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ffic Signal

검색결과 994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시간선도로상에서 교통신호제어를 위한 초단파 검지기(RTMS)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The Application of a Microwave Sensor for Traffic Signal Control on Urban Arterial)

  • 오영태;오영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33-151
    • /
    • 1995
  • The collective of highly reliable traffic data is necessary for traffic signal control. This study is to test application of RTMS sensor to traffic signal control. In order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th traffic signal control, 5 types of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The detection are a has been changing according to degree and gain. -At the results of experiments for interference are a measure, Degree 60 is stable condition. -At the results of reliability test for volume and speed. the error rate decreases as speed increases and that of Zone 1 is lower than that of Zone 3. -Two modes are set up for reliability test of traffic volume. It founds that the detection reliability of the stopped vehicles are higher than that of the passing vehicles at sidefire-intersection mode. It founds that the results are vice-versa at sidefire-highway mode. Conclusively, this sensor cannot directly apply to colection of traffic data for traffic signal control. However, this sensor can be substituted for a loop detector which is used popularly for signal control, and freeway traffic control if above faults are made up.

  • PDF

U-Traffic의 적응형 교통 신호 시뮬레이터 구축에 대한 연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daptive traffic signal simulator system for U-Traffic)

  • 장원태;강우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80-487
    • /
    • 2012
  • 부산시는 도로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한계로 인한 심한 교통체증이 유발되어 차량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한정된 도로 환경에서 교통 정체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현재의 신호체계를 개선한 교통상황에 적응적인 신호 체계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U-City에 있어서 'U-Traffic'은 도시 안에 중요한 인프라인 도로, 기반 시설, 차량 등 기존 교통의 구성요소에 유무선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첨단 정보기술(IT)을 통합하여 사회적 교통 인프라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교통정보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감지기를 통하여 차량을 감지 할 수 있는 감지 방법, 감지된 차량을 이용하여 계산 할 수 있는 신호체계의 알고리즘,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구성할 통신망 등 시스템을 가상적인 시뮬레이터를 구현한다. 구현된 시뮬레이터의 결과를 확인 하여 교통 정체현상이 일부 완화 되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다.

RGB 색상 공간에서 교통 신호등 검출과 인식 (Traffic Signal Detection and Recognition in an RGB Color Space)

  • 정민철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3-59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of traffic signal detection and recognition in an RGB color model. The proposed method firstly processes RGB-filtering in order to detect traffic signal candidates. Secondly, it performs adaptive threshold processing and then analyzes connected components of the binary image. The connected component of a traffic signal has to be satisfied with both a bounding box rate and an area rate that are defined in this paper. The traffic signal recognition system is implemented using C language in an embedded Linux system for a high-speed real-time image processing.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are quite successful.

대도시 교통문제 완화를 위한 간선도로별 신호체계의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Design of the Arterial-Based Signal System for the Relief of Transportation Problems in Metropolitan Areas)

  • 김태곤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5
    • /
    • 1994
  • The main arterial which runs through the in City of Pusan, carries about 60% of downtown traffic or more, maintains about 20% yearly increase in traffic is severely suffering from the traffic congestion because of concentrated traffic volumes regardless of peak-time peri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traffic, geometric, and signal conditions of the main arterial through the Videologging System Techniques, perform the transportation system analyses, and finally suggest the improvements which could increase the travel capacity, reduce the average delay and fuel consumption with the optimal conditions of signal syste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 firstly the traffic system should be shifted for the travel distribution on the arterial during the peak time periods, secondly the roadway system of the arterial reviewed for left-turn traffic during the peak time periods, and thirdly the signal system of intersection reconstructed for signal optimization or progression within the range of cycle length suggested.

  • PDF

『신호현시 표출 방법』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빈도 분석 연구: 대전광역시 관내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requency of Traffic Accidents by Traffic Signal Timing: Focused on Daejeon)

  • 윤소식;이민호;이철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0-37
    • /
    • 2023
  • 본 연구는 지속 확대 설치되고 있는 교통신호기가 교통사고 예방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대전광역시 교통신호기 1,602개소 중에서 2013~2019년까지 7년간 TCS에 등록된 신호위반 등 교통사고 자료 7,045건을 수기 검색하였다. 교통사고 다발 상위 20개소 교차로를 특정하고, 교통사고 조사기록과 현장지도를 열람하여 위반차량의 주행 방향, 신호현시를 비교분석하고, 신호위반 교통사고 원인을 신호운영 설계(운영) 미흡과 운전자 과실(고의)을 구분해서 문제점 및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직좌동시신호와 중복현시 등에서 신호위반 교통사고 75%가 발생하였고, 황색신호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대책으로 황색신호시간 연장 또는 전적색(All Red)신호 운영시 교통사고가 줄어들었다. 비보호 좌회전은 정상신호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경찰에서는 교통사고 현장지도 및 신호관련 자료에 대하여 수기 열람으로 교통사고 예방대책 수립시 많은 인력과 활용도가 떨어져 교통업무관리시스템(TCS)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수집한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신호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Wireless Traffic Ligh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Hong, You-Sik;Kim, Chong-Soo;Kim, Chang-K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3권2호
    • /
    • pp.251-257
    • /
    • 2003
  • In this paper, we wish to construct a optimal traffic cycle using wire remote control. if police vehicle or ambulance suddenly enter the traffic Intersection, it will increase the traffic accident. In this paper, wireless traffic light use the radio traffic control signal and research about the hardware manufacture to check special detectors on urgency vehicles may safety and rapidly enter traffic intersection. Also, this paper present a traffic signal control conditions that analyzes different traffic intersection flows in cases of saturated flows, where the real traffic volume demand is large and the capacity constraints of bottleneck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low patterns. Through computer simulation this wireless traffic light has been proven to be much more safety and efficient than fixed traffic signal light which does not consider emergency vehicles for safety escort.

교통예측자료 기반 Network 차원의 신호제어 최적화 방안 (A Study on Network Based Traffic Signal Optimization Using Traffic Prediction Data)

  • 한정혜;이선하;천춘근;오태호;김은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77-90
    • /
    • 2015
  • 국내 교통은 날로 증가하는 차량으로 인해 도로의 상습정체, 대기오염 발생 등의 다양한 교통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지자체는 지능형교통체계(ITS :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 : 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s) 등의 시스템 구축을 통해 교통관리를 시행하고자 했으나 인프라 중심의 교통시스템 구축만으로는 만성적인 교통문제 해결에 효과가 미비하여 기존 시설물에 운영관리 기능을 강화한 시스템 고도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도시부 내 교통류는 임의의 시간대별로 특성 차량군이 형성되어 다양한 교통패턴이 존재하며, 이러한 상황별 교통패턴을 처리할 수 있는 지자체 네트워크 차원의 상황별 신호운영 설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획일적인 신호 운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단기적 교통상황 예측 데이터의 교통패턴을 기반으로 Frame Signal을 설정한 뒤 네트워크 차원의 신호최적화를 통한 상황별 신호제어 운영방안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현장적용을 위한 연동형 반감응 신호제어 개발 및 분석 (Developing and Evaluation of Coordinated Semi-Actuated Signal Control for Field Application)

  • 박순용;이석기;정준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51-46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방부 간선 또는 지선 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연동형 반감응 신호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연동형 반감응 신호제어에 대한 모의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주 부 도로의 교통량 차이가 커질수록 연동형 반감응 신호제어의 지체가 최적화된 고정식 신호제어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주부도로의 교통량이 같거나 전체 교통량이 많아지면 최적화된 고정식 신호제어의 지체가 더 낮게 나타났으며, 횡단 보행량이 많아질수록 차량 지체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연동형 반감응 신호제어는 차량 교통량이 일정수준 이하인 곳에 적용하되, 횡단 보행량을 고려하여 적용지역을 선별해야 할 것이다.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한 효율적 스마트 보행신호등 메커니즘 구축 (Constructing Effective Smart Crosswalk Traffic Light Mechanism Through Simulation Technique)

  • 이현준;문소영;김영철;손현승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13-118
    • /
    • 2016
  • 현재 교통약자(장애인, 고령자, 어린이 등)의 보행 속도는 일반인 보다 느려, 기존 신호등의 제한된 시간 동안 안전하게 횡단이 불가능하다. 단지 기존의 보행신호등의 시간을 늘려 해결할 수 있지만 교통약자의 구분 없이 신호 대기 시간만 늘리면 신호등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논문은 스마트 보행신호 등과 보행자의 스마트기기 연동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교통약자와 일반인을 구분하여 교통약자에게 추가 보행 시간을 제공으로 교통체증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 스마트 보행신호등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교통약자를 식별하는 교통약자 중심의 보행신호등 메커니즘이다. 또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한 효율적 스마트 보행신호등 메커니즘 구축에 필요한 Data를 추출하고 스마트 보행신호등의 효율성 확인을 위해 가상의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여러 종류의 신호등을 구축하여 인원 증가에 따른 신호대기시간 비교 분석 통해 효율적 시간을 검증한다.

통행시간과 점유율 기반의 실시간 신호운영 알고리즘 (A Real-time Traffic Signal Control Algorithm based on Travel Time and Occupancy Rate)

  • 박순용;정영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671-68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통행시간과 점유율의 융합 정보를 이용하는 새로운 실시간 신호제어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교통정보시스템의 통행시간 정보를 신호운영에 적용하였으며, 통행시간으로 부터 산정한 포화도를 신호제어에 이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결정적 지체모형을 이용해 통행시간으로부터 대기행렬 길이를 생성하고, 대기행렬 길이를 다시 포화도로 변환하는 과정이 적용되었다. 또한 통행시간 기반 포화도와 루프검지기 포화도를 융합해 신호시간이 산정되도록 하였다. 신호제어 알고리즘의 효과평가를 위해 미시적 시뮬레이션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과포화 상태에서 기존 루프검지기 기반 실시간 신호제어 대비 최대 27%의 지체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과포화 및 검지기 고장상황에 대한 효과적이고, 유용한 대응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신호제어시스템과 교통정보시스템의 교통정보 통합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