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raditional Knowledge(TK)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Ethnobotanical Studies of Gangwon-do: A Comprehensive Research of the Province and Data Analysis

  • Kim, Young-sil;Chung, Jae-min;Kim, Young Do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0-70
    • /
    • 2018
  • As science and technology has developed, human could be flourished especially at the aspect of agriculture and medicine. However,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them has stopped being used, which leads to extinctions of it. Korea National Arboretum had surveyed the ethnobotanical uses of Gangwon-do from 2006 to 2017. 522 taxa were defined as ethnoplants through 21469 sheets thanks to 355 respondents who composed 279 females, 73 males and three refused to answer. Analysis of ethnoplants had conducted to provide the excavation of the new plants for industries of agriculture and medication, as well as the evidence for protection of TK and benefit derived from it. Aster scaber Thunb. had been found as the most citated taxa by 0.6591 RFC figure, Pinus desiflora Seibold & Zucc. was found to have the extensive categories of use. Aralia elata (Miq.) Seem. showed the highest figure of CI value. In the index of RI, Pinus desiflora Seibold & Zucc. appeared again, as well as CV, cultural value. For evaluation of the usages of ethnoplants IAR figures are analyzed. The fiber has shown the biggest figure of IAR, despite the dyes are placed the smallest figure.

  • PDF

최근 10년간의 수질(水蛭) 연구 동향: 비만 및 대사증후군에의 응용 가능성 제고 (Analytical Study on Medical Leech in the Last 10 Years: A Suggestion of Practical Use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 이진원;박원형;차윤엽;송윤경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2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research trends about medical leech in the last 10 years. Methods: We searched the papers with key words of 'medical leech', '水蛭' in China Knowledge Resource Integrated Database (CNKI),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DBPIA, KISS. We classified the papers by year and content. Results: 1.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methods, 50 studies are clinical case reports, 301 studies are experimental paper, 599 studies are clinical trial study, 219 studies are literature review. 2.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topics, 454 studies are the effect of anticoagulant research, 84 studies are diabetes and renal disease research, 194 studies are pharmacological properties research, and 43 studies are effect of 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research. 3. The proportion of the coagulation effect study tends to decrease every year since 2006. 4. Leech research tends to decrease in last 3 years. 5. Recently, there are many research in psychiatry, orthopedic diseases and beauty. 6. There are 10 studies related to leech in Korean. Conclusions: The researches of medical leech are actively done. The diversity of subjects is getting wider and richer.

예비화학교사의 TPACK 발달을 위한 실천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방해 요인 분석 (The Effect and Disturbance Factors of Practical-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TPACK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 정미선;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305-32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화학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전문성(TPACK)을 향상시키고자 실천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TPACK 발달 측정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 및 방해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충청북도에 소재한 K 교사양성대학교에서 화학교육강좌를 수강하는 화학교육과 3학년 20명과 4학년 2명이었다. 개발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은 준비, 리허설, 실습, 성찰의 네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준비, 리허설, 성찰 단계에서는 연구자와 동료의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구성적 학습 활동"에서는 교육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제해결"에서는 교육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성적 학습 활동"에서는 사전과 사후에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0수준으로, 테크놀로지를 단순히 교과 내용 설명이나 오개념 개선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기 위하여 예비교사가 일방적으로 제공하고, 학습자는 이를 통해 수동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도록 계획하였다. 그러나 "문제해결"의 경우 사전에 0수준이었던 예비교사들이 1수준으로 변화하였다. 즉,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지 않고 단순 기억에 의존해서 문제를 해결하도록 수업을 구상하였던 학생들의 대부분이 교사가 제시한 테크놀로지의 관찰을 통해 다양한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을 계획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학습자가 스스로 테크놀로지를 선택하고 다양하게 조작하면서 다양한 문제를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해결하는 자발적 학습을 구성하는 2수준에 해당하는 예비교사들은 많지 않았다. 또한, 예비화학교사들이 TPACK 발달에 대한 방해요인으로 인식한 외적요인으로는 TPACK 구현을 위한 교실지원환경 미흡, 교육 계획을 위한 시간 부족, 부적절한 기술 역량 등이 있었으며, 내적요인으로는 전통적 교육관, 그리고 테크놀로지에 대한 부정적 태도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그 중에서 부적절한 기술 역량을 외적 방해요인으로 인식한 비율이 높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을 위해 TK를 통해 TPACK 발달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TPACK 발달 유형 중 유형 2나 유형 3에 해당하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