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coding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1초

ITU-T G.711.1 및 G.722 슈퍼와이드밴드 확장 후보 코덱 알고리즘 (A Candidate Codec Algorithm on Superwideband Extension to ITU-T G.711.1 and G.722)

  • 성종모;김현우;김도영;이병선;고윤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5호
    • /
    • pp.62-73
    • /
    • 2010
  • 본 논문은 ITU-T SG16 Q.10에서 표준화 진행 중인 G.711.1 및 G.722 슈퍼와이드밴드 확장 코덱의 후보 코덱 알고리즘에 대한 것으로, 제안된 후보 코덱은 기존 ITU-T 광대역 코덱 G.711.1 및 G.722와 비트스트림 호환성을 지원함과 동시에 슈퍼와이드밴드 확장 계층을 통해 50-14,000 Hz에 해당하는 슈퍼와이드밴드 신호를 부호화한다. 본 후보 코덱 알고리즘은 기존 광대역 코덱과 비트스트림 호환성을 위한 핵심 계층 부호화 알고리즘과 선형 예측 기반 정현파 코딩을 이용한 슈퍼와이드밴드 확장 알고리즘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안된 슈퍼와이드밴드 확장 코덱은 5 ms의 프레임에서 동작하며 핵심 코덱에 따라 64, 80, 96 및 112 kbit/s로 이루어진 네 개의 슈퍼와이드밴드 비트율을 제공한다. 각 비트율에 해당하는 비트스트림들은 내장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별도의 상호부호화 과정 없이 간단한 비트스트림 절단을 통해 핵심 코덱 비트스트림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안된 코덱 알고리즘은 짧은 알고리즘 지연과 낮은 복잡도를 가지며, ITU-T에서 실시된 G.711.1/G.722 슈퍼와이드밴드 확장 코덱 자격 시험을 통과하였다.

MPEG-2비트열에서의 인증 및 조작위치 검출을 위한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 (Digital watermarking algorithm for authentication and detection of manipulated positions in MPEG-2 bit-stream)

  • 박재연;임재혁;원치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0권5호
    • /
    • pp.378-387
    • /
    • 2003
  • 디지털 워터마킹은 소유권자의 정보나 특정 코드, 혹은 패턴을 디지털화 되어 있는 정지영상, 동영상, 음성 데이터 등에 인간의 시각이나 청각으로는 감지 할 수 없도록 삽입하는 기술이다. 디지털 워터마킹은 크게 강인성 워터마킹과 연성 워터마킹으로 분류 될 수 있다. 강인성 워터마킹은 이미지나 영상에 대한 소유권자의 소유권을 보호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며, 연성 워터마킹은 디지털 콘텐츠를 불법적인 변형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준 연성(semi-fragile) 워터마킹은 잡음 첨가 혹은 압축과 같은 데이터의 전송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비의도적 변형에 대해서는 삽입된 워터마크가 제거되지 않아야 하지만 의도적 변형에 대해서는 삽입된 워터마크가 훼손되어 검출되지 않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 사항들을 만족시키는 MPEG-2 비트열에서의 인증 및 조작위치 검출을 위한 준 연성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두 가지의 워터마크를 양자화 된 DCT 계수에 삽입한다. 따라서 압축된 비트스트림에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첫번째 워터마크는 해쉬 함수를 사용하여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인증을 한다. 두번째 삽입되는 워터마크는 양자화 된 DCT DC 계수를 이용하며 조작위치를 검출하는데 사용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비트스트림 영역에서의 트랜스 코딩에 의한 비디오 데이터의 변형과 의도적인 변형을 구별 할 수 있으며 만약 비디오 데이터에 의도적인 변형이 있었을 경우 인트라 프레임에 대해서는 변형된 위치를 블록 단위로 검출 가능하다. 또한 제안된 알고리즘은 가역적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비디오 데이터에 변형이 없었을 경우에는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 할 수 있다.

디지털 케이블 방송 환경에서 개인 미디어를 위한 스트리밍 프로토콜 연구 (A Research on Streaming Protocol for User-Created Contents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environment)

  • 김성원;김정환;시장현;정문열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1호
    • /
    • pp.54-61
    • /
    • 2007
  • 최근 인터넷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동영상 개인 미디어(UCC:User-Created Contents)를 영상 콘텐츠의 기본적인 매체라 할 수 있는 TV상에서 직접 즐길 수 있다면 관련 미디어의 대중적인 효과는 배가 될 것이다.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UCC와 같은 다양하고 많은 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하고자 한다면 현재의 OCAP 표준 환경에서는 RVOD(Real Video on Demand)와 동일한 서비스 모델을 가져야 하는 부담과 UCC 제공을 위한 방송 플랫폼별 인터페이스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Return Path기반으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을 이용해 기존의 VOD방식의 스트림 대역에서 분리하고 별도의 네트워크 VOD 프로토콜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는 라이브 방송환경과 동일한 인프라의 지속적인 확장보다 기존의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하여 VOD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에 많은 영향을 받지 않는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TP 사용을 위해 셋톱박스상의 다운로드 가능한 구조의 클래스 분석과 디코딩을 위한 전송 스트리밍 서버 및 트랜스코딩 과정의 설계에 중점을 두고 서술한다. 경량화 된 VOD 서비스 환경을 설계함으로써 방송환경 하에서 주문형 서비스의 효율적인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편리한 무선인터넷 컨텐츠 생성을 위한 TransGate 시스템 (A TransGate System for Convenient Wireless Internet Contents Generation)

  • 류동엽;한승현;임영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7-52
    • /
    • 2006
  •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품이며 이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을 쉽게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여러 통신사가 존재하기 때문에 각 통신사에서 지원하는 플랫폼(Platform)이 다르고 생산되는 이동 단말기의 규격이 다르고, 지원하는 마크업언어(Mark-up language)나 이동 단말기별로 지원하는 데이터 형식이 서로 다르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봤을 때, 자신의 이동 단말기에 최적화된 웹 서비스(Web service)를 받을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봤을 때는 모든 이동 통신사와 모든 이동 단말기의 특성과 규격에 맞는 무선 페이지를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컨텐츠(Contents)에 대해서 수 십개의 페이지를 생성해야하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원본 컨텐츠가 있을 때 원본을 재사용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받고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원본을 손쉽게 재사용해서 최적화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화된 컨텐츠를 생성하기위해 컨텐츠에 대한 내용을 XML로 기술한 템플릿(Template)파일을 정의 하였다. 그리고 ASP(Active Server Pages)컴포넌트인 호출관리자(Call Manager)와 XSL생성기(eXtensible Style Language Generator) 컴포넌트의 설계 및 구현을 함으로서 기존 무선 컨텐츠 서비스의 단점을 극복해 효과적인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호출관리자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요청과 서비스 응답을 담당하는데 이때 단말기가 지원하는 마크업언어 및 단말기의 하드웨어 특성을 분류한 후 템플릿파일을 기반으로 XSL생성기에 단말기에 최적화된 XSL스타일 시트 파일을 동적 생성하도록 요청한다. 그리고 생성된 XSL파일은 XSLT엔진을 이용해 최적화된 컨텐츠를 각 단말기에 서비스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무선 페이지를 제작하면 처음부터 모든 궤이지를 새로 생성하지 않고 기존의 웹 컨텐츠를 재활용함으로서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무선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실시간 변환 서비스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무선페이지 생성시의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