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ffic convenience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3초

매립형 분리식 전단연결재를 적용한 PSC교 콘크리트 바닥판 교체공사의 경제성 분석 (Economic Analysis of Concrete Panel Replacement of PSC Bridge with Embedded Demountable Shear Connector)

  • 이순환;김종언;김재규;박세현;정대성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376-385
    • /
    • 2022
  • 국민의 안전과 편의성에 직결되는 도로 인프라인 PSC거더교의 바닥판 손상 및 노후화로 인한 교체공사를 대비하여 매립형 분리식 전단연결재가 개발되었다. 분리식 전단연결재는 바닥판 철거 공정에서 파쇄를 최소화하고 교체공사를 위한 전단연결재 재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성 향상으로 인한 공사기간 감소로 도로이용자의 불편과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공법별 공사기간과 공사기간 중 교통차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도로이용자비용을 산출하여 비교하는 방법으로 기존 공법 대비 매립형 분리식 전단연결재를 적용한 PSC거더교의 경제성을 도로이용자(국민)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매립형 분리식 전단연결재가 적용된 교량 바닥판 교체공사 시 도로이용자비용은 34일 1,404,687,725원으로 기존 ∩형태 전단철근 노출 전단연결재가 적용된 경우(54일, 1,924,740,367원) 대비 공사기간 20일, 도로이용자비용 27.02 %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차량 단말기 기반 돌발상황 검지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Algorithm Using a Vehicle Dash Cam)

  • 이상현;김진영;노종민;이환필;이수목;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97-113
    • /
    • 2023
  • 전방 낙하물과 같은 돌발상황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고 적절한 정보 제공은 도로 위 이용자들의 편의를 가져다주고 2차 교통사고 또한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로 상의 돌발상황은 현재 국내에서 루프 검지기나 CCTV 등 ITS 기반 검지 체계를 사용하여 주로 검지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검지기의 검지 구간에서의 도로 위 데이터만을 얻을 수 있다. 때문에, 기존 ITS 기반 검지체계의 공간적 음영구간에서 돌발상황을 찾아내기 위하여 새로운 검지 수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량 내 설치된 단말기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돌발상황을 검지 및 분류하는 ResNet 기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국내 고속도로 전방 주행영상을 수집하였고, 돌발상황 유형을 클래스로 정의하여 각 데이터를 라벨링한 후, 제안한 알고리즘으로 데이터를 학습시켰다. 학습 결과, 개발한 알고리즘은 데이터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일부 클래스를 제외하고 정의한 돌발상황 클래스에 대하여 높은 검지율을 보였다.

원형수직구 콘크리트라이닝 단면설계도표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charts for concrete lining in a circular shaft)

  • 신영완;김성수;김영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65-175
    • /
    • 2010
  • 최근에 물류비 절감, 교통 편의성 개선, 지역발전 등 정치, 경제, 사회적 요구에 따라 장대 해저터널 건설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도심지에 건설되는 도로 및 철도터널에서도 터널의 장대화에 따라 공사용 및 환기용 수직구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수직구 굴착 후 설치되는 콘크리트 라이닝의 설계시 결정해야할 요소는 직경, 단면두께, 소요철근량 등이다. 이러한 수직구 직경, 하중조건, 지반조건을 고려하여 최적의 라이닝 단면설계를 위해서는 많은 구조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조건에 대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라이닝 단면설계도표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도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규모 및 하중조건에 따른 라이닝 단면두께 및 소요철근량 산정이 가능하다.

친수공간 이용효율성 개선을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 국내·외 드래곤 보트 페스티벌을 위한 친수공간 사례로 - (A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 for Improvement Efficiency Use of Waterfront - A Focus on the Waterfront Analysis for Domestic and Foreign Dragon Boat Festival -)

  • 안병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86-9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친수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수상레포츠인 드래곤 보트 페스티벌을 통해 친수공간의 외적 환경과 내적 공간구조의 분석하고, 이용효율성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홍콩, 부산, 인천, 대전 등 국내외 4곳의 대상지를 통해 친수공간의 이용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이용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기초데이터를 제공하여 친수공간의 문화컨텐츠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항목에 대한 중요도 분석에서 친수공간 주변의 현대적 관광자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변경관, 수변광장 및 오픈스페이스, 편의시설, 교통접근성, 수변녹지, 전망공간, 역사적 관광자원, 보행접근성, 수면의 폭, 수질, 수심, 파랑 등의 수면조건, 계류시설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변경관성은 대상지의 공간 구조적 문제라기보다는 도시 규모에 따른 외적 환경 요인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며, 친수공간 입지선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해석된다. 수변 녹지경관의 분석에서 국내 대상지의 만족도가 높은 것은 최근 천변공원 등이 친수적 행위를 고려하여 조성된 원인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전망공간은 수변 쾌적성 체험과 드래곤보트를 비롯한 수상레포츠의 역동성을 입체감 있게 볼 수 있는 주요 인프라로서, 이용효율성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관광자원적 요소는 친수공간 이용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가 높은 인자로서, 역사적 자원보다는 현대적 관광자원에 더욱 민감히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젊은 계층들의 쇼핑, 레저 등을 위한 관광인프라가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며, 홍콩과 부산은 주변 관광자원 인프라가 인접해 있는 친수공간 이용에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교통 접근성 분석에서, 홍콩과 부산 두 곳 모두 지하철에 의한 교통 접근성이 우수한 지역의 영향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전은 교통 인프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장소적 인지도의 영향 탓으로 만족도가 낮게 분석되었다. 홍콩의 보행접근성은 친수공간이 도심으로 연결되어 있고, 부산은 주거단지와 쇼핑센터 등의 이용객들이 도보로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의한 결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수면의 폭의 중요도 만족도 분석에서, 인천을 제외하고는 3곳 모두 수면의 폭이 200m 이상이며, 일정수준 이상의 수면 폭이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집중력을 저해하는 결과로서 해석될 수 있다. 수질, 수심, 파랑 등의 수면 조건의 분석에서, 부산은 설문조사시 수질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대전 갑천의 경우는 대회 참여자들에 의해 적정수심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항해안전을 위한 AIS와 ECDIS 기반의 문자통신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x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IS and ECDIS for Safe Navigation)

  • 안영중;강석용;이윤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3-408
    • /
    • 2015
  • 해상에서 발생하는 선박 간 음성통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언어적 오류와 VHF 사용제한 및 잡음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텍스트 기반의 통신시스템을 AIS의 통신기능과 ECDIS의 화면전시 및 입력기능을 연계하는 방법에 착안하여 설계하였다. 개발된 문자통신시스템은 메시지를 이용해 정확한 의사전달이 가능하며,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UI들을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하였다. 하드웨어의 추가적인 설치와 개조 없이 구현되고, Message Banner Interface를 이용해 통신문장을 키보드 입력 없이 선택만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자체 메시지 코딩과 디코딩을 통해 처리속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문자통신시스템의 실선적용은 사용자의 언어적 한계와 인식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다양한 VHF 음성통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실용적인 대안으로 판단된다. 또한 해상교통량이 많은 수역에서의 VHF 통신량 감소와 텍스트 기반의 정확한 의사전달과 협력동작 요청으로 선박 간 충돌사고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미용실 여성고객의 연령에 따른 헤어 컷, 퍼머넌트, 염색에 대한 태도 (The Attitude of Hair Cut, Permanent Wave, Coloring by Age in Women's Customer)

  • 최수정;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4호
    • /
    • pp.28-4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actual condition of preference of hair-styling, hair-styling techniques, management, grasping a consumer's consciousness, etc with women living in a city. The survey was gotten to a feminine customer who visited the ten of beauty-shops in shopping center. And statistical data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hair-styling preference realities, hair-styling method and style management was entered into the SPSS statistics analysis system. In brief, be as follows by the results of study.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at noted in hair-style information and basis alternative a beauty salon, there were able to know people whose age is from 20's to 40's got mainly an influence of public media very much and from 40's to 50's got mainly an influence of people around them. Basis alternative of a beauty sal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o follow age categories. It appeared that introducing from people around them have a effect on the 20's and 30's, and 40's got an influence of convenience of traffic, and 50's got mainly the shortest distance. In an attitude toward a hair style, especially toward hair cut, a case to do hair cut was most a lot of in own selections, and its result was independent of age categories. The reason that wants to give a chance was most a lot of thinking without an age. Preference length of hair cu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In permanent section, own selections appeared most regardless of age. And in the permanent motive, also, to have a change appeared most regardless of age. And people had a preference natural to role up to setting regardless of age in permanent wave. In hair color section, women whose age is 20's, 30's, 40's had a motive for a change, on the other hand, 50's and their senior had a motive for a gray hair. Women of all over the age almost knew a fashion color, and they had a preference brown color. In a preference way along a hair color ki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lso. 20's and 30's did mainly 'semi-permanent coating' and 40's and 50's did mainly 'permanent hair color'. In a attitude about a hair-style management, the more age is young, the more a period is long term. And the more age is old, the more the outlay for price of cut is expensive. But, on the contrary, permanent price showed that the more age is young, the more the outlay for price of permanent is expensive. In hair color, the more age is old, the more a period is short and the more price is low.

협력 P2P 환경에서 VCR 기능을 위한 멀티캐스트 전송 기법 (A Multicast Delivery Technique for VCR-like Interactions in Collaborative P2P Environment)

  • 김종경;김진혁;박승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7B호
    • /
    • pp.679-689
    • /
    • 2006
  • 멀티캐스트 기법은 큰 규모의 VOD 서비스에서 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다. 그러나 멀티캐스트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VCR 기능(VCR-like Interaction)을 구현하는 것은 복잡한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어 이에 대한 해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P2P 개념과 패칭(Patching)을 혼합 적용한 P2Patching 기법을 제안한다. P2Patching 은 VCR 기능 수행 주기 동안에 빈번한 멀티 캐스트 트리의 이탈(Departure)과 참여(Join) 행위에 대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수의 피어(Peer)들이 협력적으로 VCR 기능 스트림을 VCR 기능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고 VCR 기능 수행 후에는 이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위치의 멀티 캐스트 세션으로 점프를 허용하는 CISS(Collaborative Interaction Streaming Scheme) 알고리즘으로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분산시키고 컨트롤 오버헤드와 지연 (Latency) 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안 기법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P2Cast[10] 그리고 DSL[11]에 대하여 스트림 전송 토플러지 성능과 컨트롤 오버헤드 그리고 스트리밍 질 (Streaming Quality)을 실험하여 제안한 방법과 비교하였다. 이 실험에서 VCR 기능 수행 시에 DSL 보다 P2Patching이 컨트롤 오버헤드는 약 30% 정도 감소시켰으며 스트리밍의 질은 $25{\sim}30%$ 정도를 향상시켰다.

부산시 해안지역의 용도지역 변화패턴 연구 (Busan Use Area Change Pattern Research of Costal Area)

  • 김가야;김정호;김성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36-145
    • /
    • 2007
  • 도시의 성장에 따라 도시계획구역의 변화와 함께 도시 내의 그린벨트를 포함한 자연녹지와 노후화된 도시시설이 입지한 토지에 대한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도시의 형성이 오래되고 도시의 성격이 급속히 변화 할수록 그 속도가 빨라진다. 부산은 1970, 80년대 경제성장의 선봉에 있었던 산업시설이 도시의 외곽으로 이전하고 항만시설이 노후화, 쇠퇴화 되면서 도시의 산업형태가 2차 산업에서 3차 4차의 고차산업으로 변화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주거지역의 경우도 내륙지역의 오래된 주거지역이 주거환경의 악화와 도심으로의 교통의 편리성이 증대되면서 인근 지역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용도지역에 대한 변화를 분석한 결과 내륙지역보다 해안에 접해있는 지역이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의 확산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구 시가지의 공장 등이 강서구나 기장군의 대규모 공업단지로 이전하면서 공업지역의 면적이 뚜렷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이부교대(二部交代) 근무제도(勤務制度)에 대한 임상간호사(臨床看護師)의 요구도(要求度)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Need of Clinical Nurses about the System of 12-Hour Work Shift)

  • 강영선;문희자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6-64
    • /
    • 1995
  • The 12-hour work shift can be influenced on the nurse's job satisfaction, effective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quality of patient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n the 12-hour work shift by nurses. A total of 516 nurse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six general hospitals in Seoul.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questionnaire on the need of the 12-hour work shift was designed by the investigato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Duncan's method as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The mean needs of 12-hour work shift in the nursing practice, psychological, physical,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were 3.05, 2.72, 2.66, 3.08, and 4.22. 2.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by demographic data For the nursing practi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tatus(p=.021), satisfaction on the 8-hour work shift(p=.038), the perception on the 12-hour work shift(p=.001) and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For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tatus(p=.016), the perception on the 12-hour work shift(p=.0001), and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For the physical perspectiv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ge(p=.002), marital status(p=.005), the number of children(p=.005), the duration of job career(p=.014), the job position(p=.002), the work shift(p=.030), the perception on the 12-hour work shift(p=.0001) and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For the socioeconomic perspectiv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position(0=.002), the work shift(p=.006), the perception of the 12-hour work shift(p=.002) and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For the environmental perspectives, there was a statisi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raffic method(p=.05), the duration of the job career(p=.026), the perception on the 12-hour work shift(p=.309) and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3.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by the demographic dat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rital status(p=.014), the number of children(p=.038), the job position(p=.007), the work shift(p=.037), and the perception on the 12-hour work shift(p=.0001) for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 PDF

GIS 기법을 이용한 구청사 입지분석 및 타당성 검토 (Analysis and Evaluation on the Location of Gu-Office Facilit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The case of Mapo Gu-Office in Seoul)

  • 허준;장훈;이현석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10
    • /
    • 2004
  • 도시 내 주민들은 경제, 문화생활 및 의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도시정부에 대해 보다 다양하고 양질의 공공서비스를 요구하게 되었다. 주민들의 이러한 요구는 공공서비스 시설의 입지문제와 직결되는 것으로 도시의 입지결정 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 중의 하나는 공공서비스를 보다 저렴하고 편리하게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이용주민들의 복지를 극대화 시켜야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본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공공시설의 위치결정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접근성 이론과 GIS 공간분석 기법을 접목하고 Gravity 모형을 이용하여 입지분석을 시행하여 연도별 최적입지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 신마포구청의 위치가 현마포구청과 비교했을 때 구청과 각 행정동 간의 상호작용관계를 평가하여 이전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 입지분석을 위한 이론적 검토로서 공공서비스 시설의 입지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구청사의 입지 적정성을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평가할 수 있는 계량적인 입지분석 방법을 검토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근거를 실제 공공시설에 적용하기 위하여 마포구를 선정하였고, 구의 도시현황을 분석하고, 도로망, 인구추정을 통하여 관련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정량적 분석을 통해 구청사 위치의 적정성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