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wine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4초

효모의 종류를 달리한 캠벨 얼리 포도를 이용한 백포도주 제조 (White Wine Making using Campbell Early Grapes with different Kinds of Yeasts)

  • 김경환;한기동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2-17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캠벨 얼리 백포도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발효시 모든 캠벨 얼리 백포도주의 pH는 3.2~3.5 범위안에 있었다. 전통적인 제조된 캠벨 얼리 백포도주의 산도는 0.2~0.9%로 유지되었다. 발효 종료 시 당도는 6~8 Brix로 감소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13.2~14.4%로 나타났다. 캠벨 얼리 백포도주는 색상, 향, 맛, 목넘김, 후미, 종합적 가호도 등에서 높은 관능평가 점수를 받았다. 이는 캠벨 얼리 포도가 발효에 적합한 풍부한 당성분을 가지고 있어 잘 발효되기 때문이며, 효모 K1-V1116을 첨가하여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양조전용 설갱벼로 제조한 전통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Using Seolgaengbyeo for Brewing Rice)

  • 오세관;김대중;류수진;천아름;윤미라;최임수;홍하철;김연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189-1194
    • /
    • 2011
  • 현재 국내에서 판매 유통되고 있는 전통주의 주질 개선을 위해서 양조 전용품종으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된 설갱벼를 기존 원료 쌀인 추청벼와 비교하여 호화점도(RVA), 알칼리붕괴도(ADV), 경도, 알코올 함량 및 관능검사 등의 품질 특성을 살펴 본 결과, 원료 쌀의 경도는 설갱벼가 2126.6 g/sec로서 추청벼 4056.1 g/sec보다 더 부드러움을 알 수 있었으며 설갱벼가 추청벼에 비하여 알코올 생성속도가 빠르게 나타났고 최종 알코올 함량도 설갱벼가 17.53%로서 추청벼 17.34%에 비하여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포도당 함량 분석 결과 발효과정 동안 설갱벼가 추청벼에 비하여 발효 초기와 말기만 포도당 함량이 낮게 나타내었다. 전체 유기산 함량은 전 발효기간 동안 설갱벼가 추청벼에 비하여 훨씬 높았으며 관능검사 결과 설갱벼로 제조되어진 전통주는 추청벼로 제조된 전통주에 비하여 쓴맛, 떫은맛 및 느끼한 맛이 적으면서 전체적으로 담백한 맛의 특성을 나타낸 설갱벼는 전통주 양조용으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누룩 및 조 첨가량에 따른 전통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Fermented from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Beauvios) and Nuruk at Different Addition Rates)

  • 우관식;이재생;고지연;송석보;오병근;강종래;남민희;류인수;서명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98-303
    • /
    • 2010
  • 대표적인 잡곡 중에 하나인 조의 이용성 제고를 위하여 누룩 및 조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알코올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효주 특유의 단맛을 위해 30% 정도의 조를 첨가하는 것이 양호할 것으로 여겨졌다. pH는 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SH 업체 누룩을 이용한 발효주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BS 업체 누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도는 pH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탁도는 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 첨가량에 따라 L 및 b-value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valu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색차(${\Delta}Eab$)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주의 유기산은 oxalic acid, lactic acid 및 acetic acid가 주를 이루었고 유리당은 glucose만이 검출되었고 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결과 조를 첨가할 경우 선호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BS업체 누룩을 이용하여 조를 70% 첨가한 발효주가 가장 양호한 관능적 특성을 보였다.

누룩 및 기장 첨가량을 달리한 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Made from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at Different Addition Rates with Two Kinds of Nuruk)

  • 우관식;송석보;이재생;고지연;강종래;오병근;남민희;류인수;서명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19-125
    • /
    • 2010
  • 대표적인 잡곡 중에 하나인 기장의 이용성 제고를 위하여 기장을 이용한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알코올 함량은 100% 찹쌀만으로 발효시킨 시료의 경우 SH업체와 BS업체 누룩에서 각각 12.36 및 12.53%로 나타났으며, 기장을 첨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나 SH업체 및 BS업체 누룩 모두 12.87~13.21%의 범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SH업체와 BS업체 누룩 대조구에서 각각 21.6 및 22.4 $^{\circ}Bx$로 나타났으며, 기장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는 대조구에서 각각 3.74 및 3.40이었고 총산도는 각각 1.40 및 1.51%로 나타났으며, 기장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뚜렷한 경향을 얻었다. 탁도는 대조구에서 각각 0.441 및 0.149로서 BS업체 누룩을 이용한 발효주가 탁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장첨가량이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탁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색도는 SH업체 누룩의 경우 기장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 ${\alpha}$ 및 b-value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BS업체 누룩은 L- 및 b-value는 감소하고 ${\alpha}$-valu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색차(${\Delta}Eab$)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주의 주된 유기산은 lactic acid와 acetic acid가 주를 이루었고 이중 lact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장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pH와 총산도와 마찬가지로 뚜렷한 경향을 찾기 어려웠다. 유리당으로는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대조구에서 각각 7.580 및 7.116%로 나타났고 기장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SH업체 누룩을 이용하여 기장을 30% 첨가한 발효주가 가장 양호한 관능적 특성을 보였다.

전통 발효주로부터 glutathione 고함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FF-8의 분리.동정 및 최적 생산조건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High-Glutathione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from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and Optimal Producing Conditions)

  • 박진철;옥민;차재영;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48-35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glutathione({\gamma}$-L-glutamyl-cysteinyl-glycine)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효모 균주를 전통 발효주로부터 분리하여 glutathione 생산 조건을 검토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학적,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동정되어 FF-8로 명명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 FF-8의 glutathione 생산 조건은 YM(glucose 1.0%, acid peptone 0.5%, yeast extract 0.3%, malt extract 0.3%) 배지를 기본으로 하여 최적 온도, 교반속도 및 초기 pH의 조건을 검토하였다. Glutathione 생산은 온도 $30^{\circ}C$, 교반속도 100 rpm 및 pH 6.0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았으며, 이때 glutathione 생산량은 72.0 mg/l이였으며, 건조 균체량은 5.2 g/l이였다.

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전통주의 추출물이 HepG2 세포의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ditional Wine by using Mycelium of Phellinus Iinteus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in HepG2 Cells)

  • 이수진;한민호;이용태;허만규;정경태;정영기;최영현;최병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14-918
    • /
    • 2006
  • It was examined that the effect of fermented traditional wine made by using mycelium of Phellinus linteus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in HepG2 cells. HepG2 cells were incubated with or without ertract of traditional wine (ETMP), then analyz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Western blot. The results of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es showed that the level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 (COX)-2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was induced by LPS, Dut the treatment of ETMP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hese proteins and its mRNAs. Besides, the results of Western blot analyse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nuclear $factor-{\kappa}Bp65$ and $inhibitory-{\kappa}B{\alpha}$ were also slightly affected by ETMP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M P alleviate the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 expressions and thus may be used as a functional alcoholic beverage.

수도권 지역 외식업계 종사자의 약주 및 동반 음식에 대한 인식 조사 (Perception of Korean Rice Wine and Food Pairings among Foodservice Employe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진현희;이승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3-290
    • /
    • 2014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data that could be used to popularize yakju(Korean traditional rice wine) by surveying how well rice wine goes with pairing foods. The survey was given to 302 men and women living in the Seoul and Gyunggi areas and work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The Jeon group, Gui group, Jeongol and Jjigae group, Pyeonyuk and Bossam group, and Muchim group were selected as menu items that go well with available rice wines. The survey aimed to identify foods that go well with four rice wines with different sensory characteristic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both men and women replied that rice wines with Nuruk aroma and Nuruk taste go well with the Jeon group, rice wines with sour and flower aromas and common characteristics go well with the Muchim group, and rice wines with sweet and fruit tastes go well with the Muchim group. However, men and women had different opinions on rice wines having ginseng, soil, and herbal medicine aromas. Men replied that such rice wines go well with grilled meat, whereas women replied that these rice wines go well with Pyeonyuk and Bossan groups.

탄소원으로서 입국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 (Lactic Acid Fermentation with Rice Koji as a Carbon Source)

  • 박석균;옥승호;김진만
    • KSBB Journal
    • /
    • 제30권1호
    • /
    • pp.33-37
    • /
    • 2015
  • Recently, several health benefits of rice wine, makgeolli, were known due to the interest on the traditional Korean liquor and the researches on the rice wine are increasing. Organic acids produced during the process of rice wine fermentation play important roles in the taste and flavor.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lactic acid production in rice koji as a carbon source. Skim milk was also used as a supplementary ingredient for the optimization of lactic acid fermentation. Bacterial growth of Lactobacillus sakei was monitored under this condition. The pH, acidity of the culture and the ethanol tolerance of this bacterium were also tested. Through these experiments, we were able to optimize the growth condition of lactic acid bacteria by the addition of skim milk. This was also able to affect the change of pH, acidity, sugar concentration and alcohol tolerance, which migh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rice wine.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growth was 2 days with 10% (w/v) of skim milk concentration. Wit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rice koji was an effective carbon source for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Liquor Distribution: Focus on Social Enterprises

  • Choi, In-Sik;Lee, Sang-Youn
    • 유통과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11-21
    • /
    • 2013
  •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mote the adoption of traditional liquor product contents in order to revitalize the market and to increase consumer awareness of traditional liquor.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In this study, the 4P relationship model was evaluated that included the self-supporting business of traditional liquor, continuous business, diversification of the types of the liquor, and discovery of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s for the distribution of the liquor. Results - The study suggested a 4P relationship model that consisted of traditional liquor as the product, traditional market as the place, promotion within traditional market, and payment of labor costs. In other words, selection of the traditional liquor product, place, rental supports, distribution and delivery strategies, operations, public relations and training, foundation of social enterprises, and discussion between departments. Conclusions -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merchants (the market association) should actively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revitalize the market for traditional liquor. Social enterprises that rely on a non-profit business model are likely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liquor market.

  • PDF

Schisantherin B Improves the Pathological Manifestations of Mice Caused by Behavior Desperation in Different Ages-Depression with Cognitive Impairment

  • Xu, Mengjie;Xiao, Feng;Wang, Mengshi;Yan, Tingxu;Yang, Huilin;Wu, Bo;Bi, Kaishun;Jia, Yi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7권2호
    • /
    • pp.160-167
    • /
    • 2019
  • Depression is a major mood disorder. Abnormal expression of glial glutamate transporter-1 (GLT-1)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Schisantherin B (STB) is one bioactive of lignans isolated from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which has been commonly used a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thousands of years. This paper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B on depressive mice induced by forced swimming test (FST). Additionally, we also assessed the impairment of FST on cognitive function in mice with different ages. FST and open field test (OFT) were used for assessing depressive symptoms, and Y-maze was used for evaluating cognition processes. Our study showed that STB acting as an antidepressant, which increased GLT-1 levels by promoting PI3K/AKT/mTOR pathway. Although the damage is reversible, short-term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caused by FST test is more serious in the aged mice, and STB also exerts cognition improvement ability in the meanwhile. Our findings suggested that STB might be a promising therapeutic agent of depression by regulating the GLT-1 restoration as well as activating PI3K/AKT/mTOR path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