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Korean Liquor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4초

Genetic Analysis of Alcohol Yeast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Liquor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 Park, Heui-Dong;Kim, Seung-Hwan;Shin, Jae-Ho;Rhee, In-K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6호
    • /
    • pp.744-750
    • /
    • 1999
  • Forty alcohol yeast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main mashes (10 strains from each mash) for brewing of 4 different kind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3 different types of Yakju and 1 Takju). Thirty-eight out of 40 strains were identified to be the same strain, Saccharomyces boulardii, by the Automated Bacteria, Yeast, and Fungi Identification System (Biolog Co., U.S.A.) based on the metabolic fingerprints. One strain that showed the highest ethanol production among the 38 strains in YPD medium, designated SHY 111, was selected and used for differentiating from other yeast type strains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ed DNA, from transcribed internal spacers of SHY 111 chromosomal DNA, was found to be the same in both size and sequence as those of S. cerevisiae KCCM 11215 (formerly S. coreanus) and S. boulardii along with that of S. cerevisiae AB 972, which was used as a type strain for the yeast genome project. However, when PCR was carried out with the intron splice site primer, it resulted in the amplification of the SHY 111-specific DNA fragment which was about 200 bp in size. When PCR was carried out using the primer to test diversity of 40 isolated yeast strains, it was found that the PCR patterns were similar to each other except for the 200 bp bands derived from all the 10 strains from one Yakju, and 2 strains from another Yakju. These results suggest the strain identified as S. boulardii by the Automated Identification System to be a dominant strain for the fermentation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 PDF

SumizymeTM을 이용한 쌀 증류주의 누룩취 저감화 (Reduction of Nuruk Flavor in Korean Rice-Distilled Liquor Using SumizymeTM)

  • 곽한섭;김미숙;이영승;엄태길;서유진;심형석;하상형;윤옥현;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928-93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개량누룩을 정제효소로 대체하여 제조한 발효 술덧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 정제효소의 대체가 누룩취 저감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정제효소로의 대체량이 늘어날수록 발효 술덧의 특성은 부의 방향성을 보였다. 알코올 함량이 낮아 술의 생산 원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가 높아져서 발효 시 유해미생물에 오염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 보인다. 또한 가용성 고형분 함량도 높아서 개량누룩을 사용했을 때보다 발효가 늦게 진행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개량누룩의 사용량을 최대 30%까지 정제효소로 대체하였을 때 발효 술덧의 품질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정제효소($Sumizyme^{TM}$)로 30% 대체하여 제조된 발효 술덧 및 증류주는 누룩취의 강도에 있어서 개량누룩과 전통누룩으로 제조된 발효 술덧 및 증류주와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낮은 누룩취 강도를 보여주었다. 누룩의 일부분을 정제효소로 대체함으로써 쌀 증류주의 누룩취를 저감할 수 있을 것이다.

Fermentation and Sporulation Characteristic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SHY111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 Kim, Seung-Hwan;Chung, Oon-Chan;Woo, Im-Sun;Shin, Jae-Ho;Rho, Dong-Hyun;Rhee, In-Koo;Park, Heui-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6호
    • /
    • pp.776-783
    • /
    • 2000
  • Various alcohol yeast strains have been isolated from main mashe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and their genetic diversities were previously reported [23]. In this study, the strain SHY111, showing the highest alcohol production, was tested for its fermentation and sporulation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its haploid cells were isolated and tested for their growth and fermentation patterns.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based on its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equences of the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5.8S rDNA regions of S. cerevisiae SHY111 were found to be identical to those of S. cerevisiae that was obtained from through the yeast genome project. The maximum fermentation ratio obtained by the strain SHY111 (96.7%) was almost the same as that by S. cerevisiae Balyun No. 1 (96.5%) that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by S. cerevisiae KCCM11215(95.8%). The strain was induced for sporulation in a sporulation liquid medium using log phase cells grown in different types of pre-sporulation media, and its haploid cells were obtained by spore dissection using a micromanipulator. The majority of the spores formed a small colony on a YPD agar plate, and the haploid yeast cells derived from the strain SHY111 showed a variety of growth and alcohol fermentation patterns. It was proposed that the fermentation patterns were related to their growth phenotypes in the most haploid strains, but possible not in some strains.

  • PDF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e)을 이용한 전통 민속주의 제조 및 생리기능성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by using Chamomile (Matricaria chamomile))

  • 이대형;김재호;김나미;이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9-113
    • /
    • 2002
  •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e)을 이용한 새로운 전통민속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알콜 발효 조건을 검토하였고 캐모마일을 각각 1%, 5%, 10%, 20% 첨가하여 발효주를 제조한 다음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기호도가 제일 높은 발효주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발효주의 생리 기능성으로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저해활성과 혈전용해 활성 및 전자공여능 등을 조사하였다. 20%의 캐모마일을 함유한 덧밥에 누룩을 15% 첨가하고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제조한 주모를 첨가한 후 $25^{\circ}C$에서 10일간 발효시켰을 때 에탄올이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캐모마일을 1%, 5%, 10%, 20%씩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주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캐모마일을 5% 첨가하여 제조한 C-5 캐모마일 발효주가 기호도가 제일 높았고 색상도 미황색으로 우수하였다. 또한, C-5 캐모마일 발효주는 혈전용해활성과 tyrosinase 저해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 등이 일반 발효곡주보다 우수하였다.

아카시아꽃을 이용한 전통 민속주의 제조 및 생리활성

  • 서승보;이병승;김재호;김나미;최신양;이종수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11-314
    • /
    • 2001
  • 10%의 아카시아꽃을 함유한 덧밥에 누룩을 15% 첨가하고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제조한 주모를 첨가한 후 $25^{\circ}C$에서 20일간 발효시켰을 때 에탄올이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또한, 기호도와 색상은 아카시아꽃 15%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주가 가장 좋았고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제거활성이 무첨가 발효주 보다 강하였다.

  • PDF

한국 고문헌(1400년대~1800년대) 및 근대문헌(1900년대~1940년대)에 나타난 장과류(베리류)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Literature Review on Berries and Their Cooking Methods in ancient (1400s~1800s) and Modern (1900s~1940s) Literature of Korea)

  • 양지원;김영호;박동준;이남혁;김영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6-43
    • /
    • 2014
  •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on berries and their cooking methods that appear in ancient and modern Korean literature. Due to recent reports on berries' excellent functionality and the public's growing interest in healthy living, berries have been attracted attention as promising forms of sustenance. By structuring and classifying the types of berries and their popularity as well as recipes using berries found in ancient and modern Korean literature, this review hopes to serve as an important source that reflects both the food culture and social aspects associated with the value of berries in the lives of Korean people as well as foster understanding of the superiority of Korean food culture. This study will also have implications on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antioxidant-rich berries into the modern food landscape.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ypes of berries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Korean cherry, Omija, Gugija, Bokbunja, Black cherry, Mulberry) while cooking method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Korean traditional snack, Korean traditional beverage, Liquors, Porridge, Pilule) in the ancient and modern literature of Korea. The aim of this literature review is to highlight the value-creating aspect of berries as food materials that can yield high added-value products. Beyond their value as healthy fruits, this study will explore the features of berries that enhance their added value and brand marketing as well as their aspects suitable for application to the modern industry of berry product development.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 첨가가 전통주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s with the Addition of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 김지상;곽은정;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914-922
    • /
    • 2006
  • 본 연구는 로즈마리를 이용한 전통발효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발효기간(0${\sim}$20일)에 따라 로즈마리 첨가량 (0, 10, 20, 30%)을 달리한 발효주의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pH는 담금 5일째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담금 5일 이후부터는 완만한 감소 추세로 나타났고 10% 로즈마리 첨가 발효주의 pH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적정산도는 pH 변화 양상과 부합한 결과가 나타났다. 총산은 담금 5일에 로즈마리 무첨가 발효주는 365.24mg%, 로즈마리 첨가 발효주는 376.52${\sim}$417.95 mg%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10% 로즈마리 첨가 발효주의 중가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환원담은 담금 5일째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로즈마리 무첨가 발효주가 로즈마리첨가 발효주보다 증가가 크게 나타났고 특히 30% 로즈마리 첨가 발효주가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당은 발효기간에 따라 로즈마리 무첨가 발효주가 로즈마리 첨가 발효주보다 총당 함량이 낮았으며 로즈마리 함량이 많을수록 총당 함량이 크게 나타났다. 알코올 함량은 담금 5일째 급격히 증가하였고 그 이후 완만한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으며 로즈마리 무첨가 발효주가 로즈마리 첨가 발효주보다 알코올 함량이 낮았으며 로즈마리 함량이 많을수록 알코올 함량이 크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의 경우 10% 로즈마리 첨가 발효주를 제외한 발효주는 발효기간에 따라 증가, 감소하는 경향이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의 경우 로즈마리 무첨가 발효주는 발효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로즈마리 첨가 발효주는 로즈마리 첨가량과 관계없이 증가, 감소하는 경향이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의 경우 발효기간에 따라 로즈마리첨가 유무에 상관없이 감소, 증가하는 경향이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과도는 발효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로즈마리 첨가량에 따라서는 첨가량이 많을수록 투과도가 높게 나타났다. Amylase 활성도는 담금5일째 로즈마리 첨가 유무에 상관없이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으며 로즈마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amylase 활성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오갈피를 첨가한 전통 발효주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Liquor Made from Acanthopanax chilsanensis)

  • 김명석;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1-206
    • /
    • 2018
  • 지리오갈피의 소비를 촉진시키고 지역 특산품을 개발할 목적으로 지리오갈피 발효주의 제조하여 그 특성 등을 검토하였다. 지리오갈피의 뿌리, 줄기 및 열매를 원료미의 10%(W/W)씩 첨가하여 $25^{\circ}C$, 13일 동안 발효시킨 결과 각각 알코올 함량이 $14.7{\pm}0.7%$, $15.3{\pm}0.9%$$15.5{\pm}0.7%$의 발효주를 얻었다. 발효주의 pH는 pH 3.9~pH 4.4, 총산은 0.72~0.75%를 나타내어 3시험구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총당 함량은 발효 24시간부터 급격히 떨어져 발효 13일에는 7.1~7.5%를 나타내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은 지리오갈피의 뿌리와 열매를 첨가한 시험구 보다 줄기를 첨가한 시험구에서 7,045.01 ppm으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발효주 중의 acanthoside-D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10%의 뿌리 및 열매로 제조한 발효주에서는 35.42 ppm 및 18.91 ppm이 검출되었으나 줄기로 제조한 발효주에서 57.06 ppm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손바닥 선인장 열매를 이용한 전통주 개발 - II. 침출주의 특성 -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Wine Using the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 II. Characteristics of Liquors -)

  • 배인영;우정민;윤은주;김주신;양차범;이현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2호
    • /
    • pp.59-65
    • /
    • 2002
  • 제주도 손바닥 선인장 열매 침출주를 열매 함량별과 주정의 알코올 농도별로 제조하여 침출기간에 따른 성분변화를 조사하였다. 제조한 침출액을 4개월간 침출시키면서 pH, 당도, 환원당, 알코올 농도, 폴리페놀 함량, 탁도 및 색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최종 제품에 대해 향기성분 분석과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침출기간에 따라 pH, 알코올 농도, 폴리페놀 함량은 감소하였고 환원당 함량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주정의 알코올 농도별보다는 침출시키는 열매함량별에 따라 크게 나타났다. 탁도는 점차 커짐으로써 부유물의 생성이 증가함을 보였으나, 열매함량이 적고 주정의 알코올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그 정도가 가장 적었다. 명도와 황색도는 증가, 적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향기성분으로는 acetaldehyde, acetyl acetone, ethyl alcohol, guaiacol, thymol, acetic acid phenyl ester등이 각각의 침출주에서 공통으로 검출되었고, 그 밖의 향기성분은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최종 침출주에 대한 관능적 평가시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p<0.05)차이를 보였고, 전반적으로 알코올 농도 30% 주정에 열매를 67% 침출시킨 경우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내독소인 LPS로 처치된 흰쥐에 대한 막걸리 항산화 활성효과 (The Effects of the Makgeolri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in the Endotoxin LPS-treated Rats)

  • 권륜희;채가연;하배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6-170
    • /
    • 2011
  • pH와 DO(dissolved oxygen)의 변화는 발효 진행상황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효모의 알코올 발효는 술덧 (mash)이 산성 또는 미산성인 경우에 알코올 생성 능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성막걸리의 1차 담금시 pH는 3.20에서 시작하여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4.22로 증가하였다. 보통 1차 담금 후 2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pH는 3.2정도가 되면 정상발효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2시간 후 2차 담금 시에는 pH가 3.88에서 3.67사이로 확인 하였다. 일반 막걸리의 발효 pH는 4.0~4.6범위인데 본 연구에서는 다소 낮은 pH를 나타내었다. 또 숙성단계에서는 3.72 에서 4.11로 증가하여 산성의 pH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DO의 경우 l차 담금 시 10에서 시작하여 0.8정도로 감소하다가 2차 담금과 숙성 시에는 4.0을 유지하였다. SOD는 superoxide anion을 $H_2O_2$$O_2$로 전환시키고 $H_2O_2$는 다시 GPx와 catalase(CAT)에 의해 $H_2O$로 전환됨으로써 SOD, CAT 및 GPx는 활성산소의 독성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 SOD 활성도는 LPS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1.64배 감소하였으며 SM+LPS군의 SOD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23.29% 증가하여 간 염증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LPS로 간 염증을 유발하지 않은 SM군에서는 정상군보다 1.28배 SOD활성이 증가하였다. CAT 활성도에서는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l.35배 CAT의 활성도를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SM+LPS 군의 CAT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40.26%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SM군은 정상군에 비해 1.03배 CAT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GPx활성도는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3.78배 감소하였으며 SM+LPS군의 GPx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11.91%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SM군은 GPx활성이 정상군에 비해 0.97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LPS투여로 감소되었으나 SM을 투여한 경우에는 증가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항산화 효소의 활성의 증가는 간 손상에 관한 간조직의 병리조직학적 관찰을 통하여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산성막걸리 추출물이 항산화 작용에서 효과가 있는 물질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