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ck impact factor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4초

도시철도 분기기 궤도구조의 궤도지지강성과 궤도충격계수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rack Impact Factor and Track Support Stiffness of Turnout System on Urban Transit)

  • 최정열;박종윤;이규용;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61-466
    • /
    • 2020
  • 본 연구는 도시철도 콘크리트궤도에 적용된 침목플로팅궤도와 목침목 분기기 궤도의 궤도지지강성과 궤도충격계수의 상관관계분석을 위해 운행선 현장측정을 수행하여 분기기 궤도의 위치별 궤도지지강성과 궤도충격계수를 측정하였다. 본선의 일반 궤도구조인 침목플로팅궤도의 궤도지지강성은 침목방진패드의 스프링강성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궤도와 분기기 위치별 궤도지지강성의 차이는 궤도충격계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침목플로팅 궤도구조와 분기기 궤도구조의 궤도지지강성과 궤도충격계수는 위치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선 일반구간과 분기기 궤도의 궤도지지강성의 편차를 최소화 하여 궤도충격을 저감시키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선 궤도의 충격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rack Impact Factor in the Conventional Line)

  • 엄주환;유영화;엄기영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239-245
    • /
    • 2003
  • In this paper, the track impact factor of conventional line was evaluated using the data for wheel load measured in field and the properties of current operating trains. The equation for track impact factor was presente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variational ratio in wheel load and compared with other design equation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 review on the safety of track system in conventional line was made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locity and the corresponding impact factor.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factor from the proposed equation is a little less than the values from the equations adopted in both AREA and domestic railway, while it is same as the equation for continuous welded rail(CWR) in Japan.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track satisfies a criteria for dynamic load caused by the train and the corresponding level of safety is guaranteed for dynamic load of the train

고무방진매트가 적용된 플로팅궤도시스템의 거동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Evaluation of Behavior for Floating Track System Using a Resilient Rubber Mat)

  • 이시용;정인철;최정열;박용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281-288
    • /
    • 2014
  • 본 연구는 고가정거장 구간에 부설된 고무방진매트 플로팅궤도시스템의 방진성능 및 적용효과를 실험적으로 입증하고자 고무방진매트가 적용되지 않은 개소와 비교 측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고무방진매트 플로팅 궤도시스템의 측정 궤도지지강성 및 궤도충격계수를 산출하고 이론 및 설계치와 비교하여 현재 시공된 고무방진매트 플로팅궤도시스템에 대한 궤도상태의 건전성 및 궤도 충격의 수준을 평가하였다.

도시철도 궤도형식별 궤도 충격계수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valuation of Track Impact factor on the Various Track Type in Urban Transit)

  • 김재원;김만철;박용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2-399
    • /
    • 2011
  • Impact factor of concrete and ballast track which has been used in Korea railway was applied to equation (1+0.513V/100) from AREA. As the use of this equation, overcapacity of track design might be occurred.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impact of ballast track (well, bad) and concrete track (sleeper embeded system, rail floating and sleeper floating) by field test to analyzing dynamic effect of track structure's characteristic and wheel load on service line. In addition, it suggested a method to generate reasonable track impact factor on each track type.

  • PDF

도시철도 궤도구조별 궤도충격계수 평가 (The Evaluation of Track Impact Factor on the Various Track Type in Urban Transit)

  • 최정열;박용걸;이상민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48-255
    • /
    • 2011
  • 현재 한국에서 궤도설계 시 사용하고 있는 궤도충격계수는 미국철도기술협회(AREA)의 식(1+0.513V/100)을 사용하고 있다. 이 식은 자갈 및 콘크리트궤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단일수치로서의 충격계수는 다양한 궤도구조의 역학적 거동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여 경우에 따라 과다설계가 될 소지가 있다. 또한 자갈궤도의 경우 도상자갈의 상태변화에 따라, 콘크리트궤도는 궤도탄성층의 구성과 탄성범위에 따라 궤도에 작용하는 동적윤하중의 효과, 즉 충격의 효과가 상이하게 발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갈궤도(도상 상태 양호 및 불량개소)와 콘크리트궤도(일반적인 침목매입식 궤도, 레일플로팅궤도, 침목플로팅궤도)에서의 현장측정을 통해 도상별, 궤도구조별 열차 주행시 발생하는 윤중의 동적효과를 분석하여 궤도의 상태 및 구조적 특성과 궤도 충격의 효과와의 상관관계 및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궤도구조의 특성을 감안하여 궤도충격의 영향을 합리적으로 산정 할 수 있는 제안식을 제시하였다.

도시철도 침목플로팅궤도(STEDEF)의 침목방진패드 피로거동 분석 (Evaluation on Fatigue Behavior of Resilience pad for Sleeper Floating Track System in Urban Transit)

  • 최정열;이정숙;봉재근;김수진;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347-352
    • /
    • 2020
  • 본 연구는 현장측정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철도 침목플로팅궤도 (STEDEF)에 사용되는 침목방진패드의 스프링 강성 변화율에 따른 궤도충격계수 변화수준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현장측정결과와 실내 700만회 피로시험결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하였다. 또한 도시철도 STEDEF 궤도구조에 사용되는 침목방진패드의 비선형 피로거동특성이 고려된 침목방진패드의 피로영향선도를 제시하였다. 현장측정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한 궤도충격계수-궤도지지강성 선도의 침목방진패드 스프링강성 변화율 30% 이상에 대한 궤도충격계수의 비선형 특성이 피로시험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부분의 침목방진패드 시료에서 침목방진패드 규격서에서 명시한 정, 동적 스프링강성 기준치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작은 하중범위에서의 변위가 큰 침목방진패드의 소재적인 특성을 감안할 때 열차하중을 부담하는 침목방진패드의 전체적인 탄성변위량이 클수록 연행집중하중으로 작용하는 열차 하중에 의한 탄성변위의 회복속도가 늦어지고 탄성변위향은 작아지게 되므로 정적 대비 동적 스프링 강성의 비가 커지게 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형무인경전철(PRT)궤도 레일이음매의 동적거동 분석 (Evaluation of Dynamic Behavior of Rail Joints on Personal Rapid Transit Track)

  • 최정열;김준형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9-94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dynamic behavior of a personal rapid transit(PRT) track system using a rail of rectangular tube section and a rail joint of sliding type,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e normal rail and rail joint of a PRT track system by performing field measurements using actual vehicles running along the service lines. The measured vertical displacement of rail and sleeper, and vertical acceleration of rail for the normal rail and rail joint section were found to be similar, and the rail joint of sliding type satisfied the design specifications of the track impact factor for a conventional railway track.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dynamic response of the rail joint were found to be similar to or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rail, therefore the rail joint of sliding type for PRT track system was sufficient to ensure a stability and safety of PRT track system.

도시철도 침목플로팅궤도(STEDEF) 침목방진패드 교체에 따른 동적 거동 (Dynamic Behavior of Sleeper Floating Track System(STEDEF) on Urban Rapid Transit According to Replacement of Resilience Pad)

  • 최정열;봉재근;이정숙;한재민;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335-340
    • /
    • 2020
  • 본 연구는 도시철도 침목플로팅궤도인 STEDEF궤도구조에 사용되는 침목방진패드의 교체 필요성 및 궤도전반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분석하고자 침목방진패드 교체 전, 후의 궤도 동적거동을 현장측정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후된 침목방진패드를 신품으로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궤도지지강성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침목방진패드 교체를 통해 당초 설계 시 고려했던 궤도지지강성의 수준을 회복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침목방진패드 교체 이후 측정 궤도충격계수가 대부분 설계기준 이하로 크게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나 침목방진패드의 교체를 통해 궤도지지강성을 설계 당시의 수준으로 회복함으로써 동적 윤중 증폭을 감소시킴으로서 궤도에 작용하는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시기적절한 침목방진패드의 교체를 통해 궤도지지강성을 설계 시 고려했던 수준으로 회복시키고 궤도충격수준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는 궤도재료 전반의 내구성 확보 및 사용수명을 향상을 위해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종대교 강직결 궤도구조의 동적거동에 관한 연구 (Dynamic Behavior of Direct Fixation Track on Yeongjong Grand Bridge)

  • 최정열;이규용;정지승;안대희;김수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443-44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영종대교를 구성하고 있는 교량형식(트러스교, 현수교)별 열차종류(AREX, AREX Express, KTX, KTX-Sancheon) 및 열차속도가 강직결 궤도구조의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현장측정을 수행하였다. 현장측정결과를 바탕으로 궤도충격계수 및 열차주행안정성(탈선계수, 윤중감소율, 레일두부횡변위)을 국내, 외 관련기준 및 법규와의 비교하여 영종대교 교량상 강직결 궤도구조의 동적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열차하중 및 속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종대교 교량형식별 궤도의 동적거동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으나 열차하중의 크기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열차속도 증가에 따른 궤도충격계수의 증가와 이에 따른 궤도부담력의 증가수준을 감안한 영종대교 강직결 궤도구조의 보강방안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하철 자갈도상 케도의 충격계수 평가 (Evaluation of Impact Factor on Ballast Track in Subway using Field Test)

  • 강기동;박용걸;최정열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784-791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the test results to evaluate the healthiness of the ballast in subway. The test includes the dynamic load test in servicing Line the screen classification test of aggregates and the wear test. From the results, the aspect and the property of the ballast are evaluated. The dynamic load tests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rioration of the ballast and the fluctuation of loads. The assessment of impact factor based on the field test results in a good property of test blocks is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