultural difference involved in two languages. Gale's "Choon Yang" contributed to introducing the uniqueness of the classical Korean novel and Korean culture to the world more than any other English translation works of that time through his faithful translation.

A Contemplation on Language Fusion Phenomenon of Chinese Neologism Derived from Korean (한국어 차용 중국어 신조어의 언어융합 현상 고찰)

  • JUNG, E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6
    • /
    • pp.261-268
    • /
    • 2022
  • No language can be separated from other languages and exist independently. When a language comes in contact with a foreign culture, they continuously affect each other and bring changes. Hallyu boom(Korean wave), which was derived from the emergence of K-drama and K-pop due to rapid developments in global scientific technologies and digitization after the 90's, affected the Chinese language. As a result, neologisms that are derived from the Korean language are being commonly used for making exchanges and becoming social buzzwords. Neologisms derived from Korean reflect the effects and results of language contact between the two languages. We examined the background and cause of Chinese neologisms derived from Korean based on the sociocultural factors and psychological necessity, and explained neologisms by using four categories of transliteration, liberal translation, borrowing Korean-Chinese characters and others. Despite having the issue of being anti-normative during the process of coining new words, neologism enriches Chinese expressions and is a mirror for social culture that reflects the opinions and understandings of young Chinese people who pursue novelty, change, innovation and creativity in linguistic aspects. We hope that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 young people in Korea and China to change their perceptions and become more friendly by understanding each other's language, culture and by communicating. We also expect to provide assistance in regard to teaching and learning the applications of Korean-Chinese language fusion at Chinese education fields.

Verification of Transliteration Pairs Using Distance LSTM-CNN with Layer Normalization (Distance LSTM-CNN with Layer Normalization을 이용한 음차 표기 대역 쌍 판별)

  • Lee, Changsu;Cheon, Juryong;Kim, Joogeun;Kim, Taeil;Kang, In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76-81
    • /
    • 2017
  • 외국어로 구성된 용어를 발음에 기반하여 자국의 언어로 표기하는 것을 음차 표기라 한다. 국가 간의 경계가 허물어짐에 따라, 외국어에 기원을 두는 용어를 설명하기 위해 뉴스 등 다양한 웹 문서에서는 동일한 발음을 가지는 외국어 표기와 한국어 표기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좋은 검색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외국어 표기와 더불어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다양한 음차 표기를 함께 검색에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음차 표기 모델과 음차 표기 대역 쌍 추출을 통해 음차 표현을 생성하는 기존 방법 대신, 본 논문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다양한 음차 표현을 찾기 위해 문서에서 음차 표기 후보를 찾고, 이 음차 표기 후보가 정확한 표기인지 판별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다양한 딥러닝 모델을 비교,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음차 표기 대역 쌍 판별에 특화된 모델인 Distance LSTM-CNN 모델을 제안하며, 제안하는 모델의 Batch Size 영향을 줄이고 학습 시 수렴 속도 개선을 위해 Layer Normalization을 적용하는 방법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