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ient transfection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8초

DNA Transfection in SK-N-BE(2)C Human Neuroblastoma Cells

  • Lee, Myung-K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55-157
    • /
    • 1993
  • DNA transfection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by calcium phosphate-DNA co-precipitation in SK-N-BE(2)C human neuroblastoma cells. The DNA plasmid of TH2400CAT was used in which rat tyrosine hydroxylase gene was inserted into chloramphenicol acetyltransferase reporter gent. The transfection efficiency was 25-30% and the method was simple and reproducible. So, the method will be a good tool for transient transfection analysis.

  • PDF

최적의 luminescence 신호 분석을 위한 유전자 전달 방법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various transfection processes for the optimal luminescence signal analysis)

  • 박서현;이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640-647
    • /
    • 2016
  • 형광 간섭 현상을 최소화시켜 상대적으로 민감한 측정이 가능한 aequorin기반 luminescence기술은 $G_{{\alpha}16}$ 단백질 도입을 통해 세포 내부의 칼슘 이동 신호를 감지하여 G 단백질 결합 수용체(G protein-coupled receptor, GPCR)의 기능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세포 기반 분석 기술로 수용체 및 G 단백질 유전자 전달의 최적화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receptor subtype 2(CRF2) 수용체를 모델 시스템으로 CRF2와 $G_{{\alpha}16}$ 단백질이 구축된 세 가지 안정화 세포주를 제작하였고, 이들을 이용한 서로 다른 세 가지 조건의 임시 발현 세포주에서 작용제(sauvagine)와 길항제(K41498)의 반응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유전자 전달 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sauvagine 및 K41498의 농도에 따른 반응에서 CRF2-$G_{{\alpha}16}$ 안정화 세포주가 임시 발현 세포주보다 10배 이상의 유효신호 비율을 나타내었고(z'=0.77) 임시 발현 세포주의 경우 $G_{{\alpha}16}$의 안정화 발현 이후에 CRF2를 전달하는 경우가 다른 임시 발현 조건보다 2배 이상 높은 효율을 보였다(z'=0.84). 따라서 임시 유전자 전달 기술을 GPCR 세포 기능 분석 시스템에 활용할 경우 $G_{{\alpha}16}$ 단백질에 대한 안정화 세포주를 우선적으로 구축하고, 목표하는 다양한 수용체들을 단계적으로 발현시키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 판단된다.

일시적인 형질전환 분석을 이용한 testosterone에 의한 PPARγ-의존적 지방세포생성 조절에 관한 연구 (Study on PPARγ-dependent adipogenesis regulation by testosterone using transient transfection assays)

  • 정선효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82-487
    • /
    • 2014
  • 본 연구는 testosterone이 지방세포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것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조절기전을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과 일시적인 형질전환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정소절제수술 마우스(CAST)에 비해 testosterone이 처리된 정소절제수술 마우스(CAST+T)는 백색지방조직 무게와 지방세포 특이유전자($PPAR{\gamma}$와 aP2)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In vivo 결과와 일치되게, testosterone 처리는 분화된 3T3-L1세포에서의 triglyceride축적과 지방세포 특이유전자($PPAR{\gamma}$와 aP2)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Testosterone에 의해 활성화된 androgen receptor(AR)는 $PPAR{\gamma}$ transfection에 의해 유도된 luciferase reporter gene 활성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testosterone이 AR을 통해 지방세포분화에 대한 $PPAR{\gamma}$의 작용을 억제 조절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STABLE TRANSFORMATION OF CULTURED CHICKEN CELLS

  • Han, J.Y.;Shin, Y.S.;Shoffner, R.N.;Guise, K.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6권4호
    • /
    • pp.581-589
    • /
    • 1993
  • A plasmid vector, $RSVLTR/{\beta}G2$, containing lacZ gene under the control of the RSVLTR promoter were transfected into chicken embryo fibroblasts by three different transfection methods. Calcium phosphate, lipsome and DEAE-dextran techniques were applied for transfection of chicken cells. A histochemical assay with X-gal was used as a simple method for screening transfected cells. Plasmid $RSVLTR/{\beta}G2$ was expressed proficiently in the chicken embryo fibroblast. Calcium phosphate-DNA precipitate transfection resulted in the highest efficiency for transient expression of $RSVLTR/{\beta}G2$. Transfected cells formed colonies on the 9th day of incubation indicating stable transformation of the inserted plasmid.

Expression of Modified Green Fluorescent Protein in Suspension Culture of Taxus cuspidata

  • Kim, Chang-Heon;Kim, Kyung-Il;Chung, In-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91-94
    • /
    • 2000
  • The suspension cells of Taxus cuspidata were transformed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harboring binary vector pCAMBIE1302 encoding mgfp. Transient transfection efficiency was compared by using the fluoremetric measurement. The transient transfection efficiency was improved by transformation with DMSO and/or sonication treatment. Optimum conditions for DMSO and sonication treatment were 3% and 30sec, respectively. selection and maintenance of transformed cells were continued for 3 months. An insertion of the mgfp gene in transformed cells was detected by PCR and an expression of GFP confirmed by the western blot analysis.

  • PDF

JSRV Env가 세포의 전사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by the JSRV Env)

  • 김정우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89-95
    • /
    • 2005
  • 폐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JSRV는 NIH3T3 세포를 transformation 시키는 성질이 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바이러스 중 Envelope 단백질이 NIH3T3를 transformation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서 이것이 세포내에서 어떤 전사인자를 활성화시키는지를 luciferase 리포터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transient transfection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Envelope 단백질은 NF-kB와 AP-1의 활성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미꾸라지 발현백터의 활성도 조사 (Activity Analysis of Misgurnus mizolepis Experssion Vector)

  • 함경훈;임학섭;황지연;박진영;김무상;이형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57-463
    • /
    • 1998
  • 미꾸라지(Misgrunus mizolepis)의 DNA로부터 클론된 핵기질 부착부위(MAR)를 포함하는 발현벡터인 pUC19N6-luc 벡터를 구성하였다. 이를 물고기 CHSE-214 세포주에 electroporation으로 transfection 시킨 후 유전자의 발현율, 벡터의 copy 수 및 염색체내 삽입 양상을 luciferase 활성도 분석, PCR 및 Southern blotting를 통해 분석하였다. 대조군 발현벡터에 luciferase 유전자는 전형적인 transient 발현양상을 나타내는데 비해, 미꾸라지 MAR가 포함된 pUC19N6-luc 벡터의 luciferase 유전자의 발현은 transfection 후 5일째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Transfection된 CHSE-214 세포내에서 pUC19N6-luc 벡터는 대조군 벡터에 비해 높은 copy 수를 유지하였으나, 염색체내 삽입은 거의 비슷한 시간에 일어났다. 결론적으로 transfection 후 시간경과에 따른 pUC19N6-luc 벡터내의 luciferase 유전자의 발현 증가에 미치는 MAR의 효과는 벡터 copy수 증가 때문이 아니라, 염색체내 삽입후 형성되는 전사활성구조의 형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wo Synthetic Ligands for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 Kim, Min-A;Jeong, Sun-Hyo;Song, Yang-Heon;Kim, Dae-Il;Yoon, Mi-Ch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7-142
    • /
    • 2004
  •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is the molecular target for a class of drugs, the antidiabetic thiazolidnediones (TZDs). The heterodimer of PPAR${\gamma}$ with retinoid X receptor (RXR) plays a central role in the regulation of adipogenesis and insulin sensitization. We synthesized two chemicals, DANA87 and DANA88, shar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TZDs. Given this structural similarity, it was hypothesized that DANA87 and DANA88 may act as PPAR$\gamma$ ligands. In transient transfection assays, DANA87 and DANA88 caused slight increases in the endogenous expression of a luciferase reporter gene containing the PPAR responsive element in 3T3-L1 preadipocytes. However, DANA87 and DANA88 significantly inhibited troglitazone-induced reporter gene activation when cells were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DANA87 or DANA 88 and troglitazone, one of the TZDs that activate PPAR$\gamma$.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NA87 and DANA88 are not only weak agonists of PPAR${\gamma}$ transactivation, but also competitively antagonize troglitazone-induced PPAR$\gamma$ reporter activity.

  • PDF

A Minor Transactivation Effect of GATA-3 on its Target Sites in the Extrachromosomal Status

  • Lee, Gap-Ry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2호
    • /
    • pp.2056-2060
    • /
    • 2007
  • Transcription factor GATA-3 is the critical transcription factor for Th2 cell differentiation. In spite of its importance in Th2 cell differentiation, the molecular mechanism for its action in Th2 differentiation is poorly understood.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GATA-3 may be involved in the chromatin remodeling in the Th2 cytokine locus. To determine whether GATA-3 exerts its effect on its target sites in the extrachromosomal status, cell transfection assay was performed. In this assay, 800 bp IL4 promoter-luciferase constructs linked with GATA-3 target sites were transfected into the M12 B cell line, D10 mouse Th2 cell lines, and human T lymphoma Jurkat cell lines with or without the GATA-3 expression vector. The GATA-3 effects on its target sites were minimal in the extrachromosomal status, supporting the previous propositions that GATA-3 functions at the chromatin level by remodeling chromatin structure.

A549 폐 상피세포에서 합토글로빈에 의한 염증반응 조절 (Inflammatory Regulation by Haptoglobin in A549 Cells)

  • 김남훈;이명재;김인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00-504
    • /
    • 2006
  • 합토글로빈(Hp)은 조직손상이나 감염 등의 염증시에 혈중 농도가 증가하는 급성기반응단백질로서 주로 간에서 생합성되지만 염증을 동반한 폐에서도 발현됨이 보고되었다. 폐에서 합성되는 Hp이 염증반응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고자, Hp을 과발현하는 폐상피세포를 사용하여 COX-2 및 염증관련 cytokine들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Stable transfection 또는 transient transfection된 A549 세포에서 Hp이 잘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한 후 COX-2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Hp의 과발현에 의해 COX-2 합성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p을 과발현하는 A549세포에 LPS ($1{\mu}g/ml$) 또는 $IL-1{\beta}$ (100 U/ml)를 각각 24시간 동안 처치하였을 때, Hp에 의한 COX-2 발현 증가는 LPS또는 $IL-1{\beta}$자극에 의해 협동적으로 증가하였다. ACP-based PCR 방법으로 염증관련 cytokine들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Hp에 의해 SPARC의 발현이 현저히 저하되는 반면에 IL-4 및 S100A1 유전자 발현은 약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폐상피세포에서 Hp이 염증반응을 활성화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