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검색결과 446건 처리시간 0.035초

청상방풍탕 열수 추출물의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보습 효과 및 세포독성 평가 (Skin Regeneration, Anti-wrinkle, Whitening and Moisturizing Effects of Cheongsangbangpung-tang Aqueous Extracts with Cytotoxicity)

  • 우창윤;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9-70
    • /
    • 2017
  • 목 적: 본 연구는 한의학에서 면포질환에 빈번히 사용하는 대표적인 복합처방인 청상방풍탕의 열수 추출물 동결건조물의 피부 노화 개선 효과 평가를 위하여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각각 평가하였고, 기본적인 독성 평가의 일환으로 세포독성 또한 in vitro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방 법: 본 연구에서는 human normal fibroblast(CRL-2076) 세포 및 B16/F10 murine melanoma(CRL-6475) 세포에 대한 청상방풍탕 열수 추출 동결건조물(수율 18.71%)의 세포독성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방법을 통해 평가하였고, B16/F10 melanoma cells의 melanin 생성 억제 정도 및 melanin 합성 필수 효소인 tyrosinase 활성 억제와 arbutin을 비교 평가하여 미백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 효과를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beta}1$와 fibroblast의 collagen type I 합성능을 비교, phosphoramidon disodium salt(PP)와 세포외 기질의 분해에 관여하는 elastase활성 억제를 비교, oleanolic acid(OA)와 hyaluronidase, collagenase 및 matrix metalloproteinase(MMP)-1 활성 억제를 비교하여 각각 평가하였고, 마우스 피부 수분함량 변화를 관찰하여 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결 과: 본 실험의 결과, 청상방풍탕은 human normal fibroblast 세포 및 B16/F10 murine melanoma 세포에서 최고 농도인 500 mg/ml까지 유의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fibroblast의 collagen type I 합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세포외기질 파괴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hyaluronidase, elastase, collagenase 및 MMP-1 활성을 각각 억제하였고 melanin의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의 활성 및 B16/F10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차단함이 관찰되었다. 이와 더불어 정상매체 대조군에 비해 청상방풍탕 경구 투여군이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마우스 피부 수분 함량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 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청상방풍탕은 세포 독성 없이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남이 관찰되어 차후 피부 개선 소재로서 그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나 금후 개별 구성 약재 각각에 대한 효능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성분의 검색과 더불어 다양한 방면으로 기전적인 연구와 피부 보호 효과에 대한 in vivo평가를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임실지역 젖소 초유로부터 분리한 TGF-β 함유 유청 단백질의 면역활성 (Immunological Activity of Bovine Colostral Whey Protein Containing TGF-β from Imsil Province)

  • 양희선;오현희;최희영;박종혁;김경희;오전희;정후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9-345
    • /
    • 2012
  • 분만 후 3일 이내에 분비되는 임실 지역의 젖소 초유에서 유청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고 RAW 264.7 세포의 증식 및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초유의 유청 단백질 g당 TGF-${\beta}1$은 875 pg/mL,TGF-${\beta}2$는 6,600 pg/mL이었으며 실험에 사용한 초유 유청 단백질 내 총 TGF-${\beta}$의 양은 7,475 pg/mL이었다. RAW264.7 세포에 대한 초유 유청 단백질 첨가에 따른 세포증식 정도를 알아본 결과 10 mg/mL의 농도까지는 세포성장을 유도하였으나 20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성장을 억제하였다. 이에 RAW 264.7 세포에서의 초유 유청 단백질의 면역관련 실험에 사용할 농도는 최대 10 mg/mL까지로 결정하였다. RAW 264.7 세포에 초유 유청 단백질(0-10 mg/mL)과 LPS(1 ${\mu}g/mL$)를 차례로 반응시키고 NO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초유 유청 단백질이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LPS 자극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TNF-${\alpha}$, IL-$1{\beta}$, IL-6)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초유 유청 단백질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S를 단독으로 첨가했을 때 TNF-${\alpha}$, IL-$1{\beta}$, IL-6의 농도가 모두 증가하였으나 초유 유청 단백질을 첨가한 경우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유 유청 단백질에 의해 NO를 비롯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이 heme oxygenase-1의 발현과 관련하는지 알아보고자 초유 유청 단백질을 농도별(0-10 mg/mL)로 처리하여 heme oxygenase-1의 발현여부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3-4배 이상의 발현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보아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TGF-${\beta}$ 등을 함유한 초유 유청 단백질은 10 mg/mL 이하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heme oxygenase-1의 발현을 유도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 IL-$1{\beta}$, IL-6 및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선퇴가 인간의 THP-1 단핵구에서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yptotympana pustulata on the expression of cytokine genes in human monocytes of THP-1)

  • 안종현;김경준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4-110
    • /
    • 2010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mmune reaction inductive substances such as phorbol-myristate-acetate(PMA), lipopolysaccharide(LPS), dermato-phagoides pteronyssus crude extract(DPE), dinitrochloro-benzene(DNCB) and Cryptotympana pustulata(CP), the Cryptotympana pustulata extracting substance at simultaneously on the translocation of nuclear factor-kappa B(NF-${\kappa}B$) towards to the nucleus and the mRNA expression patterns of various cytokine genes in Human acute monocytic leukemia cell line(THP-1 cells), monocytes of human. Experiment : To analyze cytokine genes expression patterns, the RT-PCR method was used, measuring tumor necrosis factor(TNF)-$\alpha$ that had been secreted during cell culture in the ELISA method. The morphological change in the cell observed during THP-1 cell culture wa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in the cell NF-${\kappa}B$ was analyzed through immunocytochemistry and a confocal microscopy. Result : CP showed different influences onto the mRNA expression patterns of cytokine genes with PMA, LPS. DPE and DNCB according to the types of immune inductive substances in the THP-1 cells. The expressions of inter-leukin(IL)-10, interferon(INF)-$\gamma$, TNF-$\alpha$ and monocyte chemoattractantant protein(MCP)-1 induced by PMA were suppressed by CP while the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beta$ was promoted. Regarding the secretion pattern of TNF-$\alpha$ according to PMA processing, its secretion amount was increased by CP concurrent processing, in case of processing CP onto PMA and LPS, We discovered that the secretion amount of TNF-$\alpha$ was increased. Upon processing PMA and LPS on the THP-1 cell strain at the same time or either additionally processing CP thereon, the movement increase towards the nucleus from the NF-${\kappa}B$ cell cytoplasm, a transcription factor was able to be observed. Conclusion : In this study, Cryptotympana pustulata extracting substance was confirmed that it had an influence on expression patterns of cytokine genes according to the actions of a variety kinds of immune reaction inductive substances processed on the monocyte THP-1 cell of humans. Therefore, additional studies as for the immune adjusting function of Cryptotympana pustulata are considered to be able to offer important materials for curing immune abnormal diseases such as atopy dermatitis afterward.

Saponins from Panax japonicus ameliorate age-related renal fibrosis by inhibition of inflammation mediated by NF-κB and TGF-β1/Smad signaling and suppression of oxidative stress via activation of Nrf2-ARE signaling

  • Gao, Yan;Yuan, Ding;Gai, Liyue;Wu, Xuelian;Shi, Yue;He, Yumin;Liu, Chaoqi;Zhang, Changcheng;Zhou, Gang;Yuan, Chengf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3호
    • /
    • pp.408-419
    • /
    • 2021
  • Background: The decreased renal function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biological aging, of which the main pathological features are chronic inflammation and renal interstitial fibrosis. In previous studies, we reported that total saponins from Panax japonicus (SPJs) can availably protect acute myocardial ischemia. We proposed that SPJs might have similar protective effects for aging-associated renal interstitial fibrosis. Thus,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overall effect of SPJs on renal fibrosis. Methods: Sprague-Dawley (SD) aging rats were given SPJs by gavage beginning from 18 months old, at 10 mg/kg/d and 60 mg/kg/d, up to 24 months old. After the experiment, changes in morphology, function and fibrosis of their kidneys were detected. The levels of serum uric acid (UA), β2-microglobulin (β2-MG) and cystatin C (Cys C) were assayed with ELISA kits. The levels of extracellular matrix (ECM),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 (TIMPs), inflammatory factors and changes of oxidative stress parameters were examined. Results: After SPJs treatment, SD rats showed significantly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kidneys accompanied by decreased renal fibrosis and increased renal function; As compared with those in 3-month group, the levels of serum UA, Cys C and β2-MG in 24-month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Compared with those in the 24-month group, the levels of serum UA, Cys C and β2-MG in the SPJ-H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ECM was reduced and the levels of MMP-2 and MMP-9 were increased, the levels of TIMP-1, TIMP-2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Smad signaling were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 of phosphorylated nuclear factor kappa-B (NF-κB) was down-regulated with reduced inflammatory factors; meanwhile, the expression of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antioxidant response element (Nrf2-ARE) signaling was aggrandiz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Js treatment can improve age-associated renal fibrosis by inhibiting TGF-β1/Smad, NFκB signaling pathways and activating Nrf2-ARE signaling pathways and that SPJs can be a potentially valuable anti-renal fibrosis drug.

산후우울증 환자에서 혈장 Cytokine의 농도변화에 대한 전향적 연구 (Plasma Levels of Cytokines in Patients with Postpartum Depression)

  • 이윤정;김용구;김계현;이분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77-184
    • /
    • 2020
  • 연구목적 산후우울증은 일반적으로 산모의 10~15%에서 발병하는 질환으로 그 원인으로는 정신사회적인 요인과 산과적인 요인이 모두 관계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감염, 손상, 악성종양, 자가면역질환, 스트레스에 의해 면역체계가 자극되면 proinflammatory cytokine과 anti-inflammatory cytokine이 생성되고 분비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후우울증이 있는 경우 산후우울증이 없는 군에 비해 혈중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TGF-β1),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β-Nerve growth factor (β-NGF), Interleukin-2 (IL-2), IL-4, IL-6,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feron-γ (IFN-γ)의 농도가 상승되어 있을 것이라 가정하고, 임산부에서의 우울증의 경과에 따라 cytokine의 농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총 104 명의 임산부와 60명의 임신을 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울 증상은 임신 24주, 출산 1주, 출산 6주에 에딘버러 산후 우울 척도(EPD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EPDS의 총 점수가 10 이상인 경우, 우울증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EPDS 점수 변화에 따라 임산부 정상대조군, 출산 후 우울-회복군, 출산 후 우울군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결 과 임신군과 비임신 정상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TGF-β1, IGF-1의 혈장 농도는 임신군에서 비임신 정상대조군보다 더 높았다(TGF-β1 ; p<0.01, IGF-1 ; p=0.026). 그러나 β-NGF, IL-2, IL-4, IL-6, IFN-γ, TNF-α는 비임신 여성대조군에 비해 임산부 정상대조군에서 그 농도가 낮게 측정되었다(β-NGF ; p=0.001, IL-2 ; p<0.01, IL-4 ; p<0.01, IL-6 ; p<0.01, IFN-γ ; p<0.01, TNF-α ; p<0.01) 임신 24주에 TGF-β1, IGF-1, β-NGF, IL-2, IL-4, IL-6, IFN-γ, TNF-α의 농도를 살펴보면 임산부 정상대조군, 출산 후 우울-회복군, 출산 후 우울군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출산 6주에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임신 24주, 출산 6주에 시간에 따른 농도 차이를 비교해 보았을 때 세 군에서 모두 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본 연구는 비임신 정상대조군과 임신군간의 혈장 cytokine 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했으나 산후우울증군과 정상 임신대조군간의 혈장 cytokine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밝혀내지는 못했다.

고혈당으로 유도된 신장 mesangial cell 에서 nobiletin의 matrix accumulation 과 TGF-β1-Src-caveolin-1 signaling에 의한 사구체 경화증 억제효과 (Dietary nobiletin suppresses TGF-β1- Src-caveolin-1 dependent signaling involved with high glucose-induced renal mesangial matrix accumulation)

  • 김동연;강영희;강민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1호
    • /
    • pp.1-1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혈당으로 인해 유발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대표적인 증상인 사구체 경화증을 완화시키는 nobiletin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장 세포인 HRMC를 이용하여 고혈당에서의 세포외 기질 축적 단백질의 발현과 경화에 관여하는 신호 전달 억제 효능을 확인한 결과 nobiletin은 고혈당의 자극에 의해 증가하는 섬유화 단백질인 collagen IV, fibronectin 그리고 CTGF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여기에 관여하는 TGF-β1-Src-caveolin-1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사구체 경화증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nobiletin은 고혈당으로 유도된 당뇨병성 신장병증에 있어 사구체 경화증을 예방하는 기능성 성분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Bleomycin Inhibits Proliferation via Schlafen-Mediated Cell Cycle Arrest in Mouse Alveolar Epithelial Cells

  • Jang, Soojin;Ryu, Se Min;Lee, Jooyeon;Lee, Hanbyeol;Hong, Seok-Ho;Ha, Kwon-Soo;Park, Won Sun;Han, Eun-Taek;Yang, Se-Ra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2권2호
    • /
    • pp.133-142
    • /
    • 2019
  • Background: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nvolves irreversible alveolar destruction. Although alveolar epithelial type II cells are key functional participants within the lung parenchyma, how epithelial cells are affected upon bleomycin (BLM) exposure remains unknown. In this study, we determined whether BLM could induce cell cycle arrest via regulation of Schlafen (SLFN) family genes, a group of cell cycle regulators known to mediate growth-inhibitory responses and apoptosis in alveolar epithelial type II cells. Methods: Mouse AE II cell line MLE-12 were exposed to $1-10{\mu}g/mL$ BLM and $0.01-100{\mu}M$ baicalein (Bai), a G1/G2 cell cycle inhibitor, for 24 hours. Cell viability and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analyzed by MTT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pectively. Apoptosis-related gene expression was evaluated by quantitative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Cellular morphology was determined after DAPI and Hoechst 33258 staining. To verify cell cycle arrest, propidium iodide (PI) staining was performed for MLE-12 after exposure to BLM. Results: BLM decreased the proliferation of MLE-12 cells. However, it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levels of interleukin 6, tumor necrosis factor ${\alpha}$,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Based on Hoechst 33258 staining, BLM induced condensation of nuclear and fragmentation. Based on DAPI and PI staining, BL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ize of nuclei and induced G2/M phase cell cycle arrest. Results of qRT-PCR analysis revealed that BLM increased mRNA levels of BAX but decreased those of Bcl2. In addition, BLM/Bai increased mRNA levels of p53, p21, SLFN1, 2, 4 of Schlafen family. Conclusion: BLM exposure affects pulmonary epithelial type II cells, resulting in decreased proliferation possibly through apoptotic and cell cycle arrest associated signaling.

결핵 환자의 치료경과 중 혈청 내 Cytokine 분비와 변화 (Circulating Cytokine Levels and Changes During th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ctive Tuberculosis in Korea)

  • 류연주;김윤정;권정미;나윤주;정유진;서주영;천선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2호
    • /
    • pp.140-153
    • /
    • 2003
  • 연구배경 : 결핵균 항원으로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이 활성화되면 여러 종류의 cytokine이 분비되고 각기 다른 cytokine과 network system으로 작용하여 여러 병태생리적인 과정을 조절한다. 결핵 환자에서 염증반응, 조직파괴 및 질환의 중증도는 proinflammatory cytokine과 suppressive cytokine의 균형과 조합에 의하여 결정되며, 결핵 진행의 제한과 악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결핵의 이환과정에서 cytokine의 분비 및 변화와 역할을 파악하는 것이 질환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 활동성 폐결핵 83명, 기관지 결핵 10명의 치료전과 정상 대조군 20명에서 말초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하여 $-70^{\circ}C$에 보관하였고, sandwich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혈청 IL-$1{\beta}$, IL-2, IL-4, IL-6, IL-10, IL-12(p40), TNF-${\alpha}$, IFN-${\gamma}$, TGF-${\beta}$를 측정하였다. 폐결핵 환자 83명을 ATS guideline에 따라 중증도를 분류하였고, 추적관찰 중 탈락자를 제외한 45명에서 초치료 2개월과 6개월 후 각각 혈청 sIL-$1{\beta}$, IL-2, IL-4, IL-6, IL-10, IL-12(p40), TNF-${\alpha}$, IFN-${\gamma}$, TGF-${\beta}$를 재측정하였다. 결 과 : 1) IL-$1{\beta}$, TNF-${\alpha}$, IFN-${\gamma}$는 폐결핵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된 경향을 보였고(p>0.05), IL-6는 폐결핵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TGF-${\beta}$는 폐결핵과 기관지 결핵환자에서의 분비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된 경향을 보였으며(p>0.05), IL-2, IL-12(p40), IL-4, IL-10은 대조군과 폐결핵 환자에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기관지 결핵 환자에서 IL-6, TNF-${\alpha}$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고 TGF-${\beta}$는 감소된 경향을 보였다(p>0.05). 폐결핵에 비해 IL-12(p40)의 분비는 증가된 경향을 보였다. 3) 결핵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IFN-${\gamma}$와 IL-6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특히 중증군에서 현저하였다. 4) 폐결핵 환자에서 치료전 측정한 IL-$1{\beta}$, IL-6, TNF-${\alpha}$ 간 및 IL-2, IL-4, IL-12 간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5) 폐결핵 환자 45명에서 측정한 IL-6와 IFN-${\gamma}$는 치료후 2개월과 6개월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결핵의 병태생리에 있어서 여러 cytokine간의 균형과 조합의 변화가 숙주의 염증, 조직파괴 및 결핵의 중증도와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결핵의 형태나 면역반응 정도에 따른 다양성을 보여서 결과의 해석과 cytokine 측정의 임상적 이용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LPS에 의해 자극된 B 림프구에 의한 Th1 림프구 분화 억제 (LPS Stimulated B Lymphocytes Inhibit the Differentiation of Th1 Lymphocytes)

  • 김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425-1431
    • /
    • 2015
  • 면역 시스템의 림프구는 B 림프구와 T 림프구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B 림프구는 플라즈마 세포로 분화하여 항체를 생성하는 체액성 면역을 담당하며, T 림프구는 다른 세포나 세균을 죽이는 세포성 면역을 담당한다. 고전적으로 B 림프구와 T 림프구의 작용은 한 방향으로 이뤄졌다. T 림프구는 B 림프구의 분화를 촉진하고 면역글로불린종류의 전환을 조절한다. T 림프구가 부족한 경우 B 림프구의 부족을 초래함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 역으로 B 림프구가 T 림프구의 분화와 활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예를 들어, B 림프구는 CD8+ T 림프구의 tolerance를 직접 조절할 수 있고, TGF-β의 분비를 통해 T 림프구의 anergy를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LPS에 의해 자극된 B 림프구가 수지상세포에서 IL-12의 분비를 억제하여 Th1 림프구의 분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억제는 B 림프구와 수지상세포의 직접적인 interaction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B 림프구가 수지상세포의 성숙을 조절하여 일어나는 것도 아니다. B 림프구에서 분비되는 soluble factor가 LPS에 의해 증가되는 수지상세포의 IL-12p35 transcription을 억제한다. 이 결과들은 B 림프구가 매개하는 새로운 면역억제 기전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이것은 고전적인 방향성을 가진 T 림프구에 의한 B 림프구 작용조절로 면역반응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T 림프구와 B 림프구가 서로 작용을 하여 면역평형을 결정하는 기전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Lack of Influence of the SMAD7 Gene rs2337107 Polymorphism on Risk of Colorectal Cancer in an Iranian Population

  • Akbari, Zahra;Safari-Alighiarloo, Nahid;Haghighi, Mahdi Montazer;Vahedi, Mohsen;Mirtalebi, Hanieh;Azimzadeh, Pedram;Milanizadeh, Saman;Shemirani, Atena Irani;Nazemalhosseini-Mojarad, Ehsan;Aghdaei, Hamid Asadzadeh;Zali, Mohammad Rez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1호
    • /
    • pp.4437-4441
    • /
    • 2014
  • SMAD7 has been identified as a functional candidate gene for colorectal cancer (CRC). SMAD7 protein is a known antagonist of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beta}$) signaling pathway which is involved in tumorigenesis. Polymorphisms in SMAD7 may thus alter cancer risk.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 SMAD7 gene polymorphism (rs2337107) on risk of CRC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in an Iranian population. In total, 210 subjects including 105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and 105 healthy controls were recruited in our study. All samples were genotyped by TaqMan assay via an ABI 7500 Real 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with DNA from peripheral blood. The polymorphism was statistically analyz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and clinicopathological properti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rs2337107and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In addition,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genotypes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was observed (p value>0.05). Although there was not any association between genotypes and disorder, CT was the most common genotype in this population. This genotype prevalence was also higher in the patients with well grade (54.9%) and colon (72.0%) tumors. Our results provide the first evidence that this polymorphism is not a potential contributor to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in an Iranian population, and suggests the need of a large-scale case-control study to validate our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