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gender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4초

Evaluating the knowledge, attitude, perception, and readiness of caregivers of under 5-year-old children to accept malaria vaccine in Nigeria

  • Blessing Nkechi Emmanuel;Abubakar Nuhu Ishaq;Olisaemeka Zikora Akunne;Umar Faruk Saidu
    •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21-131
    • /
    • 2024
  • Purpose: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and mortality is greatly influenced by malaria, particularly in children. Nigeria alone accounts for about 25% of global malaria cases and fatalities. Despite efforts to control and eliminate malaria, conventional treatments have limitations, prompting the need for a vaccine. However, while efforts have focused on researching and developing malaria vaccines, less attention has been given to public acceptance and preparedness for vaccin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cross-sectional approach to assess the knowledge, perceptions, and readiness of caregivers towards the malaria vaccin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physical and online survey among a representative sample of caregivers across the six geopolitical regions of Nigeri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percentages. Results: Out of 347 respondents, 180 (51%) men, 165 (46.6%) women, 2 (0.5%) transgender, 156 (45%) rural settlers, and 191 (55%) urban settler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study reported an overall acceptance rate of 78.4% and 21.6% resistance rate. The age group between 21-30 years recorded the highest 207 (59.6%). A significant number of participants, 252 (59.6%), held at least a higher or post-secondary certificate, out of which 193 (55.6%) demonstrated strong readiness to accept the malaria vaccine. The study showed that fear of adverse effects was the main reason for malaria vaccine resistance among caregivers. Conclusion: This study's findings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caregivers' knowledge about the malaria vaccine, highlighting the factors that impact the acceptance of the malaria vaccine.

존재하지만 존재 않는 타자들의 공간 영화 <죽여주는 여자>의 담론 공간을 중심으로 (Existent, but Non-existent Spaces for Others Focusing on Discourse-spaces of a Korean Movie (2016))

  • 장은미;한희정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4권
    • /
    • pp.99-123
    • /
    • 2017
  • 본 연구는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영화 <죽여주는 여자>가 구성하는 공간을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젠더, 계급, 연령, 국가, 섹슈얼리티, 민족, 직업의 정치학이 상호 교차하면서 다음과 같은 공간을 구성하였다. 첫째, 나이 듦과 죽음이 교차하는 공간이다. 요양 병원, 달동네 쪽방촌, 북한산 바위, 호텔, 교도소 등을 통해 구성되는 이 공간은 죽음에 대한 역설과 모순을 불러일으키면서 죽음에 작동하는 가부장적 시선에 이의를 제기한다. 둘째, 밥벌이로서의 성매매 노동 공간으로 싸구려 여관과 녹음 짙은 야외 공원으로 대비되는 장소들이다. 낡은 여관방은 가부장적 성규범 사회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성매매 여성' 소영이 늙은 몸이 되면서 비체화되고 타자화되는 순간을 드러낸다. 셋째, 끊임없이 소환되는 모성 공간은 자식을 버린 죄책감에서 벗어나지 못한 소영의 일상을 통해 구성된다. 민호에 대한 과한 돌봄과 남성노인들에 대한 과도한 연민은 모성 결핍과 연결되면서, 모성 집착의 서사는 영화 내 다른 시선들과 충돌한다. 넷째, '다문화 소수자 유사가족 공간'은 이태원을 중심으로 경계 바깥의 구성원들이 모여 사는 공간이다. 이곳은 이성애 기반의 혈연 중심 '정상 가족'의 동질성에 균열을 내고 정상성 바깥의 섹슈얼리티를 가시화시키는 이질적 공간이다. 다섯째, 하위주체로서의 소영의 말하기 공간이다. 하위주체인 소영의 영화적 재현이 '말 걸기'라면 영화 텍스트 내에서 소영은 '말하기'의 주체로서 적극적으로 응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