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9초

전기치료가 긴장형 두통환자의 뇌 혈류 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therapy on Blood Velocity of Cranial Artery in Tension-Type Headache subjects)

  • 박래준;김진상;이인학;박장환;한동욱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3호
    • /
    • pp.349-359
    • /
    • 2000
  • The aim of study was to evaluated the possible role of cranial artery velocity in headache pathogenesis. The present study was studied of five headache(F=5. Mean $age=29.80\pm6.76yrs$) were compared to 4 controls(F=4, Mean $age=29.00\pm5.48yrs$).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TCD) is a new non-invasive and easily applicable method to evaluate flow velocities of the intracranial and extracranial cerebral arteries. TCD was performed with standard method to measure the mean Flow Velocity(MFV) of the middle and posterior cerebral arteries, the internal carotid artery, the vertebral and the basilar artery. We reviewed the whole TCD results performed at Taejon Veterans Hospital from October. 11. 2000 to November. 10. 2000. Mean flow velocities in headaches and controls at their 6 decades are $28.00\pm3.61cm/sec$ and $41.25pm1.71cm/sec$ in lent PCA (P<0.01), $50,000\pm23.07cm/sec$ and $82.75\pm15.59cm/sec$ in right MCA(P<0.05), $26.20\pm4.82cm/sec$ and $45.50\pm4.51cm/sec$ in fight PCA(P<0.01). $26.60\pm4.56cm/sec$ and $38.25\pm4.92cm/sec$ in right VAC(P<0.01). After treatment for 2 weeks, mean of velocity on pre treatment and post treatment and post treatment are $28.00\pm3.61cm/sec$ and $38.20\pm5.81cm/sec$ in left PCA (P<0.05), $26.20\pm4.827cm/sec$ and $39.20\pm5.54cm/sec$ in right PCA(P<0.05), $40.60\pm9.18cm/sec$ in right VA(P<0.01). It is concluded that Electrical Therapy for two weeks was effected to promote Mean Flow of Velocity in cranial artery. Mean of velocity in cranial artery with headaches observed in this study was lower than controls, but MFV was promote after treatment for 2 weeks.

  • PDF

인공 기계 심장 판막 이식 환자에서 산소 흡입 중 미세색전 신호의 중요성 (Significance of Microembolic Signals during Oxygen Inhalation in Patients with Prosthetic Mechanical Heart Valve)

  • 조수진;나찬영;이은일;민양기;권기한;이정주;백만종;오삼세;홍석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50-55
    • /
    • 2004
  • 배경: 경두개 초음파 검사는 색전의 위험이 있는 환자에서 미세색전 신호를 진단할 수 있다. 미세색전 신호의 임상적 중요성은 인공 기계 심장 판막 환자에서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우리는 인공 기계 심장 판막 수술 후의 뇌 혈전색전증과 산소 흡입 중 측정되는 미세색전 신호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공 기계 심장 판막 수술 후 뇌 혈전색전증의 병력이 있는 20명의 환자군과 성별, 연령별로 일치시킨 3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경두개 초음파 검사로 일측 중대뇌동맥을 감시하였다. 20분간의 기초 검사 후 40분 동안 100% 산소를 흡입하면서 검사하였다. 결과: 인공 기계 심장 판막의 수술 부위와 수술 후 기간은 환자군과 대조군의 차이가 없었다. 기초 검사 동안 측정된 미세색전 신호의 양성률과 빈도는 양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산소 흡입 중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미세색전 신호의 양성률이 높았고(55%, 27.6%, p=0.045), 미세색전 신호수도 흔하였다(p=0.027). 결론: 산소 흡입을 이용한 경두개 초음파 검사는 인공 기계 심장 판막 이식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미세색전의 감별에 도움이 된다.

관상동맥 우회술 후의 중추신경계 합병증 -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은 관상동맥 우회술과 기존의 관상동맥 우회술의 비교 (Central Nervous System Complication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Comparison Between Off-Pump CABG and Conventional CABG)

  • 장지민;이정상;김기봉;안혁;윤병우;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2호
    • /
    • pp.941-947
    • /
    • 2000
  • 배경 및 목적: 관상동맥 우회술 후의 중추신경계 합병증은 수술의 성과를 결정짓는 중요한 합병증 중의 하나로서, 심폐바이패스의 사용은 중추신경계 합병증 발생의 빈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중추신경계 합병증의 발생빈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2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여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했던 223례의 환자를(I 군) 대상으로 하여 수술 후 중추신경계 합병증의 발생을 조사하였고, 이를 1998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고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한 115례의 환자(II 군)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수술을 시행했던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 두 개 내,외의 동맥계에 대한 검사로 경두개 초음파검사 및 경동맥 도플러검사를 시행했으며, 이 검사들에서 의미있는 병변이 발견되는 경우 뇌자기공명영상 및 뇌자기공명 혈관조영술을 시행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술 전,후 신경과 의사의 신경학적 평가를 받았으며, 중추신경계 합병증은 Coffey 등이 분류 정의한 바와 같이 뇌졸중, 경련발작, 일과성 섬망 및 저산소성/대사성 뇌증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심폐바이패스를 사영하였던 I군에서의 중추신경계 합병증의 발생빈도는 총 223례 중 61례(27.3%)였고,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았던 II군의 총 115례의 환자들 중 수술 후 중추신경계 합병증이 8례(7.0%)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5). 결론: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 우회술의 시행으로 술후 중추신경계 합병증을 현저히 줄일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합병증 발생의 고위험군에서 이 수술의 적용이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