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landscape

검색결과 1,114건 처리시간 0.028초

전통마을 공동체 공간의 문화경관 해석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based on Community Spaces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s)

  • 김수진;박정임;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4-2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마을에서 공동체적 문화가 행해지던 공간의 문화경관적 해석을 통하여 전통마을에서 면면히 이어져 온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마을단위의 주거단지 계획시 공동체적 공간을 설정, 활용하는 간접적인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사례연구지는 역사, 문화, 예술적으로 전승가치가 있으며, 전통문화를 잘 보존, 전승하고 있는 18개의 전통마을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의 방법으로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각 마을별 공동체 공간을 장소의 활용과 기능에 따라서 사회적 영역과 의식적 영역으로 분리하여 고찰하였다. 또 의식적 영역을 유교적 의례공간과 민속적 의례공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는 각 조사대상지의 공동체 공간요소의 위치를 파악하여 공간의 이용주체와 공간의 장소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공동체 공간의 요소별 분석으로 근대 이후 건립된 공동체 요소는 현재적 기점에서, 그리고 과거 조성되어 소실 등의 이유로 장소성이 상실되거나, 기능이 상실된 공동체 공간의 경우는 회고적 기점에서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전통마을의 공동체 공간에 내재된 문화경관은 마을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의 영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주민들의 공동체 공간이 단지 개별적인 독립된 계층에 의해 점유된 공간이라기보다는 공간의 사용유무에 따라 다의적인 장소로서의 활용이 가능하였다. 또한 남녀노소의 사용계층에 따라서 공간의 점유가 분리되고 차별화되어 있지만 서로 간의 암묵적인 소통을 통하여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고자 하였다.

중국 전통원림의 치석피도(置石被度)에 따른 원로경관의 시지각적 특성 분석 - 한국인과 중국인 시지각 비교를 중심으로 - (A Survey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of Road Landscape of Traditional Gardens in Suzhou, China based on Rockery Ratio - With a Comparison of Consciousness between Korean and Chinese -)

  • 김동찬;박율진;송매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0-77
    • /
    • 2011
  • 본 연구는 중국 전통 강남원림인 소주원림의 원로경관을 대상으로 치석피도(置石被度)에 따른 한국인과 중국인의 시지각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SD스케일에 의한 경관 형용사 분석방법으로 시지각적 이미지와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중국의 전통 강남원림인 소주의 졸정원, 창랑정, 사자림, 유원, 망사원 원림에 위치한 원로의 경관사진을 촬영하여 그 중 15매를 선정하여, 형용사 21쌍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로 대학생 한국인 51명과 중국인 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한국인과 중국인의 치석피도에 따른 원로경관의 시지각적 특성과 선호도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치석피도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치석피도를 산출해서 유형화하여 한국인과 중국인의 설문결과에 대한 평균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경관특성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정된 경관형용사를 척도화 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수행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과 중국인의 원로경관 선호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국인의 전체적 선호도는 한국인보다 더 높았다. 치석피도로 구분한 유형별로는 평균치가 중간, 매우 작은, 작은, 큰, 매우 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치석피도에 따른 선호도는 치석피도가 낮을수록 선호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석피도에 따른 선호도의 영향에 있어서는 중국인보다 한국인이 더 큰 영향을 받았다. 전통 강남 원림 가로 경관의 시각적 특성을 요인분석 결과, 한국인의 시각적 특성은 <심미성 요인>, <쾌적성요인>, <정연성 요인>, <흥미성 요인>로 총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중국인의 시각적 특성은 <심리성 요인>, <쾌적성 요인>, <정연성 요인> 총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Urban Culture Construction in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Take the Design of South Bank Linear Park in Meizhou City, Guangdong Province as an Example

  • Wugong, Deng;Jianzhong, Jia;Bingyue, Han
    • 한국조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경학회 2007년도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Asia Vol.3
    • /
    • pp.30-37
    • /
    • 2007
  • Modern cities are weak in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lack of characteristics and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deterioration. As the important carrier of urban culture, landscape architecture should be responsible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e urban need is paid much attention in the design of South Bank Linear Park in Meizhou city. Following the principle of inheriting and developing urban traditional culture, the design of the whole park is integrated with Hakka culture in Meizhou, which forms the landscape with local features and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culture, and promotes the urban culture construction.

  • PDF

한(韓)·중(中) 문화교류를 통한 전통조경의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Traditional Landscape through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 펑홍쉬;장징;장치엔두어;노재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9-57
    • /
    • 2020
  • 전통조경은 선현(先賢)들이 현대사회에게 남긴 문화적 자산으로, 고대의 전통문화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 조경설계에도 새롭고 창의적인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한·중 양국은 고대부터 문화교류를 통해 전통 조경문화의 계승과 보호 및 발전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전통과 현대' 및 '지역성과 국제성'이 서로 어우러져 발전하여 왔음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한·중 전통조경의 비교 연구를 목적으로 우선 양국 전통조경문화를 선행연구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양국의 문화적 배경을 종교사상, 전통문화, 자연관으로 나눠 해석하고 양국의 조경 역사와 원류관계를 조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중 조경 사조(思潮)의 비교 및 전통조경의 발전과정, 한·중 조경의 예술적 공간과 경지(境地) 등 세 방향에서 분석 고찰하였으며, 양국의 전통조경의 조성 방식에 있어 차이점을 분석하고, '의경조성' 및 '의경수법'을 구명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전통조경의 이론적 배경 및 조경의 경의성(景意性)에 대해 전통조경의 배치 및 주변 환경과 형식 그리고 전통조경의 색채 등을 명·청시대의 '이화원(頤和園)'과 조선 시대의 '경복궁(景福宮)'을 사례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중 조경의 특징을 토대로 국제화를 위한 전통적인 조경문화의 계승과 혁신방안을 모색하였다. 한·중 조경사의 발전 추세에 따른 양국 간 문화교류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앞으로 양국 조경의 발전은 전통문화에 대한 국제 간 협력 및 지역 특색의 창조적 결합, 화이부동(和而不同)한 전통조경 환경의 조성, 다양한 문화의 다층적 상생이 양국의 우호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포호의 옛모습 추정- 기록자료를 중심으로 - (The Past Landscapes of Gyeong-Po Lake)

  • 김태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3-93
    • /
    • 2004
  • Due to the pressures from surrounding conditions, the current Gyeong-Po Lake has been loosing its original appearance. Historically, the value of Gyeong-Po Lake has been highlighted at the Ru-Jeongs, which were once used to enjoy the various lakeside landscapes. However, the changes in physical appearance of the lake surroundings have ruined the value of the Ru-Jeongs, and even more changed the view point. As an initiating effort to reestablish and to manage the traditional visual landscapes of the lake, this study puts its emphasis on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Also,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traditional visual values that are not visible at the current time, based on historic literature such as historic documents, paintings and poems. One of the important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viewing the different landscapes was more highly valued than their physical configurations in historic literatures, and that the focal points in viewing landscape were the Ru-Jeongs(누정). H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et the Ru-Jeongs, including Gyeong-Po(경포), Bang-Hye(방해), Hwan-Sun(환선), and Ho-Hae(호해), as the focal points for viewing the landscapes in order to reestablish and manage the traditional landscapes of Gyeong-Po Lake.

정주형 역사경관 보전에 대한 주민과 방문객의 인식 연구 - 산청 남사마을과 함양 개평마을을 대상으로 - (A Study on Perception of Conservation of Settlement Historical Landscape - Focused on the village in Sancheong and Hamyang -)

  • 정연승;강석진;고영훈;김석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5-32
    • /
    • 2016
  •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provides a clue to reflect on the life of the era. Views of traditional village are the thing which can show us the life style and value of our ancestors and must be conserved as the values and traditional culture. Traditional village that has the historical value and descended to this day by adapting to environmental and social changes with the strong continuity is a part of the value of the residents' life and should be conserved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community and quality of the inhabitants' life.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the cause regarding conservation of the historical landscape and how the landscape influences on the residents and visitors. Based on those things, this study is to ultimately introspect importance of th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meaning of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conservation of the historical landscape.

조경식재를 통한 농촌마을 경관조성에 관한 연구 -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를 사례로 - (Landscape Design for the Rural Village - A Case Study of Naegokri, Yeohang-myeon, Haman-gun -)

  • 김상범;이승주;이상영
    • 농촌계획
    • /
    • 제14권1호
    • /
    • pp.59-71
    • /
    • 2008
  • The landscape commonly refers to the appearance of the land, including its shape, texture, and colours. Among man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landscape, tree and plants factors playa significant role in rural landscape as a colours. Therefore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where had been designated under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since 2007 in Naegok-ri, Eohang-myeon, Haman-gun has planned to design the tree plant planning for creating a unique rural landscape. The landscape proposal for the new Rural Village in Naegokri, Yeohang-myeon, Haman-gun suggests three main strategies; 1) The riverside area and reservoir area adjoined forest was required to be prepared to offer organization waterside landscape and forest landscape through landscape planting and selecting trees i.e. able to reflect sense of the season that promote high quality values of landscape area in rural. 2) The area adjoined stable was required to strengthen the screen planting and buffer planting with multiple plant layer structure and trees of branches and leaves closeness, shrubs of beauty flowers in order to improve disamenity landscape and odours. 3)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adjoined entrance was required to open space such as multipurpose garden, specialized or themed garden which include Landmark factors and prepared to the space with the various theme and visual diversity in order to take charge of function as landmark characteristic in Naegok-ri, Eohang-myeon, Haman-gun, and so on. In conclusion, this winning principal purpose of this study is applied to basic tree plant model for sustainable rural landscape creation in rural areas by selecting beautiful landscape plants and the tree plant planning.

전통조경의 조형론적 고찰 -전통 조형물의 형태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ve Theory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Focused on the Analysis of Form for the Traditional Objects-)

  • 정기호;전미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1-119
    • /
    • 1994
  • Until now, Many studies on the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were approached to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s and symbolism in terms of the traditional ideology and the view of n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principle of form included in the space planning by the analysis of the drawing figure. The principes of figure were presented in the space planning as the field of art. In the pavillion and square pond, drawing figure, based on the principle of simple proportions, shall be assured the value of being as a role of functions for planning first of all. Such principles of the functional aspect are in hormony and balance by proportion and thus a visual and structural aesthetic will be abled to refer.

  • PDF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Relaxation Effect of Tree Planting using Eye Movement Tracking

  • Lee, Ju-Young;Sawada, Takuji;Fujii, Eijiro
    • 한국조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경학회 2007년도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Asia Vol.3
    • /
    • pp.89-93
    • /
    • 2007
  • In the Japanese garden, a unique planting design has been used to improve visual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by planting plants around the objects that are not harmonious with surrounding landscape. In this study, physiopsychological effects of plants caused by a traditional planting skill used in Japanese garden was verified in terms of visual relaxation using eye movement recording and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A total of fourteen Japanese volunteers(seven male and seven female) who have normal vision(aged $21{\sim}28$) participated as subject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ealed room of Chiba University in Japan. Four different types of scenery models were presented which were created by combination of the three landscape factors of the surrounding background, the object that disturbs visual harmony, and the trees planted for improving visual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the results, significantly more gaze fixations were measured on the trees than on the object and higher values in positive feelings were recorded for the stimuli with proper planting combinat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proper tree planting can cause physiopsychological relaxation by improving visual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provided new evidence for supporting scientific validity of the traditional planting skills.

  • PDF

동해연안의 주택경관 유형별 인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recognition with type of Housing landscape in Donghae Seaside)

  • 조원석;김흥기;김용기;신정섭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80-89
    • /
    • 2006
  • This study is derived from relation between the natural landscape and architectural landscape. The type of landscape in Donghae seaside consist of three; Road, Mountain, Seaside. And we selected three landscapes about individual housing; Western, Traditional, Modern. This paper is analyzed 18-simulation scenes, which evaluated with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in using 12-bipolar adjec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ref: table 6). 1)The housing of western style do not correspond with landscape of Road, but landscape of mountain and seaside were suitable to the western style. 2)Mountain in Donghae seaside harmonizes with housing of traditional style. 3)Even though the housing of modern style were marked low assessment in three landscape, we found out relation, modern housing was well-matched with load landscap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