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cheal injury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6초

식도(食道) 발생한 기관지성(氣管枝性) 낭종치험례(囊腫治驗例) (A Bronchogenic Cyst in the Wall of the Esophagus -Report of A Case-)

  • 이종배;김근호;김춘원;김기홍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9권1호
    • /
    • pp.69-72
    • /
    • 1976
  • This is to report a case of bronchgenic cyst. While most of the bronchogenic cysts reported in the literature so far were located either in the lung parechym or in the mediastinum near the tracheal bifurcation or main bronchi. the cyst presenting in this study was originated in the wall of the esophagus and was reported to be very rare. The cystic tumor was found accidentally by X-ray fluoroscopic examination of the esophagus and stomach in the patient with gastric hemorrhage. X-ray study revealed that the cystic tumor was oval in shape and located in the left posterolateral wall of the esophagus in the thoracic lower third. Two surgical operations, gastrectomy for gastric hemorrhage and the resection of the cystic tumor, were carried out separately. Gastrectomy including the removal of prepyloric ulcer by the Billroth II type procedure was performed in regular fashion, and the cystic tumor was resected radically without any injury of the mucous membrane of the esophagus. The cyst removed appeared to be filled with mucinous material,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identified the tumor as a bronchogenic cyst with ciliated epithelial internal lining. Postperative course of the patient was uneventful.

  • PDF

Blunt Trauma 에 의한 기관-식도 파열의 치험 1례 (Rupture of the Trachea and the Esophagus Following Blunt Trauma: A Report of a Case)

  • 정윤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8권2호
    • /
    • pp.119-124
    • /
    • 1975
  • This is a case report of the rupture of the trachea and the esophagus following external blunt trauma without any associated injury. A 7 year old male patient was brought to the emergency room. Hanyang University Hospital, on 23 Jul, 1974 while he played under the pile of pingpong table A table was fall down over the patient accidentally. The patient was injured by the table and found lying in unconsciousness on the ground.There was subcutaneous emphysema on his anterior chest and neck. A contusion on the upper part of the sternum was noted. The breathing sound were diminished over the left side of the chest. Ronchi were heard over the right lung field. This patient was suffered from vomiting, dypsnea, and irritable mental state after this accident. On the chest roentgenogram in A-P view, hyperlucency at the mediastinum and parapericardiac area suggested the pneumomediastinum. On the next day, a diagnosis of the tracheal and esophageal rupture was confirmed by the esophagogram with Lipiodol swallowing. A right thoracotomy was performed and ruptured orifice of the trachea and the esophagus were closed with interrupted sutures.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primary closure of the rupture of the trachea and the esophagus were succeeded.

  • PDF

인후두 위산 역류증의 동물 모형의 개발 (Animal Model of LPRD (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 김진국;김현준;이민우;남태욱;최홍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8
    • /
    • 2001
  • Background and Objectives: Complications arising from endotracheal intubation are uncommon but, when they do occur, can be significant. Placement of an endotracheal tube frequently results in trauma to the underlying laryngeal and tracheal tissue, although the trauma is usually reversible. Occasionally, these changes can be of a more permanent nature and result in severe impairment of the airway and/or voice. It is proposed that a common factor-gastroesophageal reflux-might be responsible.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velop the animal model of LPRD using rats and investigated that LPRD could produce significant damage to larynx especially vocal cords. Materials and Methods : The each four rats were used in the experiment and control study. Each was anesthetized and larynx was exposed and injured in the unilateral aritenoid. Injured site was contact with normal saline(control group) and synthetic gastric juice(experimental group). The larynx was examined after 7days in normal environment. Results : All was survived in the control group and two was survi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control group, some inflammation cells was found but in the experimental group, granulation was found. Conclusion : We developed animal model of LPRD using rat and thought LPRD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permanent laryngeal injury.

  • PDF

Nasotracheal intubation in pediatrics: a narrative review

  • Jieun Kim;Sooyoung Jeo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4권2호
    • /
    • pp.81-90
    • /
    • 2024
  • Nasotracheal intubation (NTI)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diatric airway management, offering advantages in specific situations, such as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and situations requiring stable tube positioning. However, compared to adults, NTI in children presents unique challenges owing to anatomical differences and limited space. This limited space, in combination with a large tongue and short mandible, along with large tonsils and adenoids, can complicate intubation. Owing to the short tracheal length in pediatric patients, it is crucial to place the tube at the correct depth to prevent it from being displaced due to neck movements, and causing injury to the glottis. The equipment used for NTI includes different tube types, direct laryngoscopy vs. video laryngoscopy, and fiberoptic bronchoscopy. Considering pediatric anatomy, the advantages of video laryngoscopy have been questioned. Studies comparing different techniques have provided insights into their efficacy. Determining the appropriate size and depth of nasotracheal tubes for pediatric patients remains a challenge. Various formulas based on age, weight, and height have been explored, including the recommendation of depth-mark-based NTI. This review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NTI in pediatric patients, including the relevant anatomy, equipment, clinical judgment, and possible complications.

기관내 내독소 투여로 유도한 백서의 급성 폐손상 모델에서 surfactant가 호중구의 아포토시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urfactant on Neutrophil Apoptosis in Lipopolysaccharide Induced Acute Lung Injury in Rat)

  • 유지훈;이병준;정도영;이상훈;신종욱;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4호
    • /
    • pp.409-419
    • /
    • 2002
  • 연구배경 : 급성폐손상에서 표면활성물질의 치료효과는 허탈된 폐포를 재환기시키는 작용 외에 표면활성물질이 지닌 항염증효과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표면활성물질의 항염증효과의 기전에 호중구의 아포토시스를 촉진하는 작용이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말초혈액 호중구와 LPS로 급성폐손상을 유발한 흰쥐의 폐포내 호중구의 아포토시스에 대하여 표면활성물질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생체외 실험에서는 자원자의 혈액에서 호중구를 분리하여 같은 수의 호중구 ($1{\times}10^6$)에 LPS(10, 100, 1000ng/ml), surfactant(10, 100, 1000${\mu}g$/ml), 그리고 LPS(1000ng/ml)와 표면활성물질(10, 100, 1000${\mu}g$/ml)을 혼합하여 투여하였다. 24 시간 배양한 후에 호중구의 아포토시스를 Annexin V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생체내 실험에서는 백서의 기관 내로 LPS(5mg/kg)를 투여하여 급성폐손상을 유발한 후에, 한 군은 표면활성물질(30mg/kg)을 다른 군은 생리식염수(5ml/kg)를 30 분 후에 기관 내로 투여하였다. LPS 투여 24 시간 후에 기관지폐포세척술을 시행하여 기관지폐포세척액을 얻었으며, 여기에서 호중구를 분리하여 Annexin V 방법으로 아포토시스를 측정하였다. 또한 LPS 투여 전과 23 시간 후에 one chamber body plethy smography를 이용하여 호흡역학(일호흡량, 호흡수, Penh)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 생체외 실험에서 LPS 투여는 사람 말초혈액 호중구의 아포토시스를 억제하였다(대조군; $47.4{\pm}5.0%$, LPS 10ng/ml; $30{\pm}10.9%$, LPS 100ng/ml; $27.5{\pm}9.5%$, LPS 1000ng/ml; $24.4{\pm}7.7%$). 낮은 농도의 표면활성물질 투여는 LPS 투여에 의해 억제 되었던 호중구의 아포토시스를 촉진시켰다(LPS 1000ng/ml=Surf 10${\mu}g$/ml 1; $36.6{\pm}11.3%$, LPS 1000ng/ml+Surf 100${\mu}g$/ml 1; $41.3{\pm}11.2%$). 높은 농도의 표면활성물질($1,000{\mu}g/ml$) 투여는 그 자체도 호중구의 아포토시스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24.4{\pm}7.7%$) LPS의 항아포토시스 작용을 촉진하였다(LPS 1000ng/ml+Surf $1000{\mu}g/ml$; $19.8{\pm}5.4%$). 생체내 실혐에서 표면활성물질 투여는 생리식염수 투여에 비해서 급성폐손상을 받은 쥐에서 기관지 폐포세척액의 호중구의 아포토시스를 촉진하였다($6.03{\pm}3.36%$ vs $2.95{\pm}0.58%$). 표면활성물질을 투여한 백서는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백서에 비해 LPS 자극 후 23 시간에 측정한 기도저항(Penh) 이 낮았다($2.64{\pm}0.69$ vs $4.51{\pm}2.24$, p<0.05).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표면활성은 사람의 말초혈액 호중구와 급성폐손상을 받은 백서의 기관지폐포세척액 내의 호중구의 아포토시스를 촉진하며, 이런 효과가 표면활성불질의 항염증효과의 기전 중 하나일 것으로 추측된다.

기관내 내독소 투여로 유발된 흰쥐의 급성폐손상에서 surfactant의 치료효과 (The Effect of Surfactant Therapy for Acute Lung Injury Induced by Intratracheal Endotoxin Instillation in Rats)

  • 강윤정;박용범;지현석;최채철;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4호
    • /
    • pp.487-499
    • /
    • 2000
  • 연구배경 :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으로 유발된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투과성 증가로 폐부종이 발생하여 저산소성 호흡부전이 유발되는 증후군으로, 여러 종류의 surfactant의 이상이 관찰되어 외부에서 기관을 통해 surfactant를 공급하는 치료방법이 많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를 대상으로 기판내로 내독소를 주입하여 급성 폐손상을 유발한 다음 기관내로 surfactant를 투여하여 치료효과를 알아보았다. 방 법 : 흰쥐를 각각 5마리씩 네 군으로 나누어 제1군은 기관대로 생리식염수를 30분 간격으로 주입하였고, 제2군은 기관내로 내독소를 주입한 이후 30분 뒤에 기관내로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였으며, 제3군과 4군은 기관내로 내독소를 주입한 후 각각 30분과 5시간 뒤에 기관내로 surfactant를 주입하였다. 결 과 : 생리식영수만 기관내로 주입한 제1군에 비해서 내독소를 기관내로 주입한 제2군과 3군, 4군에서는 호흡수가 증가하고, 흡기유량이 감소하였으며, 기도저항을 나타내는 지표인 Penh은 제2군에서만 증가되었다. 동맥혈액산소분압은 제 2군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기관내 내독소 투여후 24시간에 얻은 기관지폐포세척액의 단백농도는 제 2군에서만 증가하였다. 기관지폐포세척액내의 세포수는 내독소를 투여받은 제2군과 3군, 4군에서 모두 증가하였고 구성세포는 다형백혈구가 다수를 이루고 있었다. 폐조직검사에서 제2군의 폐포내로 다형백혈구를 위주로하는 염증세포의 침윤과 폐포벽의 비후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제3군 및 제4군에서도 비슷한 염증소견이 관찰되었으나 염증의 정도는 제2군에서 제일 심하였다. 결 론 : 기관내 sufactant 투여는 기관내 내독소 투여로 유발된 흰쥐의 급성폐손상에서 의미있는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급성호흡부전 환자에서 기관절개술 시술 후에 발생한 양측성 긴장성 기흉 1예 (A Case of Tracheostomy Induced Bilateral Tension Pneumothorax)

  • 윤현영;오숙의;박종규;신태림;박상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5호
    • /
    • pp.437-440
    • /
    • 2007
  • 기관절개술은 가장 오래된 수술기술 중의 하나로 상기도 폐쇄의 경감, 장기간의 기계호흡유지, 보조적 기계호흡시에 기도 저항의 감소 등의 목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기관절개술에 따른 초기합병증으로는 기흉, 피하조직기종, 절개부위 출혈, 종격동 기종, 흡인, 기관절개 관 전위 등을 들 수 있다. 수술에 따른 피하조직기종과 기흉은 0.9-5%에서 보고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기관절개술 직후에 피하조직기종과 양측 폐에서 발생한 긴장성 기흉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정간호과정생의 가정간호에서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Knowledge on Infection Control for Home Care)

  • 정인숙;정재심;신용애;강규숙;김명자;조복희;김금순;황선경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13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need for education on the infection control by examining the knowledge on infection control in home care of the home care trainees who had completed an infection control course. Using 64 items questionnaire. home care trainees of eight home care education institutions who took classes related with infection control. The level of knowledge evaluated subjectively was 4.24point (full mark: 5 point). The correct answer rates for handwashing and gloving. cleaning patients' rooms. preventing sharp injury, preventing exposure to potential infectious agents, home care bag technique were 84.5% 86.4% 70.7% 65.3% 76.2% representatively. For the knowledge on the infection control principles to prevent catheter related infection, indwelling catheter related infection, tracheal tube related pneumonia. L-tube related infection, oxygen therapy related infection. and wound infection were 62.8% 27.8% 39.1% 87.8% 76.5% 80.5% representatively. The correct answer rates varied depending upon the educational institutes (p< = .0001), educational levels (p= .001), workplaces (p<.0001), and the experience of infection control education (p= .001). Considering these results. a standardized curriculum must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fter analyzing the existing infection control curricula of the home care education institutes. and guide books for infection control in home care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In addition. continuous infection control education be provided to the home care nurses through reeducation so they can acquire new knowledge needed for carrying out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effectively.

  • PDF

윤상연골 협착에 의한 기관 Cannula 발거곤란증의 치험 1례 (A Case of Decannulation Difficulty Due to Cricoid Stenosis)

  • 송기준;김흥곤;이형석;추광철;김선곤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2-12
    • /
    • 1982
  • 기관절개술은 1649년 Fienus가 처음으로 호흡곤란 환자에게 시술하고 Tracheotomy라 명명한 이래 기도확보, 기관 및 기관지로 부터 분비물 제거 및 산소공급을 목적으로 이용되어 많은 생명을 구하고 있다. 그러나 기관절개술후 성문하부의 협착, 기관연화, 기관절개공주위의 육아조직, 기관점막의 부종, 정신적인 의존 및 제 1기관륜 상부의 절개등으로 인한기관 Cannula 발거곤란증이 수반되기도 한다. 저자들은 1980년 4월 산업재해로 인한 두개내혈종 및 다발성늑골골절등으로 진단되어 타종합병원에서 개두술과 기관절개술을 받은 21세 남자환자에서 기관 Cannula 발거곤란증을 경험하였기에 중간보고하는 바이다. 1981년 11월 본원 이비인후과에 전원시 간접후두경 검사상 성대 및 가성대에 심한 부종이 있었으며 성대는 부정중위로 고정되어 있었고 기관지경검사상 성문하부에 협착이 인지되어 Jackson 식도 Bougie를 이용하여 3차에 걸쳐 Bougination으로 기관확장을 시도하였으나 효과가 없었다. 1981년 2월 협착부위의 기관륜과 윤상연골에 수직절개를 한 후 직경 1. 2cm의 Teflon tube를 협착부위에 삽입하고 9개월간 유치시킨 후 제거하고 Corking을 하여 현재 양호한 경과를 취하고 있다.

  • PDF

기관삽관후 발생한 기관식도루 -치험 1례- (Postintubation Tracheoesophageal Fistu1a)

  • 전상협;박서완;정성운;이행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235-238
    • /
    • 1996
  • 후천성 기관식도루는 드문 질환이 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병변이며 원인중에는 cuff가 있는 tube를 삽관하여 부적절한 관리하에 장기간 인공호흡기 치료를 한 환자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손상의 기전은 cutt에 의해 기관벽에 압력이 가해져서 허혈성 손상과 더불어 염증성 반응이 더해져 압박된 식도와 비정상적 교통이 생기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환자는 25세된 임산부로 중이염의 합병증으로 세균성 뇌막염이 발생하여 장기간의 인공호흡기 치료중 갑작스런 피하기종과 종격동기종이 발생하여 기관지 경과 CT를 이용해 기관식도루가 발생 했음을 확인후 본과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은 자동봉합기로 기관의 손상부위를 봉합하고 식도 부위는 vlcyl과 Prolene으로 내외층을 단순봉합하였으며 기관과 식도사이에 흉쇄유돌근 절편을 끼워 넣었다. 수술 후 10일째 식도조영술로 기관식도룬가 완전복구되고 식도기능이 정상임을 확인하였으며 퇴원 후 추적조사결과 환자는 별 문제없이 잘 지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