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il making test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8초

주의·집중훈련 프로그램의 두 가지 과제수행에 따른 뇌파 변화 (Changes in EEG According to Attention and Concentration Training Programs with Performed Difference Tasks)

  • 채정병
    • PNF and Movement
    • /
    • 제12권2호
    • /
    • pp.97-106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EEG through attention. Concentration training and performing tasks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improvement of motor learning ability. Methods: In the experiment, 22 healthy peopl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rail making test (TMT) group and the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 group. A one-way Neuro Harmony M test to se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Results: The TMT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pha}$ wave, ${\alpha}$ wave sequence, and ${\beta}$ wave sequenc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R wave, SMR wave sequence, and ${\beta}$ wave. The CNT group showed increases in ${\alpha}$ wave, ${\alpha}$ wave sequence, SMR wave, SMR wave sequence, and ${\beta}$ wave sequen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eta}$ wave. In EEGs before and after two performance tasks were chang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ta}$ wave, SMR wave, SMR wave sequenc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pha}$ wave sequence, ${\beta}$ wave, and ${\beta}$ wave sequence. Conclusion: Attention training and concentration training offer feedback and repetition for constant stimulus and response. Moreover, attention training and concentration training can contribute to new studies and motivation by developing fast sensory and motor skills through acceptable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뇌의 기능적 국소화를 위한 전산화 신경심리 검사의 개발 (Development of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s for Functional Localization of Brain)

  • 이성훈;안창범;박혜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2호
    • /
    • pp.149-157
    • /
    • 1999
  • 정신과 임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산화 신경심리 검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뇌의 전반적인 인지 기능과 뇌의 기능적 국재화를 평가할 수 있는 14개의 신경심리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시스템은 멀티미디어와 객체 지향 개념에 의해 설계, 구현되었고, 마이크로 소프트 Windows에 기반을 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채용하여 운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마우스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피검사자로부터 입력을 손쉽게 받아드릴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색채 단어 검사, 범주 검사, 그리고 언어 기억 검사, 언어 지각 검사 등은 한글화하여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개발된 시스템을 뇌손상 환자와 정신과 환자에 적용한 결과 그 인지 장애와 뇌의 기능적 국재화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 PDF

게임을 읽는 머리, 스포츠지능을 측정하기 위한 컴퓨터 기반 스포츠 인지검사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Computerized Sport-related Cognitive Test Battery to Measure Sport Intelligence, the Ability to Read the Game)

  • 박진한;우민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9-29
    • /
    • 2021
  • 우수한 선수들은 게임을 읽는 머리, 스포츠형 두뇌를 가진다. 그러나 스포츠 두뇌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인지 검사도구는 개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인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컴퓨터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스포츠 인지기능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정보처리속도, 실행기능(인지유연성, 억제능력), 공간능력을 스포츠 인지기능으로 선정하였다. 정보처리속도 측정을 위해 단순 및 선택반응시간 검사, 실행기능 측정을 위해 기호잇기검사, 자극수반과제, 공간능력 측정을 위해 심적회전과제가 선택되었고, 이들을 컴퓨터 기반 측정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검사를 실행하면, 각 검사에 대한 설명과 함께 연습시행이 주어진 뒤, 본 과제가 시작되며, 과제 종료와 동시에 주요 변인들이 통계처리되어 txt 파일형태로 자동저장된다. 스포츠 인지검사도구는 추후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를 거쳐, 스포츠 영재발굴과 선수선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노인의 실행기능 평가와 보행 평가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Executive Function and Obstacle Gait Evaluation for the Elderly)

  • 이승민;이한숙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1-5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executive function and gait evaluations for the elderly, and validate the obstacle gait evaluation as a cognitive impairment test tool.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ign. 79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C) to evaluate overall cognitive function and the Trail Making Test (TMT) A, B to measure executive function were performed. The 4-meter walking speed test and the walking speed test while crossing over an obstacle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gait. The Spearman's correlation was used to measure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on and gait spe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4 m gait speed and executive function( TMT-A (p = .056), TMT-B (p = .115)).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4 m gait speed and MMSE-KC (r = .277, p < .05).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alking speed while crossing over an obstacle and all tests (MMSE-KC (r = .382, p < .01). TMT-A (r = -.327, p < .01), TMT-B (r = -.283, p < .05)).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gait speed while crossing over an obstacle was correlated with all cognitive function tests. Therefore, we suggest the use of the gait speed test while crossing over an obstacle rather than the simple gait test to diagnose cognitive decline.

Discriminative Power of Seoul Cognitive Status Test in Differentiating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Based on CERAD-K Standards

  • Hasom Moon;Eek-Sung Lee;Seunghee Na;Dayeong An;Joon Soo Shin;Duk L. Na;Hyemin Jang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36-145
    • /
    • 2024
  • Background and Purpose: We developed a new digital cognitive assessment called Seoul Cognitive Status Test (SCST), formerly called Inbrain Cognitive Screening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clinical utility of the SCST by comparing its scores of those with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SCD),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and dementia diagnos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CERAD-K). Methods: All participants (n=296) who completed the CERAD-K, SCST,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es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otal score, cognitive domain scores, and subtest scores of the SCST were compared among the 3 groups (SCD, aMCI, and dementia). Additionally, correlations between SCST and CERAD-K subtests were examined. Results: Cognitive domain scores and total score of the SC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with scores being the highest in the order of SCD, aMCI, and dementia (p<0.001). Most subtests of the SCST also showed higher scores in the order of SCD, aMCI, and dementia (p<0.001). However, SCD and aMCI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of the Phonemic Word Fluency Test (p=0.083) or Korean Trail Making Test-Elderly version Part A (p=0.434). Addi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Place Recognition (p=0.274) of the Word-Place Association Test between aMCI and dementia groups. Conclusions: In conclusion, differences in total score, cognitive domain scores, and subtest scores of the SCST among the 3 groups of participants diagnosed using CERAD-K confirm the clinical utility of the SCST for cognitive assessment.

망상의 신경심리학적 기전 (Neuropsychological Mechanism of Delusion)

  • 이성훈;김동화;박윤조;박혜정;신윤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7권1호
    • /
    • pp.60-66
    • /
    • 2000
  • 목 적: 정신분열병이 뇌질환으로 인식되고 연구되면서 그 정신병리 역시 특정 뇌의 구조와 기능의 장애에 의해 발생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저자들은 그 대표적인 증상인 망상이 뇌의 어떤 구조와 기능의 장애와 관계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질적 뇌손상이 없는 정신과와 뇌손상 환자에서 신경심리 검사와 망상과의 관계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 정신과 환자 69명, 뇌손상 환자 50명, 총119명의 환자에서 Halstead Reitan 신경심리 검사와 K-WAIS, 청각사건 관계전위 검사 및 MMPI를 시행하였다. MMPI 항목 중 망상과 관계되는 24개 항목에서 산출된 점수와 신경심리 검사와 N120과 P300의 전위와 잠복기와 어떤 상관 관계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알아보았다. 또 정신과 환자에서 망상 점수가 높은 고망상군 18명과 저망상군 21명을 t-test로 비교하였다. 결 과: 뇌손상 환자군에서 망상이 전두엽 기능을 보는 범주화 검사, 선로 잇기 AB 검사, 촉각 수행 검사, 숫자 상징 검사, 손끝 숫자 쓰기 검사와 전체적인 뇌손상 수준을 보는 IQ와 뇌손상 지수와 높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 좌측 측두 및 두정엽 기능을 보는 지식, 이해, 어휘, 공통성, 언어 발음 지각 검사, 높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고 피질하 기능을 보는 산수, 숫자 외우기, 집중력 점수, 숫자 상징 검사, 바꿔 쓰기, 선로 잇기 AB 검사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 우측 반구 기능을 보는 촉각 수행 검사의 위치, 빠진 곳 찾기, 동작 점수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고망상군 정신과 환자군이 저망상군 정신과 환자에 비해 좌측 반구 기능을 보는 검사인 이해, 어휘, 언어성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피질하 기능을 보는 $N_1$의 전위, 산수와 숫자 상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 론: 망상은 전두엽, 좌측 측두 및 두정엽, 피질하가 상호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우측 반구도 부분적으로 관계 된 것으로 보인다.

  • PDF

기면병 환자의 주의집중 저하와 주간졸음증 간의 상관관계 부재 (Decreased Attention in Narcolepsy Patients is not Related with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 김석주;류인균;이유진;이주영;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2호
    • /
    • pp.122-132
    • /
    • 2005
  • 배 경:본 연구에서는 청년기 기면병 환자의 인지기능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청년기 기면병 환자의 인지기능과 수면 증상과의 관계도 관찰하였다. 방 법:17세 이상 35세 이하의 기면병 환자 18명과 정상대조군 18명을 모집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탈력발작이 있고, HLA $DQB_1$ *0602 양성인 경우만을 기면병 대상군으로 하였다. 기면병 대상군과 정상대조군에게 13종의 신경심리검사(Wisconsin 카드분류, Trail making, Stroop, Ruff, 청각순차합산, 바꿔쓰기, 숫자 외우기, 공간 외우기, Rey 기억력, California 언어학습, 통제단어연상, Boston 이름대기, 굽은 막대 검사)를 시행하여 양군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기면병 대상군의 신경심리검사 결과와 Epworth 졸음증 척도, Ullanlinna 기면병 척도, 야간수면다원검사 및 입면 잠복시간 반복검사 결과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기면병 대상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2.0초 간격과 2.4초 간격의 청각순차합산, 바꿔쓰기, 공간 외우기 정방향 검사에서 수행능력이 저조하였다(t=3.86, p<0.001;t=-2.47, p=0.02;t=-3.95, p<0.001;t=-2.22, p=0.03). 다른 신경심리검사에서는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면병 대상군에서 저하된 신경심리검사 결과는 Epworth 졸음증 척도나 Ullanlinna 기면병 척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야간수면다원검사나 입면잠복시간 반복검사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본 연구에서 기면병 환자군의 주의력이 저하되어 있음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주의력 저하는 주간 졸음증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기면병 환자의 주의력 저하는 주간 졸음증의 개선만으로 호전시킬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프로그램(COMCOG, CNT)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기억력과 주의력 증진효과 (Effects of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Program Induced Memory and Attention for Patients with Stroke)

  • 심제명;김환희;이용석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9권4호
    • /
    • pp.25-3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bout memory and attention with stroke. Methods: 24subjects with stroke were recruited. Twelve of subjects received conventional therapy including physic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and language therapy. Another subjects received additional computer assisted cognitive training using Computer-aided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COMCOG, MaxMedica Inc., 2004). All patients were assessed their cognitive function of memory and attention using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CNT, MaxMedica Inc., 2004) before treatment and 6 weeks after treatment. Results: Before the treatment,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p>0.05). After 6 weeks,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in digit span (forward, backward), verbal learning(A5, $A1{\sim}A5$), auditory CPT(n), visual CPT(n)(p<0.05). After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digit span(forward, backward), verbal learning(A5, $A1{\sim}A5$), visual span (forward, backward), auditory CPT(n, sec), visual CPT(n, sec), and trail-making (A, B)(p<0.05). Conclusion: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program would be improved cognitive function of memory and attention in patients with stoke.

  • PDF

Effects of visual restriction and unstable base dual-task training on balance and concentration ability in persons with stroke

  • Kim, Dong-Hoon;Kim, Kyung-Hun;Lee, Suk-Mi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5권4호
    • /
    • pp.193-197
    • /
    • 2016
  • Objective: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visual restriction and unstable base dual-task training (VUDT), stable base dual-task training (SDT), and on stroke patients' balance and concentration abilities were examined. Design: Two-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s: Dual-task training was conducted for thirty persons with chronic stroke who were hospitalized or receiving physical therap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VUDT group (n=15) or the SDT group (n=15).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15 participants each, the VUDT group and the SDT group. Dual-task training was administered for 30 minutes per session, three times a week for 8 weeks. The participants' balance was measured via the center of pressure migration distances, functional reach test (FRT), Berg Balance Scale (BBS), and attention was measured using the trail-making test and the Stroop test. Results: In comparisons within each group,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0.05). In the comparisons between the groups, the VUD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enter of pressure (COP), FRT, and BBS, and TMT compared to the SDT group (p<0.05). Conclusions: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conduct dual-task training as a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under vision restriction and unstable supporting surface conditions than to conduct the test under unstable supporting plane conditions to improve balance and atten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경도인지장애환자의 가상환경 내 길찾기 학습능력과 시공간 기능에 관한 연구 (Navigation Learning Ability and Visuospatial Functioning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in Virtual Environments)

  • 박수미;이장한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507-512
    • /
    • 2008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MCI)환자의 가상환경(VE)내 길찾기 학습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전통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하여 길찾기 능력을 구성하는 인지기능에 대해 조사하였다. 피험자는 정상노인집단(N=27)과 MCI 환자집단(N=22)으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는 간이정신집단검사, 시각 기억력을 측정하는 Rey Complex Figure Test(RCFT), 시각적 보존력을 측정하는 Benton Visual Retention(BVRT), 주의력을 측정하는 Trail-Making Test(TMT; A형과 B형), 성인용 웩슬러 지능검사의 하위검사인 숫자외우기(바로/거꾸로), 및 집행기능 및 기억력을 측정하는 2차원공간에서의 미로학습검사 Groton Maze Learning Test(GMLT)(12회기)를 마친 후, 가상현실(VE) 내 길찾기과제(6회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VE 길찾기 과제에 대하여 유의미한 집단효과가 나타났다. 즉, MCI집단의 길찾기 수행이 정상노인집단의 길찾기 수행보다 떨어지는 결과가 발견되었다. 집단과 회기간 상호작용 및 유의미한 회기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GMLT에서는 유의미한 상호작용, 집단효과, 및 회기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경심리검사에서는 RCFT와 BVRT에서 유의미한 집단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VE과제는 RCFT, BVRT, 그리고 GMLT와 상관이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한 회기분석 실시 결과 RCFT와 BVRT는 가상환경 내 길찾기 행동에 대한 45%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MCI환자의 길찾기 능력이 정상인에 비하여 떨어지며, MCI환자의 시공간기억기능 결함으로 이와 같은 길찾기 능력저하를 설명할 수 있음을 함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