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ffic Signal

검색결과 994건 처리시간 0.034초

PLC를 사용한 지능형 교통 신호 제어 설비 구현 (The Implementation on the Traffic Signal Control Equipment of Intelligence Type Using the PLC)

  • 김태성;위성동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74-81
    • /
    • 1998
  • It is not good joint that today's traffic control system that the course of traffic volume increase tendency is followed, in the traffic volume is approched into the time of my car. Accordingly when we analyzed the existing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the traffic signal system is developed from the machine type that the motor was centered, to get up to date, to the intelligence electron signal control system. But yet, when we have a test and a A/S on the control circuit, the circuit that is designed to the center IC and ROM are complicated. Also, the time of pass lamp that the car line stream is going, can not extended automatically a time till the traffic volume is decreased to the same direction. This theme must be a real time intelligence control system that the time of pass lamp can extend aumatically. The circuit of sequence ladder diagram on the traffic signal control of a crossroads that is desinged, can be satisfied the complicated vehicle order. Therefore when the circuit is changed, the new developed system is economical with that dosen't needs any of components to require the circuit equipment, and the time is saved with needlessness of the circuit wiring again, and have a much trustworthy. The control method of pass signal lamp in the car line stream connecting among PLC and Relay and Temp Sensor, can be changed to hand operation and to semi-automation and to all-automation. New intelligence traffic signal system is composed with all-together system of T Sensor + Video Camera + IBM PC that is able to guiding the establishment of traffic order.

  • PDF

지역 교통망 관리를 위한 최적 신호순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Signal Timing for Area Traffic Control)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9-80
    • /
    • 1999
  • A genetic algorithm to determine the optimal signal sequence and double cycle pattern is described. The signal sequence and double cycle pattern are used as the input for TRANSYT to find optimal signal timing at each junction in the area traffic networks, In the genetic process, the partially matched crossover and simple crossover operators are used for evolution of signal sequence and double cycle pattern respectively. A special conversion algorithm is devised to convert the signal sequence into the link-stage assignment for TRANSYT. Results from tests using data from an area traffic network in Leicester region R are given.

  • PDF

중앙버스전용차로제 실시에 따른 신호운영 방안 연구 (Development of Traffic Signal Operation Strategies On Median Bus Lane)

  • 김균조;김영찬;김진태;정광복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1-30
    • /
    • 2006
  • 중앙버스전용차로제가 도입됨에 따라 서울의 도로환경은 단기간에 급격하게 변하였으며, 이러한 급격한 변화에 미리 준비되지 못하였던 신호운영상의 문제점들이 경험되고 있다. 장 임계적인 문제점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구간 신호교차로에서 일반차량 좌회전 진행을 허용할 경우, 현재 우리나라가 규정하고 있는 차량 4색신호등의 한계로 인한 신호의 비효율적 운영이다.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구간 신호교차로에서 일반차량 좌회전의 현실적 운영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앙차로전용신호의 도입을 준비하기 위하여 교통관제센터의 신호운영모드별 선행좌회전 및 후행좌회전 운영방안을 검토하고, 각 운영방안 별 Signal Map 구성방안을 점검한다. Signal Map 작성방안을 검토한 결과 기존의 신호제어 장비에 추가의 신호등기신호보드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제안된 방법의 현장 적용이 용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교통 예비점멸등 사용에 따른 운전자 행동반응 비교 (A Comparison Study of Driver's Responsive Action by Using the Traffic Light Change Anticipation)

  • 장명순;김영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7-73
    • /
    • 2003
  • 본 연구는 기존의 신호등의 시각적 인지도를 향상시켜 운전자의 인지실수를 예방하고 안전운전을 도모하기 위해 보조녹색신호가 추가된 신호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3색, 4색 신호등과 보조녹색신호를 추가로 제시한 3색, 4색 신호등을 자동차 모의실험장치를 통하여 비교한 결과 두 가지의 신호등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선된 신호등이 현장 적용시 운전자가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제동시점을 다소 앞당겨준다는 점에서 안전운전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실제 운전자의 반응을 비교함과 동시에 주관적인 행동반응을 조사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실제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스마트교차로 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교통신호제어 운영 효과 분석 (Study on the Operational Effect of Real-time Traffic Signal Control Using the Data from Smart Instersections)

  • 이상욱;전보배;오석진;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8-62
    • /
    • 2023
  • 최근 국내 많은 지능형교통체계 사업에서 스마트교차로를 설치하고 있으나, 교통량 수집 및 통계분석 이외에 교통신호운영에 활용하는 사례가 미비한 상태이다. 하지만, 고질적인 교통혼잡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스마트교차로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신호운영을 수행하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교통신호운영을 위해 스마트교차로 자료를 활용한 실시간 교통신호제어 알고리즘 운영을 위한 절차를 수립하였으며, 기존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실제 스마트교차로에서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효과 분석 결과, 교차로 지체가 감소하였고 옵셋 조정 시 구간 속도도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DMA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트래픽의 요구 신호 전력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Required Signal Power for Multimedia Traffic in CDMA Systems)

  • 강창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6B호
    • /
    • pp.593-600
    • /
    • 2002
  • The reverse link signal power required for multimedia traffic in multipath faded single-code (SC-) and multi-code CDMA (MC-CDMA) systems is investigated. The effect of orthogonality loss among multiple spreading code channels is herein characterized by the orthogonality factor. The required signal power in both the CDMA systems is then analyzed in terms of the relative required signal power ratio of data to voice traffic. The effect of varying system parameters including spreading bandwidth, the of orthogonality factor, and the number of spreading codes are examined.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MC-CDMA users transmitting only a single traffic type require significantly more power than SC-CDMA users with only a single traffic type. On the other hand, MC-CDMA users transmitting multimedia traffic require power levels approximately identical to SC-CDMA users with multimedia traffic. The results can be used in the design of radio resource management (e.g., power allocation) scheme for wireless multimedia services.

Intelligent Traffic Light using Fuzzy Neural Network

  • Park, Myeong-Bok;You-Sik, H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3권1호
    • /
    • pp.66-71
    • /
    • 2003
  • In the past, when there were few vehicles on the road, the T.O.D.(Time of Day) traffic signal worked very well. The T.O.D. signal operates on a preset signal cycling which cycles on the basis of the average number of average passenger cars in the memory device of an electric signal unit. Today, with increasing traffic and congested roads, the conventional traffic light creates startup-delay time and end lag time so that thirty to forty-five percent efficiency in traffic handling is lost, as well as adding to fuel costs.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new concept of optimal green time algorithm, which reduces average vehicle waiting time while improving average vehicle speed using fuzzy rules and neural networks. Through computer simulation, this method has been proven to be much more efficient than fixed time interval signals. Fuzzy Neural Network will consistanly improve average waiting time, vehicle speed, and fuel consumption.

첨단신호시스템의 신호제어전략 평가를 위한 미시적 시뮬레이터의 개발 (Development of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or for Evaluating Signal Operating Strategy of Traffic Adaptive Control System)

  • 이영인;한동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3-94
    • /
    • 2003
  •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에서는 최근, 신호교차로를 포함하는 도시 가로망에 기존의 고정식 신호체계를 대신하여 첨단신호체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시스템의 장점은 변화하는 교통상황에 따라 최적의 신호현시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호체계가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러한 시스템과 기존의 신호 시스템을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가장 큰 이유는 실시간으로 교통상황에 대응하는 이러한 신호시스템을 평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교차로, 교통축, 네트워크 단위에서의 기존의 전자신호와 첨단신호체계의 효율성을 비교 평가할 수 있는 미시적 시뮬레이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뮬레이터의 개발은 교통운영체계에 대한 보다 정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서울의 강남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신신호 시스템의 각종 알고리즘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퍼지 추론 규칙을 이용한 교통 신호 제어 (Traffic Signal Control using Fuzzy Reasoning Rule)

  • 김광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9-24
    • /
    • 2010
  • 우리나라 자동차의 수는 1990년부터 계속 증가하고 있다. 계속되는 자동차 수의 증가로 인해 휴일, 출퇴근 시간에 교통이 혼잡 또는 마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기존의 신호등 체계는 통계적인 수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하지 않은 차량의 수를 제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차량의 수와 점유시간에 따라 퍼지 제어 기법을 이용하여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은 교차로에 대기하는 차량의 수와 점유 시간을 퍼지 제어 기법에 적용하여 차량의 진행 신호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현시에 대해 진행 신호를 부여하고 나머지는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진행 신호의 시간을 교차로에 대기하는 모든 차량의 수와 차량의 비율, 진행 신호를 부여 받은 차량의 수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퍼지 신호 제어 기법과 정적인 신호 제어 기법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험한 결과. 차량 혼잡도와 상관없이 제안된 차량 신호 제어 기법이 동일한 시간에 더 많은 차량이 원활하게 소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통신호의 페이스순서 및 페이스간격을 고려한 신호최적화 (Optimum signal setting based on phase sequence and interval in an isolated intersection)

  • 김경철;임강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5-58
    • /
    • 1996
  • In a large signal intersection, it is the most important to set phase sequences and phase intervals of traffic signal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capacity as well as safety. These setting allows to select the best sequence of signal phase among several alternatives, and thus to rearrange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of the individual phase using an effective interphase periods (EIP). The EIP is a gap between previous and current traffic movements at a potential collision point in an intersection. Each of traffic movements has an equality for safety and efficiency at the balanced condition of EIP. This paper presents how to set optimally the phase sequences and intervals of traffic signal in an intersection using phase based approach. And in the second part, we applied the theory developed in the first part. In particular, a numerical example of phase base signal setting is presented using a matrix computation method in order to select the best sequence among several alternatives, and thus to rearrange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of the individual phase using the EIP. This method also allows to apply to optimum signal setting even in five-lag or staggered-type interse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