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ition metal ion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9초

이온교환된 NaY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TBM와 THT의 흡착제거 (Adsorptive Removal of TBM and THT Using Ion-exchanged NaY Zeolites)

  • 정갑순;이석희;천재기;최재욱;우희철
    • 청정기술
    • /
    • 제15권1호
    • /
    • pp.60-66
    • /
    • 2009
  • 천연가스로부터 유기 황 화합물인 THT와 TBM의 흡착 제거를 위해 NaY 제올라이트계를 이용하여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NaY에 대한 표면의 산-염기적 특성을 변화시키고 흡착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Li, K, Fe, Co, Ni, Cu, Ag 등의 금속이온으로 이온교환하였으며, 이를 부취제 THT와 TBM의 흡착 제거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Cu-NaY, Ag-NaY, NaY에서 다른 물질들에 비해 THT, TBM의 파과흡착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Cu, Ag가 이온교환된 제올라이트의 증가된 산성적 특성 때문에 다른 이온들에 비해 높은 파과흡착량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산량이 Ag-NaY보다 높게 측정된 Cu-NaY의 경우, Cu의 담지량을 조절하였다. 이들 가운데 0.5 M의 질산구리 용액으로 이온교환된 Cu-NaY-0.5가 가장 높은 파과흡착량을 보였으며, THT에 대해 1.85 mmol-S/g, TBM에 대해 0.78 mmol-S/g을 각각 나타내었다. 그리고 THT의 탈착 활성화에너지는 NaY, Cu-NaY-0.5 두 물질에 대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며, TBM의 탈착 활성화에너지의 경우 Cu-NaY-0.5 흡착제에서 NaY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Heat Treatment Condition for Preparing $Nd_{1+x}Ba_{2-x}Cu_{3}O_{7-\delta}$ Superconductors

  • Fan Zhan guo;wha, Soh-Dea;zhan, Si-Ping;Li Yingmel;Lim Byongjae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4-627
    • /
    • 2001
  • Two kinds of Nd$_{1+x}$Ba$_{2-x}$Cu$_3$O$_{7-{\delta}}$, the sintering samples and zone melting samples, were heat treated under pure Ar at 95$0^{\circ}C$. The substitution of Nd ion for Ba ion in the Nd$_{1+x}$Ba$_{2-x}$Cu$_3$O$_{7-{\delta}}$ before and after the heat treatment were investigated by XRD. In order to know the effects of the heat treatment, the T$_{c}$ and J$_{c}$ of samples with the heat treatment and those without the heat treatment by Ar were comparatively studied. The results show that the substitution of Nd for Ba decreased, T$_{c}$, and J$_{c}$ increased after the treatment under Ar at 95$0^{\circ}C$. The Nd$_{1+x}$Ba$_{2-x}$Cu$_3$O$_{7-{\delta}}$ samples were oxygenated under pure oxygen at 30$0^{\circ}C$. From the XRD pattern it was found that the sample with x< 0.4 could transfer from tetragonal phase to orthorhombic phase after the oxygenation, but the sample with x>0.4 could not make the phase transition even after a long time oxygenation.ion even after a long time oxygenation.ation.n.ation.ation.

  • PDF

Tetramethylthiuram monosulfide를 ionophore로 이용한 납 이온 선택성 poly(aniline) 고체 접촉 전극 (Lead Ion Selective Solid Contact Electrode based on Tetramethylthiuram monosulfide ionophore)

  • 한원식;박운석;권혜영;이영훈;홍태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56-361
    • /
    • 2013
  • Lead (II) ion selective poly(aniline) solid contact electrode based on Tetramethylthiuram monosulfide ionophore as a sulfur containing sensing material is successfully developed. The electrode exhibits good linear response of 25.6 mV / decade (at $20{\pm}0.2^{\circ}C$, r2=0.995) with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1.0{\times}10^{-1}{\sim}4.0{\times}10^{-7}$ M Pb (II). The composition of this electrode was Ionophore : PVC : dioctylphthalate : potassiumtetrakis(4-chlorophenyl)borate : Oleic acid = 5.0 : 20.0 : 25.0 : 4.0 : 5.0. When we consider the results of using different composition electrodes based on only one potassiumtetrakis(4-chlorophenyl)borate or Oleic acid liphophlic additive, poly(aniline) solid contact electrode based on Tetramethylthiuram monosulfide ionophore with potassiumtetrakis(4-chlorophenyl)borate and Oleic acid liphophlic additive had the best result in response characteristics. The electrode shows good selectivity for lead (II) ion in comparison with alkali, alkaline earth, transition and heavy metal ions. This electrode is suitable for use with aqueous solutions of pH 3.0 ~ 7.0 and their standard deviation in the measured emf differences was ${\pm}2.94$ mV at Tris buffered lead sample solution of $1.0{\times}10^{-2}$ M and ${\pm}2.82$ mV at Tris buffered lead sample solution of $1.0{\times}10^{-3}$ M. Their stabilization time was less than 710 s. and response time was less than 16 s.

플루오린 함량 제어를 통한 LiVPO4O1-xFx 합성 및 리튬 이차전지 양극소재 전기화학 특성 분석 (Synthesis and Investigation of LiVPO4O1-xFxvia Control of the Fluorine Content for Cathode of Lithium-ion Batteries)

  • 김민경;이동휘;여찬규;최수연;최치원;윤현민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16-520
    • /
    • 2023
  • Highly safe lithium-ion batteries (LIBs) are required for large-scale applications such as electrical vehicles and energy storage systems. A highly stable cathode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safe LIBs. LiFePO4 is one of the most stable cathodes because of its stable structure and strong bonding between P and O. However, it has a lower energy density than lithium transition metal oxides. To investigate the high energy density of phosphate materials, vanadium phosphates were investigated. Vanadium enables multiple redox reactions as well as high redox potentials. LiVPO4O has two redox reactions (V5+/V4+/V3+) but low electrochemical activity. In this study, LiVPO4O is doped with fluorine to improve its electrochemical activity and increase its operational redox potential. With increasing fluorine content in LiVPO4O1-xFx, the local vanadium structure changed as the vanadium oxidation state changed. In addition, the operating potential increased with increasing fluorine content. Thus, it was confirmed that fluorine doping leads to a strong inductive effect and high operating voltage, which helps improve the energy density of the cathode materials.

Polyelectrolyte-Metal(II) 이온의 착물화 (제 3 보). Iron(II), Cobalt(II) Nickel(II) 및 Copper(II)와 Branched Poly(ethylene imine) (BPEI)간의 착물생성 (Complexation of Polyelectroyte-Metal(II) Ion. III. The Complex Formation of Iron(II), Cobalt(II), Nickel(II) and Copper(II) with Branched Poly(ethylene imine) (BPEI) in Aqueous Solution)

  • 김동수;조태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56-464
    • /
    • 1986
  • branched poly(ethylene imine) (BPEI)와 2가 전이금속인 Fe(II), Co(II), Ni(II) 및 Cu(II)간의 착물생성을 가시선 흡수 및 30${\circ}$, 0.1M KCl수용액 중에서 pH적정법으로 연구하였다. M(II)-BPEI착물의 안정도 상수는 M(II)-BPEI착물의 안정도 상수는 Gergor등에 의해 수정된 Bjerrum법으로 계산하였다. M(II)-BPEI착물의 생성 곡선으로 부터 ethylene imine group이 Fe(II)이온에 네자리, Co(II), Ni(II) 및 Cu(II) 이온에 각각 두 자리 배위된 착물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Cu(II)-BPEI착물의 경우 pH 3.4~3.8을 기준으로 산성도가 감소 또는 증가함에 따라 최대 흡광도(${\lambda}_{max}$)는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고, 흡광도는 pH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총괄 안정도 상수(log $K_2$)는 Co(II) < Cu(II) < Ni(II) < Fe(II)순으로 증가하였다.

  • PDF

우라늄(VI)의 분리회수를 위한 수지합성과 흡착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n Synthesis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for Separation and Recovery of U(VI))

  • 강영식;노기환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1호
    • /
    • pp.31-41
    • /
    • 1999
  • chloromethylated syrene, 1,4-divinylbenzene과 동공의 크기를 달리한 여러 가지 거대고리 화합물을 개시제로 하여 공중합법에 의하여 1%, 2%, 5%, 및 10%의 다리결합도를 가진 새로운 이온교환수지를 합성한 후 이 수지들을 에탄올 매질에서 열분석, pH, 시간, 다리결합도, 용매 등에 대하여 흡착특성 및 선택성을 살펴 보았다. 이 수지들은 강산, 강염기 및 열에 대해서 안정하였으며, pH 4.0 이상에서는 $UO_2^{+2}$이온에 대한 겉보기용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U(VI)금속이온은 Ce(III)금속이온에 대하여 선택성을 보였다.

  • PDF

원자가 결합법에 의한 전이원소 착물에 대한 쌍극자모멘트의 계산 (제1보). 팔면체 $[M(III)O_3S_3]$ 형태 착물의 쌍극자모멘트의 계산 [M(III) = V(III), Cr(III), Mn(III), Fe(III), Co(III), Ru(III), Rh(III) 및 Os(III)] (Calculation of the Dipole Moments for Transition Metal Complexes by Valence Bond Method (I). Calculation of the Dipole Moments for Octahedral $[M(III)O_3S_3]$ Type Complexes [M(III) = V(III), Cr(III), Mn(III), Fe(III), Co(III), Ru(III), Rh(III) and Os(III)])

  • 안상운;고정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8-205
    • /
    • 1979
  • 금속이온의 $d^2sp^3$ 혼성궤도함수와 리간드의 singIe basis set 궤도함수를 사용하여 팔면체 [M(II)O_3S_3]$형태 착물의 쌍극자모멘트를 계산하는 원자가결합법을 발전시켰다. [M(III)=V(III), Cr(III), Mn(III), Fe(III), Co(III), Ru(III), Rh(III) 및 Os(III)]. 이 새로운 방법에 있어서 금속이온의 valence basis sets와 리간드 궤도함수사이의 혼성계수가 같다고 가정할 필요가 없으며 이것이 근사분자궤도함수법에 의한 팔면체 전이원소 착물의 쌍극자모멘트를 계산하는 방법과 다른점이다. 원자가결합법에서는 근사분자궤도함수법에서 보다도 훨씬 쉽게 팔면체착물의 쌍극자 모멘트를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한 쌍극자 모멘트의 값이 또한 실험치 범위에든다.

  • PDF

Zn1-xFexO의 뫼스바우어 분광학적 연구 (The Study on Mössbauer Spectroscopy of Zn1-xFexO)

  • 김성진;이상률;박철수;김응찬;조영걸;김동호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5-78
    • /
    • 2008
  • $AB_2X_4$((A, B)=Transition Metal, X=O, S, Se) 물질에서의 8면체 자리의 이온 거동과 4면체 자리 이온과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면체 자리에 비자성 이온인 Zn 이온을 치환함에 따른 자기구조의 변화를 관측하여 8면체 자리의 자기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Cr이온의 일부를 Fe로 치환한 $[Co_{0.9}Zn_{0.1}]_A[Cr_{1.98}{^{57}Fe_{0.02}}]_BO_4$의 닐온도($T_N$는 90K로 $CoCr_{1.98}{^{57}Fe_{0.02}}O_4$ 비하여 감소하였다. 4.2 K에서의 초미세자기장값의 분석결과, 초미세자기장값의 작은 차이를 보이는 잘 분리된 2-set 형태로 나타났으며, $CoCr_{1.98}{^{57}Fe_{0.02}}O_4$의 초미세자기장값은 488, 478 kOe 인데 반하여, $Co_{0.9}Zn_{0.1}Cr_{1.98}{^{57}Fe_{0.02}}O_4$의 초미세자기장값은 $B_1=486$, $B_2=468$ kOe으로 나타났다. Zn 이온의 치환에 따라서 초미세자기장값의 변화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Zn 이온이 x=0.1 치환된 물질의 경우, 스핀재정렬온도($T_S$)가 18K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Co0.9Zn0.1Cr1.9857Fe0.02O4 물질의 초미세자기장 연구 (The Study of Hyperfine Fields for Co0.9Zn0.1Cr1.9857Fe0.02O4)

  • 최강룡;김삼진;김철성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9-42
    • /
    • 2008
  • [ $AB_2X_4$ ]((A, B)=Transition Metal, X=O, S, Se) 물질에서의 8면체 자리의 이온 거동과 4면체 자리 이온과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면체 자리에 비자성 이온인 Zn 이온을 치환함에 따른 자기구조의 변화를 관측하여 8면체 자리의 자기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Cr이온의 일부를 Fe로 치환한 $[Co_{0.9}Zn_{0.1}]_A[Cr_{1.98}{^{57}Fe_{0.02}}]_BO_4$의 닐온도($T_N$는 90K로 $CoCr_{1.98}{^{57}Fe_{0.02}}O_4$ 비하여 감소하였다. 4.2 K에서의 초미세자기장값의 분석결과, 초미세자기장값의 작은 차이를 보이는 잘 분리된 2-set 형태로 나타났으며, $CoCr_{1.98}{^{57}Fe_{0.02}}O_4$의 초미세자기장값은 488, 478 kOe 인데 반하여, $Co_{0.9}Zn_{0.1}Cr_{1.98}{^{57}Fe_{0.02}}O_4$의 초미세자기장값은 $B_1=486$, $B_2=468$ kOe으로 나타났다. Zn 이온의 치환에 따라서 초미세자기장값의 변화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Zn 이온이 x=0.1 치환된 물질의 경우, 스핀재정렬온도($T_S$)가 18K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촉매제로 구리이온을 이용한 환원성 제염에 의한 마그네타이트 용해 (Magnetite Dissolution by Copper Catalyzed Reductive Decontamination)

  • 김선병;박상윤;최왕규;원휘준;박정순;서범경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21-42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하이드라진 기조의 환원성 제염제를 이용한 마그네타이트 산화물의 용해를 다루고 있다. 마그네타이트로부터의 Fe(II) 및 Fe(III)의 용해는 protonation, surface complexation 및 reduction에 의해 지배를 받는다. 하이드라진과 황산은 산소결합을 파괴하거나 Fe(III)이온을 Fe(II)이온으로 환원시키기 위한 수소 및 전자를 각각 제공하게 된다. 속도론적 관점에서 보다 효율적인 용해를 위하여 다수의 전이금속의 영향을 분석하여 Cu(II) 이온이 효과적임을 확인한 바 있다. Cu(I) 이온은 Cu(II) 이온으로 산화되는 동안 전자를 방출하여 Fe(III) 이온을 환원시키고 다시 하이드라진에 의해 Cu(I) 이온으로 환원되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염용액에 매우 적은 양의 구리 이온 (약 0.5 mM)을 첨가함에 따라 평균 40% 용해속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고, 특히 특정 조건에서는 70% 이상 용해속도가 향상 됨을 확인하였다. 구리 이온이 하이드라진과 배위결합을 이루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으나, 분명한 것은 $Cu(II)/H^+/N_2H_4$으로 이루어진 제염제는 효과적인 용해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