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ffic Injury Patients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5초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과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양상 (Patterns of Meniscus Injury with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 조성도;고상훈;황수연;김문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8-62
    • /
    • 2003
  • 서론 :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발생 빈도, 위치, 형태 및 치료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수상 6개월 이내의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 7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6례, 여자가 7례였으며, 평균 연령은 33($16\~62$세)였다. 수상 원인으로서는 스포츠 손상(45례), 교통사고(19례)순으로 많았으며, 스포츠 손상에서는 축구 손상이 34례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관절경을 이용하여 반월상 연골 손상의 위치, 형태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치료에 대해서도 분석해 보았고 특히 축구 손상으로 인한 군과 교통 사고로 인한 군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이 동반된 경우는 48례$(65.8\%)$로 그 중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이 26례$(54.2\%)$로 가장 많았으며, 위치는 후각부에서 52례$(91.2\%)$로 가장 흔하였다 형태는 방사상 파열이 15례$(26.3\%)$로 가장 흔하였으며 치료는 부분 절제술이 38례$(66.7\%)$ 가장 많았다. 이들 중 축구 손상으로 인한 군에서는 반월상 연골 손상이 동반된 경우는 28례$(82.4\%)$였으며, 그 중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이 17례$(60.7\%)$로 가장 많았으며, 위치는 후각부에서 30례$(90.9\%)$로 가장 흔하였다. 형태는 방사상 파열이 9례$(27.3\%)$로 가장 흔하였으며 치료는 부분 절제술이 22례$(66.7\%)$로 가장 많았다. 결론 : 급성 전방 십자 인대의 파열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의 빈도가 내측 반월상 연골 빈도보다 많았으며 후각부 손상이 가장 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PDF

경골 Inlay 방법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합병증 (Complications of PCL Reconstruction using Tibial Inlay Technique)

  • 김명호;박희곤;유문집;변우섭;심상호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8-133
    • /
    • 2004
  • 목적: 경골 Inlay 방법으로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합병증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9월부터 2004년 1월까지 경골 Inlay방법으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57명 58예를 대상으로 수술의 합병증에 대해 분석하였다. 남자가 50명, 여자는 7명이며, 평균 연령은 35세(15$\~$73세)였다. 후방 십자 인대 단독 손상은 28예, 슬관절내 동반 손상이 있는 경우가 30예였다. 원인 별로는 교통 사고가 39예로 가장 많았고, 운동 손상이 7예, 넘어진 손상이 7예, 기타 5예였다. 추시 검사는 술 후 4주, 3개월, 6개월, 1년째 외래 방문을 하게 하였다. 분석 방법은 슬관절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KT-2000TM 슬관절 계측기 및 긴장 방사선 촬영을 사용하였고, Lysholm Knee Score와 임상적 합병증을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 전 Lysholm Knee Score는 평균 43.2점에서 최종 추시상 87.9점으로 향상되었다 $KT-2000^{TM}$ 슬관절 계측기 검사 상 수술 전 평균 8.75 mm(6.2$\~$l4.3 mm)에서 최종 추시상 3.41 mm (2.1$\~$l0.6 mm)로 향상되었다. 수술 중 합병증으로 슬와 동맥 파열과 동반된 구획 증후군이 1예에서 발생되었으며, 슬개골 골절 1예, 20$^{\circ}$ 이상의 굴곡 운동 범위 감소가 2예, 근위 경골부의 고정 나사가 경골 전면부에 돌출되는 경우가 2예에서 있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동요 관절이 11예, 슬개골 골절이 1예, 슬관절의 신전 운동 범위 제한이 5예 및 굴곡 운동 범위 제한이 13예에서 관찰되었으며, 슬관절 주위 통증 21예, 무릎을 꿇을 때 통증이 8예 관찰되었다 결론: 경골 Inlay 방법으로 자가 골-슬개건 -골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되어 수술 및 수술 후 재활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 PDF

어린이(0-12세) 손상환자의 재원일수에 미치는 요인분석: 퇴원손상심층자료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Stay in Children(Aged 0 to 12) with Injuries: Centering Around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s)

  • 이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137-143
    • /
    • 2023
  • 이 연구는 어린이(0-12세)손상 환자의 특성에 따른 재원일수의 관계를 규명하여, 어린이손상 환자 재원일수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 조사대상은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에서 2016년 1월1일부터 2020년 12월31일 까지 퇴원한 환자 중 0-12세 이하이며, 주진단이 손상 및 사고의 외인(S00-T98)인 환자 7,804명이었다. 분석은 빈도 분석 및 독립표본 t-검정, ANOVA 검정을 실시하였다. 재원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재원일수는 5.5일 이었다. 학령기(7-12세)기 아동이 학령전기(0-6세)보다 재원일수가 길었으며, 진료비 지불방법이 의료급여 및 기타보험 환자가 재원일수가 길었다. 의료기관 소재지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전라도, 경상도)일 때, 병상규모가 100-299병상인 경우 재원일수가 길었다. 내원경로는 외래인 경우 재원일수가 짧았고, 손상기전이 운수사고, 화상인 경우 재원일수가 길었다. 부진단이 있고, 주수술을 시행한 경우 재원일수가 길었으며, 퇴원후 방향이 사망인 경우 재원일수가 길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전국 단위 자료인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어린이 손상환자의 재원일수의 특성 및 결정요인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안전교육 및 예방 활동만으로도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어린이 손상의 관련 요인 대한 적극적인 치료와 다양한 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호흡기 증상 없이 발생한 뇌 지방색전증 1례 (Fat Embolism Syndrome Which Induced Significant Cerebral Manifestation Without Respiratory Distress)

  • 김형근;이경미;김지혜;김준식;한승백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8권2호
    • /
    • pp.175-178
    • /
    • 2005
  • Fat embolism syndrome is a collection of respiratory, neurological and cutaneous symptoms and signs associated with trauma and other disparate surgical and medical conditions. The incidence of clinical syndrome is low while the embolization of marrow fat appears to be an almost inevitable consequence of long bone fractures. The pathogenesis is a subject of conjecture and controversy. There are two theories which have gained acceptance(mechanical theory, biochemical theory). Onset of symptom is usually within 12 to 72 hours, but may manifest as early as 6 hours to as late as 10 days. The classic triad of fat embolism syndrome involves pulmonary changes, cerebral dysfunction and petechial rash. The cornerstone of treatment is preventing the stress response, hypovolemia and hypoxia and operative stabilization of fractures. Corticosteroid are the only drugs which have repeatedly shown a positive effect o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fat embolism syndrome. We report a case of post-traumatic fat embolism syndrome with severe cerebral involvement without respiratory distress. A 55 years old female had a traffic accident. She sustained pelvic bone fracture and both humerus fracture. Approximately 4 hours after the accident, mental status change developed without a focal neurologic deficits. She had no respiratory symptom and sign. Her brain MRI showed multiple cerebral fat embolism lesion. The patients received supportive treatment with corticosteroid, albumin. Her neurologic status stabilized over several days. After orthopedic surgery, she was discharged 62 days after admission.

악안면골(顎顔面骨) 골절환자(骨折患者)의 임상(臨床) 통계적(統計的) 연구(硏究) (A Clinical and Statistical Study on Maxillofacial Fractures.)

  • 김승룡;진우정;신효근;김오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1호
    • /
    • pp.1-11
    • /
    • 1989
  •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n maxillofacial fractures. This study was based on a series of 442 patients with maxillofacial fractures treated at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Chon Buk National University from Jan, 1984 to Sep. 1988.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ratio of Male/Female was 4.8 : 1, and 3rd decade (43.9%) was the highest age group in incidence. 2. Monthly incidence was the highest in Oct,(10.6%). 3. The most frequent maxillofacial fracture site was mandible (70.0%), and zygoma & zygomatic arch (13.6%), maxilla(11.7%) and nasal bone (4.7%) were next in order of frequency. 4. Traffic accidents (47.5%), fight(24.8%) were the most common causes of maxillofacial fractures. 5. The most frequent chief complaint was painful swelling(40.7%). 6. In mandibular fractures, the most frequent fracture site was symphyseal area(28.9%) and simple fracture was the most frequent in type of fracture (71.2%). 7. In maxillary fractures, fracture with other facial bones (64.5%) was more frequent than fracture of maxilla only. The most common type of fracture was unilateral fractures(37.1%). 8. In fracture of zygoma complex, zygoma fracture was the most frequent fracture type(40.3%), zygoma and zygomatic arch fx, (30.6%), zygomatic arch fx, (29.1%) were next in order 9. Open reduction was major method of treatment in maxillofacial fractures : Mandible (77.5%), Maxilla (61.3%), Zygoma complex(43.1%). 10. Maxillofacial fractures were most frequently combined with head injury(39.3%), and lower extremities(17.0%), upper extremities(13.6%) were next in order.

  • PDF

비골골절의 Stranc 분류에 따른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The Nasal Bone Fracture According to Stranc Classification)

  • 박원용;김용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289-294
    • /
    • 2008
  • Purpose: The nasal bone fracture is known as the most common facial fracture. Several authors reported the classification of nasal bone fracture. Stranc classified the type of nasal fractures based on a pattern of impaction and level of injuries. Stranc classification proposed here is based on careful clinical observation and relates to both treatment and prognosi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ny predictive value to the preoperative classification of nasal fracture, using the description by Stranc and Robertson. Methods: We reviewed 310 patients with nasal bone fracture treated at our hospital for last two years. Results: Lateral impact type of nasal bone fracture predominated more than frontal impact in the ratio of 2.3:1. The most common type of Stranc classification was lateral impact plane I(48.4%). Male predominated more than female in the ratio of 3:1.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first decade(27.1%), second decade in frontal impact(30.5%), first decade in lateral impact (30.7%). The most common etiology was violence (31.3%) followed by slip down(21.3%), and traffic accident(18.1 %).The most common associated fracture was orbital(22.9%) followed by zygoma(10%), and maxilla (6.1%).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septal deviation(20.0%) in frontal impact, and nasal deformity (26.0%) in lateral impact. The incidence of nasal deformity in lateral impact(26.0%) was more higher than frontal impact(15.8%) Conclusion: By assessing the pathomechanics and resultant degree of injury to the nasal skeleto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reatment plan and prognosis was obtained. Using this information, satisfactory informed patient consent can be obtained.

가성 흉부 대동맥류의 수술 치험 -4례 보고- (Pseudoaneurysm of Thoracic Aorta)

  • 안병희;조삼현;나국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213-218
    • /
    • 1997
  • 저자들은 4례의 가성 흉부대동맥류를 외과적으로 치료하였는데 개심술후와 대동맥치환술후에 발생 한 예가 각 1례씩 이었고 2례는 교통사고에 의한 흉부둔상후 발생하였다. 심실중격결손증으로 개심술을 받았던 1례에서는 대동맥도관과 심정지액도관을 삽입하였던 부위로 생각되는 상행대동맥에서 발생하 였고, 하행대동맥에 발생한 죽상대동류로 대동백치환술을 받았던 1례에서는 인조혈관의 봉함부위에서, 그리고 교통사고에 의한 흉부둔상의 예에서는 좌쇄골동맥 기시부 직하방에서 발생하였다. 개심술 및 대 동백치환술을 받았던 환자들에서는 감염이 발병원인으로 생각되었고 외상환자에서는 하행대동맥의 파 열이 원인이었다. 외상에 의한 1례가 술후 3일째쉐 사망하였는데 수상시 동반된 담즙성 복막염에 의한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생존한 3례는 술후 10개월에서 18개월이 경과하였는데 특별한 합병증은 발견 되 지 않고 있다. 이상의 소견으로 미루어 외상에 의한가성대동류가의심되는 경우에서는타장기 손상의 합병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하고 개심술이나 대동백치환술후 추적관찰 중에도 드물게 발생하는 가성 흉부대동맥류가 발견되면 곧바로 외과적 \ulcorner치술을 시행하면 양호한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흉부 둔상에 의한 심장파열 (Cardiac Rupture after Blunt Chest Trauma)

  • 김태이;정태은;이동협;이정철;한승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255-261
    • /
    • 1998
  • 영남대학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93년7월부터 95년 5월까지 흉부 둔상에 의한 심장파열로 발생한 심장압전 환자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남녀비는 10:1로 남자가 절대적으로 많았으며, 평균 41세로 주로 활동하는 젊은 남자였다. 원인은 대부분 환자가 교통사고에 의해서 발생하였으며 압박사고와 추락에 의한 경우가 각 1례씩이었다. 수상후 내원까지는 평균 139분이 소요되었으나 그 중 다른 병원을 거쳐서 내원한 경우는 비교적 많은 227분이 소요되었고, 내원후 수술 까지는 평균 117분이 소요되었으며, 수술 지연시간은 평균 25분이었다. 발생부위는 우심실이 2례, 우심방이 5례 좌심실이 2례, 좌심방이 1례로서 확인되지 않은 1례를 제외하고 우측 심장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내원시 호소하는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흉통과 오심 및 구토이 많았으며, 대다수의 환자들이 특징적인 심장압전의 증상을 나타냈다. 수술은 정중 흉골절개를 통한 직접 봉합이 대부분이었으나 직접 봉합이 어려웠던 1례에서는 심폐기를 사용하여 시행되었고 1례를 제외한 전례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구강 및 악안면 영역의 연조직 손상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SOFT TISSUE INJURIES OF ORAL & MAXILLOFACIAL REGION)

  • 유준영;김용관;배준수;장현석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4호
    • /
    • pp.407-413
    • /
    • 1997
  • The soft tissue injuries of Oral & Maxillofacial region include abrasion, contusion, simple laceration, laceration of skin with underlying tissue, soft tissue injuries combined with facial bone fracture and involving functional structures such as facial nerve and vessel, orbit, lacrimal duct and salivary gland and so 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age range was 1 to 97, and the highest incidence occured in the 3rd decade(23.4%), followed by the 1st decade(20.2%), 4th decade(18.1%), 4th decade(18.1), and 5th decade(14.3%) 2. The sexual ration was 4 : 1(M : F). 3. The most common cause of facial laceration was a accident(54.5), followed by blow(17.8%), traffic accident(15.9%) and unknown(10.8%). 4.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site of injury was a forehead(24), followed by oral cavity(16.9%), lip(15%), eyebrow(14.5%), cheek(14%), chin(11.8%), nose(2%), scalp(1.4%) and neck(0.9%). 5. Most of wound size was less than 3cm in length. 6. 28 patients suffered facial bone fracture, representing 7%. 7. The major complications following facial laceration were infection and facial paralysis caused by facial nerve injuries, representing 4.5% and 1.9%.

  • PDF

거골 경부 골절의 치료 (Treatment for Fracture of Neck of the Talus)

  • 손성근;김병환;박수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0-48
    • /
    • 1999
  • The neck of the talus is its most vulnerable and fragile segment, because of narrow diameter, devoid of hyaline padding and honeycombed internally by vascular channels etc. Talar neck fractures comprise 50% of all major to the talus. The majority occurs as a result of high-energy injuries, such as motor vehicle accidents or fall from a height. Anatomically, talar surface is covered mainly with articular cartilage and blood supply to the talus is very poor. So, complications, such as non-union, avascular necrosis and post traumatic arthritis, are frequent. The authors reviewed fourteen cases of talar neck fractures treated in our clinics from Jan. 1992 to Mar. 1997, and average follow-up period was over 15 month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Patients' average age was 31.2 years. 2. The most common cause was traffic accident(9/14, 64%), and hyperdorsiflexion injury of the ankle was common mechanism of the fractures. 3. According to the modified Hawkins classification, type I was four cases, type II was nine cases, type III was one case and type IV was no case. 4. Hawkins sign of subcortical radiolucency was found in 64% (9/14) of the fractures. 5. Avascular necrosis was occurred in 21% (3/14) of the fractures(in two cases of type II fractures, and in one of type III). 6. According to the Hawkins criteria, four cases in type I, five in type II were an excellent result. Two cases, one in type II and one in type III were good result, and two in type II were fair. One in type II was poor resul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