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ined Model

검색결과 1,552건 처리시간 0.034초

자동 암종 분류를 위한 딥러닝 영상처리 기법의 적용성 검토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Application of a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Automatic Rock Type Classification)

  • 추엔 팜;신휴성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0권5호
    • /
    • pp.462-472
    • /
    • 2020
  • 암종 분류은 현장의 지질학적 또는 지반공학적 특성 파악을 위해 요구되는 매우 기본적인 행위이나 암석의 성인, 지역, 지질학적 이력 특성에 따라 동일 암종이라 하여도 매우 다양한 형태와 색 조성을 보이므로 깊은 지질학적 학식과 경험 없이는 쉬운 일은 아니다. 또한, 다른 여러 분야의 분류 작업에서 딥러닝 영상 처리 기법들이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지질학적 분류나 평가 분야에서도 딥러닝 기법의 적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일 암종임에도 다양한 형태와 색을 갖게 되는 실제 상황을 감안하여, 정확한 자동 암종 분류를 위한 딥러닝 기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러한 기법은 향후에 현장 암종분류 작업을 수행하는 현장 기술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적인 툴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딥러닝 알고리즘은 매우 깊은 네트워크 구조로 객체 인식과 분류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잘 알려진 'ResNet' 계열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적용된 딥러닝에서는 10개의 암종에 대한 다양한 암석 이미지들을 학습시켰으며, 학습 시키지 않은 암석 이미지들에 대하여 84% 수준 이상의 암종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본 결과로 부터 다양한 성인과 지질학적 이력을 갖는 다양한 형태와 색의 암석들도 지질 전문가 수준으로 분류해 낼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나아가 다양한 지역과 현장에서 수집된 암석의 이미지와 지질학자들의 분류 결과가 학습데이터로 지속적으로 누적이 되어 재학습에 반영된다면 암종분류 성능은 자동으로 향상될 것이다.

구문분석에 기반한 한글 자연어 질의로부터의 불리언 질의 생성 (Boolean Query Formulation From Korean Natural Language Queries using Syntactic Analysis)

  • 박미화;원형석;이근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6권10호
    • /
    • pp.1219-1229
    • /
    • 1999
  • 일반적으로 AND, OR, NOT과 같은 연산자를 사용하는 불리언 질의는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검색 전문가들은 불리언 질의를 사용하여 높은 검색성능을 얻는다고 알려져 있지만, 일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불리언 형태로 표현하는데 익숙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검색성능의 향상과 사용자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자연어 질의를 확장 불리언 질의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먼저 자연어 질의를 범주문법에 기반한 구문분석을 수행하여 구문트리를 생성하고 연산자 및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여 구문트리를 간략화한다. 다음으로 간략화된 구문트리로부터 명사구를 합성하고 키워드들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한 후 불리언 질의를 생성하여 검색을 수행한다. 또한 구문분석의 오류로 인한 검색성능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위 N개 구문트리에 대해 각각 불리언 질의를 생성하여 검색하는 N-BEST average 방법을 제안하였다. 정보검색 실험용 데이타 모음인 KTSET2.0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은 수동으로 추출한 불리언 질의보다 8%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기존의 벡터공간 모델에 기반한 자연어질의 시스템에 비해 23% 성능향상을 보였다. Abstract There have been a considerable evidence that trained users can achieve a good search effectiveness through a boolean query because a structural boolean query containing operators such as AND, OR, and NOT can make a more accurate representation of user's information need. However, it is not easy for ordinary users to construct a boolean query using appropriate boolean operat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boolean query formulation method that automatically transforms a user's natural language query into a extended boolean query for both effectiveness and user convenience. First, a user's natural language query is syntactically analyzed using KCCG(Korean Combinatory Categorial Grammar) parser and resulting syntactic trees are structurally simplified using a tree-simplifying mechanism in order to catch the 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keywords. Next, in a simplified tree, plausible noun phrases are identified and added into the same tree as new additional keywords. Finally, a simplified syntactic tree is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a boolean query using some mapping rules and linguistic heuristics. We also propose an N-BEST average method that uses top N syntactic trees to compensate for bad effects of single incorrect top syntactic tree. In experiments using KTSET2.0, we showed that a proposed method outperformed a traditional vector space model by 23%, and surprisingly manually constructed boolean queries by 8%.

시계열 데이터와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시간당 초미세먼지 농도 예측 (Hourly Prediction of Particulate Matter (PM2.5) Concentration Using Time Series Data and Random Forest)

  • 이득우;이수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4호
    • /
    • pp.129-136
    • /
    • 2020
  • 최근 환경 문제에서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초미세먼지(PM2.5)는 미세먼지(PM10)보다도 작은 부유물질이다. PM2.5는 안구나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며 뇌혈관에까지 침투할 수 있어서 시간별로 수치를 예측하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PM2.5의 생성과 이동에 관한 명확한 설명이 아직까지는 제시되지 않고 있어서 예측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PM2.5 예측뿐만 아니라 예측 결과에 대한 설명력을 갖는 예측 방법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시간당 PM2.5를 예측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각기 다른 지상관측 데이터를 시계열로 전처리하고 부트스트랩수를 조정한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를 데이터 학습 및 예측에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예측 모델이 입력 데이터의 시각별 정보를 균형 있게 학습하게 하며 예측 결과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예측 정확도 평가를 위해 기존 모델과의 비교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 방법은 모든 레이블에서 가장 뛰어난 예측 성능을 보였으며, PM2.5의 생성과 관련된 변수와 중국의 영향과 관련된 변수가 예측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직립방파제의 케이슨 활동에 미치는 기후변화영향에 대한 수심의 효과 (Influence of Water Depth on Climate Change Impacts on Caisson Sliding of Vertical Breakwater)

  • 김승우;김소연;서경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179-188
    • /
    • 2012
  • 기후변화가 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여러 수심에서 가상적으로 설계된 직립방파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성능평가에서는 기후변화영향인 해수면 상승과 파고 증가를 고려한 성능설계법이 사용되었다. 성능설계법의 파랑변형 계산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범용 SWAN 모형에 인공신경망을 결합하였다. 학습된 인공신경망에 심해유의파고와 심해주파향 그리고 조위가 입력되면 구조물 위치에서 유의파고와 주파향이 신속하게 계산된다. 전반적으로 구조물의 안정성은 기후변화영향으로 감소하였지만 수심에 따라 서로 다른 경향을 보였다. 쇄파대 밖에서는 수심이 증가할수록 해수면 상승의 영향은 감소하고 파고 증가의 영향은 증가하였다. 한편, 쇄파대 내에서는 수심이 감소할수록 파고 증가와 해수면 상승의 영향 모두 감소하였다. 하지만 파고 증가의 영향이 해수면 상승의 영향보다 컸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반영하여 직립방파제의 유지보수 및 보강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해양플랜트 전용생활부선 거주자의 생존율 향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Survival Rate for the Offshore Accommodation Barge Resident Using Fire Dynamic Simulation)

  • 김원욱;이창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89-695
    • /
    • 2015
  • 일반 상선과 달리 해양플랜트 시설은 발주자가 직접 고용한 인원과 조선소에서 파견된 시운전 종사자들은 2교대로 해양플랜트공사가 종료될 때까지 혼재되어 승선한다. 그러므로 많은 인원들이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는 별도의 해양플랜트 전용생활부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인명 안전의 관점에서 해양플랜트 전용생활부선 거주자의 생존율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양플랜트 전용생활부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사고 중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는 화재 사고를 가정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규정에 근거한 화재시뮬레이션 전산 모형을 제작하여 종사자들에 대한 피난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해양플랜트 전용생활부선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지속적으로 훈련을 받은 선원들과는 달리 다양한 직종, 인종, 문화를 갖고 있는 인력들의 비정형화된 피난 행위로 인하여 위험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되므로 생존가능시간인 유효 피난시간을 증가시키고, 실제 피난에 소요되는 필요 피난시간을 감소시켜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개선 및 안전설비 설치에 대해 제안하였다.

A Study f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Different Reference Points in the Analysis of Working Posture

  • Kim, Day-Sung;Kim, Chol-Hong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37-644
    • /
    • 2011
  • Objective & Background: When applying various evaluation tools that analyze work posture risk through observation, accurate measurement of body flexion angle is very important.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and appropriateness of 5 different existing reference points commonly used in the analysis of the work posture. Twenty five ergonomist and trained professional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ame flexion angle was utilized for the evaluation of risk assess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using five different reference point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m.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the observers' preferred flexion angle measuring methods were compared to the ISO 11226 Reference Posture, a virtual body model was constructed using the Poser 6.0 program. Six types of body flexion postures were constructed, and since neck flexion differs according to body angle, five types of neck flexion postures were constructed with the trunk bending $20^{\circ}$ forward, making up a total of 30 virtual flexion postures. Results: Results showed that the observers used personally preferred reference points instead of reference points recommend in the evaluation tools. Also the results revealed the their seems to be 6 types of flexion angle for the trunk and 11 types of measurement methods for the neck flexion angle in the form of personally preferred reference points. The results showed that a mean difference of $14^{\circ}$($4{\sim}23^{\circ}$) occurred in the trunk, and a mean difference of $20^{\circ}$($-8{\sim}51^{\circ}$) occurred in the neck. To increase accuracy when using the 5 evaluation tools in combination, the ISO 11226 standards, observers' preferred flexion posture standards, and common flexion posture standards of the evaluation tools wer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points of the 5 evaluation tools. Results showed considerable variance in angle difference for each evaluation tool.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sidering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flexion angle reference points of the evaluation tool and the reference points selected by the observers, it is concluded that instead of personally preferred reference points, the standardized reference points to enhance the accuracy and the objectivity. Appl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reference guide to develop the standardized reference point in the future.

혼잡지각이 감정적 반응과 체류시간변화에 미치는 영향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ceived Crowding on Emotional Response and the Stay hour change)

  • 심완섭;홍성도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2호
    • /
    • pp.207-230
    • /
    • 2006
  • 본 연구는 관광위락지내에서 관광객이 인지하는 혼잡된 지각 정도에 따라 감정적 반응과 체류시간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관광환경 개선에 대한 시사점과 관광운영업무를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혼잡지각과 감정적 반응을 분석한 결과 감정적 반응 요인 중에서 즐거움과 흥분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감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잡지각과 감정적 반응, 체류시간 변수간의 전체적 설명력은 미미한 설명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분석결과를 토대로 보면 혼잡지각은 감정적 반응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체류시간에도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라는 사실이 분석결과 나타났다. 둘째, 감정적 반응 요인이 관광위락지 이용객의 체류시간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먼저 감정적 반응 구성요인 중 즐거움과 흥분감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감은 체류시간과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HMM 기반 TTS와 MusicXML을 이용한 노래음 합성 (Singing Voice Synthesis Using HMM Based TTS and MusicXML)

  • 칸 나지브 울라;이정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53-63
    • /
    • 2015
  • 노래음 합성이란 주어진 가사와 악보를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노래음을 생성하는 것이다. 텍스트/음성 변환기에 널리 사용된 HMM 기반 음성합성기는 최근 노래음 합성에도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구현방법에는 대용량의 노래음 데이터베이스 수집과 학습이 필요하여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상용 노래음 합성시스템은 피아노 롤 방식의 악보 표현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일반인에게는 익숙하지 않으므로 읽기 쉬운 표준 악보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노래 학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존 낭독형 음성합성기의 HMM 모델을 이용하고 노래음에 적합한 피치값과 지속시간 제어방법을 적용하여 HMM 모델 파라미터 값을 변화시킴으로서 노래음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음표와 가사를 입력하기 위한 MusicXML 기반의 악보편집기를 전단으로, HMM 기반의 텍스트/음성 변환 합성기를 합성기 후단으로서 사용하여 노래음 합성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된 노래음을 평가하였으며 평가결과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가상 데이터와 융합 분류기에 기반한 얼굴인식 (Face Recognition based on Hybrid Classifiers with Virtual Samples)

  • 류연식;오세영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0권1호
    • /
    • pp.19-29
    • /
    • 2003
  • 본 논문은 인위적으로 생성된 가상 학습 데이터와 융합 분류기를 이용한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특징공간에서의 최근접 특징 선택 방법과 연결주의 모델에 기반한 서로 다른 형태의 분류기를 융합하여 통합효과를 얻도록 하였다. 두 분류기는 모두 학습 데이터의 공간적인 분포에 따라 생성된 가상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되고 이용된다. 첫째로, 특징 공간에서의 각 정보(Angular Infnrmation) 를 이용하는 최근접특징각(the Nearest Feature Angle : NFA)을 이용하여 저장된 학습데이터와 가장 근접한 것을 찾고, 둘째로, 질의(Query) 얼굴 특징 정보를 정면얼굴 영상의 특징정보로 투영하여 얻은 정보에 기반한 분류기의 결과를 이용한다. 정면영상 특징정보로의 투영은 다층 신경망을 이용하여 정면 회상망(Frontal Recall Network)을 구현하였고, 이것을 여러 개 묶어 앙상블 네트웍으로 구성한 Ensemble 회상망(Ensemble Recall Network)을 사용하여 일반화 성능을 향상시켰다. 끝으로, 각 분류기의 결과에 따라 융합 분류기가 최종 결과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6 종류의 서고 다른 학습/시험데이터 군에 적용하여 평균 96.33%의 인식률을 얻었다. 이것은 특징라인에 기반한 방법(the Nearest Feature Line) 평균 에러율의 61.2% 이며, 단일 분류기를 사용한 경우 보다 안정된 견과를 얻고 있다.

유아의 자기결정력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분석 : 유아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Structural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of Self-Determination Among Preschoolers':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ers' Self-Esteem)

  • 박근주;서소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25-42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관련된 주요 변인으로 유아의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및 놀이성을 포함하였으며, 특히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결정력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4,5세 유아-어머니 총 337쌍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유아의 놀이성은 연구자의 현장관찰을 통해, 유아의 자기결정력,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력은 이들의 담임교사의 설문과 질문을 통해, 그리고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은 연구대상 어머니의 설문지를 통해 각각의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자기결정력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놀이성은 직접적으로,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자기결정력과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 사이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자기결정력과 자기조절력, 놀이성 사이에서는 부분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