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4초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Biology and Clinical Relevance

  • YiKim, Isaac;Kim, Moses M.;Kim, Seong-Jin
    • BMB Reports
    • /
    • 제38권1호
    • /
    • pp.1-8
    • /
    • 2005
  •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is a pleiotropic growth factor that has enthralled many investigators for approximately two decades. In addition to many reports that have clarified the basic mechanism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signal transduction, numerous laboratories have published on the clinical implication/applica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o name a few, dysregula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signaling plays a role in carcinogenesis, autoimmunity, angiogenesis, and wound healing. In this report, we will review these clinical implication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2에 의한 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 (Promoting effect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2 on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in vitro)

  • 정재창;손종경박대규강신성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0-25
    • /
    • 1995
  • 계배 limb bud 간충직 연골원성 세포로부터 연골세포로의 분화에 미치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f2(TGF-$\beta$2)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Hamburger-Hamilton stages 23/24의 간충직 세포들을 미세배양법으로 배양하면서. TGF-$\beta$2의 농도 및 처리시간에 따른 연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TGF-$\beta$2는 배양 첫 24시간 동안 1-2 n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였으며, 또한 TGF-$\beta$2의 처리군에서 배양 3일째에 tsss) sulfate의 glycosaminoglvcan으로의 유입량이 현저히 증가함을 보였다 한편. 배양 48시간내에TGF-$\beta$2를 처리한 경우 분화를 촉진 유도한 반면, 배양 48시간 이후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분화 촉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TGF-$\beta$2는 연골원 세포의 분화 초기단계에 세포외기질의 합성을 촉진시켜 세포응축을 유발하고. 세포-세포 및 세포-세포외기질의 상호작용을 증대시킴으로써 연골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킬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Targeting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Signaling in Cancer Therapy

  • Sheen, Yhun Yhong;Kim, Min-Jin;Park, Sang-A;Park, So-Yeon;Nam, Jeong-Seo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1권5호
    • /
    • pp.323-331
    • /
    • 2013
  • TGF-${\beta}$ pathway is being extensively evaluated as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 signaling pathway has the dual role in both tumor suppression and tumor promotion. To design cancer therapeutics successfull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GF-${\beta}$ related functional contexts. This review discusses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TGF-${\beta}$ pathway and describes the different ways of tumor suppression and promotion by TGF-${\beta}$. In the last part of the review, the data on targeting TGF-${\beta}$ pathway for cancer treatment is assessed. The TGF-${\beta}$ inhibitors in pre-clinical studies, and Phase I and II clinical trials are updated.

변형성장인자-${\beta}_1$이 치주인대세포와 치은섬유아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_1$ ON THE PROLIFERATION RATE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HUMAN GINGIVAL FIBROBLASTS.)

  • 조은경;이재목;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720-732
    • /
    • 1995
  • 미분화중배엽세포의 분화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변형성장인자-${\beta}1$이 초기배양한 치주인대세포와 치은섬유아세포에 각기 다른 농도와 시간에 따라 변형성장인자-${\beta}1$을 주입했을때 두 세포의 세포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각 조건에 따른 두 세포간의 증식능을 상호 비교해 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의 제 1 소구치 부위의 정상치은을 절제하고, 건강한 제 1 소구치를 발거하여 치은섬유아세포와 치주인대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변형성장인자-${\beta}1$을 주입시키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변형성장인자-${\beta}1$을 각각 0.25, 0.5, 1, 2.5, 5ng/ml로 주입시킨 군을 실험군으로하여 24시간, 48시간, 72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각 시간별 배양 24시간 전에 $1{\mu}Ci/ml$ $[^3H]-thymidine$을 첨가하여 $[^3H]-thymidine$이 DNA내로 편재되는 속도로써 두세포군의 증식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NA합성능에 미치는 변형성장인자-${\beta}1$의 효과는 치주인대세포와 치은섬유아세포 모두에서 투여한 변형성장인자-${\beta}1$의 효과는 치주인대세포와 치은섬유아세포 모두에서 투여한 변형성장인자에 대하여 농도의존적으로 세포가 증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은섬유아세포에 변형성장인자-${\beta}1$을 투여한 군에서는 24, 48, 72시간 모두에서 각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4시간 적용시 대조군에 비해 1,2.5, 5 ng/ml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고, 48시간 적용시에는 대조군에 비해 1, 2.5, 5 ng/ml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다. 48시간 적용시에 가장 높은 증식능을 보였으며 72시간 적용시에는 48시간 적용에 비해 전반적으로 증식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치주인대세포의 DNA 합성능에 미치는 변형성장인자-${\beta}$의 효과는, 변형성장인자-${\beta}$를 각각 24시간, 48시간 적용하였을�� 각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4시간 적용시에 대조군에 비해 1, 2.5, 5ng/ml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고, 48시간 적용시에 대조군에 비해 2.5, 5ng/ml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애었다. 72시간 적용시에는 5ng/ml의 농도에서 증식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8시간 적용시에 역시 가장 높은 증식능을 보였으며 72시간 적용에서는 48시간 적용에 비해 전반적으로 증식능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변형성장인자-${\beta}1$의 적용에 따른 치주인대세포와 농도별 비교에서 치은섬유아세포군이 치주인대세포군보다 더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치주인대세포와 치은섬유아세포의 단백질과 교원질 합성능에 대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의 효과 (The Effect of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on Collagen Synthetic Activity of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Human Gingival Fibroblasts)

  • 김미정;이재목;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2호
    • /
    • pp.429-447
    • /
    • 1996
  •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is one of the polypeptide growth factors that mediate the activity of mesenchymal cells and regulate wound healing process via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form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on the protein synthetic activity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human gingival fibroblasts. The cells which were prepared were primary cultured gingival fibroblasts and periodontal ligament cells from humans, and the fourth or sixth subpassage were used in the experiments. Cells were seeded and at a confluent state, 0, 0.5, I, 2.5, 5, 10 ng/ml $TGF-{\beta}$ and $2{\mu]Ci/ml\;[^3H]$ proline were added to the cells and cultured for 24 hours. Then, 1 and 5 ng/ml concentrations were selected and added to confluent cells and cultured for 24 and 48 hours. They were labeled with $2{\mu}Ci/ml\;[^3H]$ proline for 24 hours and a collagen assay was done by the Peterkofsky and Diegelman method.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the mean disintegration per minute (dpm) per well and S.D. of four determin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total protein, collagen and noncollagenous protein synthesis i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gingival fibroblasts were increased dose- dependently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p to 2.5-5 ng/ml concentration and decreased at 10 ng/ml concentration. The percent of collagen was slightly chang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po The effect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was not specific for collagen synthesis since it increased the total, noncollagenous and collagenous protein, simultaneously. In the comparison of protein synthetic activity between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human gingival fibroblasts, the human gingival fibroblasts had higher activities than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t all times and concentrations of $TGF-{\beta}$. In the comparison of protein synthetic activity between the 24 hour effect and the 48 hour effect of $TGF-{\beta}$, the 48 hour cultured cells' synthetic activity decreased more than the 24 hour cultured cells at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human gingival fibroblasts. In conclusion, $TGF-{\beta}$ has important roles in the stimulation of protein synthesis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human gingival fibroblasts. Thus, it may be useful for clinical application in periodontal regenerative procedures.

  • PD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 Induces Invasion and Migration of Ras- Transformed MCF10A Human Breast Epithelial Cells

  • Kim, Mi-Sung;Moon , A-Ree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27.3-328
    • /
    • 2002
  •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 a hormonally active polypeptide found in normal and transformed tissues. regulates cellular growth and phenotyphic plasticity.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H-ras. but not N-ras. induces invasive phenotype in MCF10A human breast epithelial cells. In this study. we wished to examine the effect of TGF-${\beta}$ on H-ras-induced invasion and motility in MCFI 10A cells by performing in vitro invasion assay and wound migration assay. (omitted)

  • PDF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ype II Receptor of the Rat

  • Ryu, Doug-You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59-61
    • /
    • 2000
  •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ype II receptor (TGE$\beta$RII) gene of the rat was studied. TGF$\beta$RII is a tumor suppressor that is frequently inactivated by mutation in human colon cancers. A novel nucleotide polymorphism of G to A(or A to G), which causes a silent mutation at codon 129, was found in G:C rich sequence in the TGF$\beta$RII gene of Sprague-Dawley rats. The results suggest that genetic polymorphism occures without a strain of the laboratory animal.

  • PDF

ESTABLISHMENT OF IN VITRO BIOASSAY FOR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varepsilon$)

  • Kim, Mi-Sung;Ahn, Seong-Min;Aree Moon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Dietary and Medicinal Antimutgens and Anticarcinogens
    • /
    • pp.201-201
    • /
    • 2001
  •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 $\beta$), a hormonally active polypeptide found in normal and transformed tissue, is a potent regulator of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In this study, we wished to establish an in vitro bioassay system to seek the most sensitive method that can measure TGF- $\beta$ activity.(omitted)

  • PD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on In-vitro Maturation of Porcine Oocytes)

  • 신명균;박춘근;조재원;정희태;양부근;김정익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7-275
    • /
    • 1998
  • 돼지 수정란의 체외생산은 난자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관한 기술의 부족으로 아직까지 만족스럽지 못한 수준이다. 특히 돼지 수정란의 체외생산에는 복잡한 세포질의 성숙과정과 높은 다정자침입율 및 전핵형성의 억제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 체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TGF$\beta$)의 첨가가 난자 및 난구세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체외성숙용 배지에 TGF$\beta$를 1~10ng/$m\ell$의 농도로 첨가하여 미성숙 난자를 배양한 결과 성숙율이 높아졌다. TGF$\beta$의 효과는 난구세포가 제거된 난자의 성숙에도 효과적이었다. TGF$\beta$(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 내에서는 배양 24시간 까지 metaphase-II로 성숙된 난자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TGF$\beta$를 첨가한 배양액 내에서는 관찰되었다. 한편, 난구세포가 부착된 난자의 성숙배양시 TGF$\beta$의 첨가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난구세포를 제거한 난자의 경우에는 성숙배양 전반기(59%) 또는 후반기(57%) 24시간 동안에만 TGF$\beta$를 첨가하는 것이 48시간 동안 계속하여 첨가(27%)하는 경우 또는 비첨가(38%)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성숙율을 나타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는 난구 세포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필수적이지만 TGF$\beta$는 난구세포가 제거된 난자의 체외성숙에 어 느정도 유익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파골세포에 대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의 활성화 작용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Stimulates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in vitro)

  • 양대석;김일찬;고성희;유병제;남궁용;강신성;이창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17-324
    • /
    • 1996
  • 파골세포는 골조직을 분해하는 세포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파골세포 활성조절은 골조직의 성장과 재조합의 조절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기관배양을 통해 파골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여러가지 인자들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는 골조직 대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한 골조직내에 다량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TGF-$\beta$의 파골세포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는 것은 전체 파골작용의 조절기작을 알아보는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인들은 계배를 이용한 파골세포의 배양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파골세포 활성을 측정하는데 사용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TGF-$\beta$1이 파골세포의 골분해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활성작용은 TGF-$\beta$의 파골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라기 보다는 다른 세포를 통한 간접적인 효과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GF-$\beta$에 의한 파골세포의 활성화는 nordihydroguaiaretic acid에 의해 현저하게 저해된 반면, idomethacin에 의해서는 저해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들은 TGF-$\beta$가 arachidonic acid의 lipoxygenase 유도체를 통해 파골세포의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