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

검색결과 2,320건 처리시간 0.029초

낙동강 유역에서 하천 TP 농도의 공간적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유역특성 (Major Watershed Characteristics Influencing Spatial Variability of Stream TP Concentration in the Nakdong River Basin)

  • 서지유;원정은;최정현;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4-216
    • /
    • 2021
  •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water quality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customized management strategy for contaminated aquatic ecosystems. In this study, the spatial diversity of the 5-year (2015 - 2019) average total phosphorus (TP) concentration observed in 40 Total Maximum Daily Loads unit-basins in the Nakdong River watershed was analyzed using 50 predictive variables of watershed characteristics, climate characteristics,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soil characteristics. Cross-correlation analysis, a two-stage exhaustive search approach, and Bayesian inference were applied to identify predictors that best matched the time-averaged TP. The predictors that were finally identified included watershed altitude, precipitation in fall, precipitation in winter, residential area, public facilities area, paddy field, soil available phosphate, soil magnesium, soil available silicic acid, and soil potassium. Among them, it was foun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the spatial difference of TP were watershed altitude in watershed characteristics, public facilities area in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soil available silicic acid in soil characteristics. This means that artificial factor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patial variability of TP.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statistical modeling approach can be applied to the identification of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variability of the temporal average state of various water quality parameters.

댐-호소의 수질개선을 위한 관리 하천 선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elected by management streams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dam-reservoir)

  • 최용훈;이관재;박상준;정연지;임경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5-265
    • /
    • 2023
  • 유역모형을 통해 우심하천을 제시하는 방법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배출부하량 자료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오염원별/오염물질별 수질 관리가 요구되는 하천을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우심하천을 선정하였다. 적용 유역은 한강 수계에서 가장 복합한 댐 유역인 충주댐 유역으로 결정하였다. 충주댐 유역의 소유역별 배출부하량을 활용해 하천 관점의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하천 관점의 배출부하량 (Stream Total Loads, STL로 명명)은 임의의 하천으로 유입되는 모든 소유역의 배출부하량 합계를 면적 합계로 나누어 산정하는 방법이며, 임의의 하천 지점에서 상류의 모든 소유역이 포함된 단위면적당 배출부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댐 유역 말단의 STL은 유역 전체의 단위면적당 배출부하로 표현되며, 유역 전체의 STL보다 높은 소유역이 연결된 하천을 댐 호소 관점에서 볼 때 관리가 필요한 하천이라 할 수 있다. 댐 유역 말단의 STL은 점오염원-BOD 0.617 kg/km2/day, 점오염원-TP 0.038 kg/km2/day, 비점오염원-BOD 2.909 kg/km2/day, 비점오염원-TP 0.237 kg/km2/day로 산정되었다. 점오염원에 대한 BOD 관리하천은 창리천, 장평천, 지장천하류 등 15개 소유역, TP 관리하천은 주천강시점, 창리천, 주천강상류 등 20개 소유역으로 나타났다. 비점오염에 대한 BOD 관리하천은 주천강시점, 장평천, 제천천하류 등 13개 소유역, TP 관리하천은 주천강시점, 장평천, 주천강상류 등 16개 소유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배출부하에 대한 비점오염원의 배출부하비는 BOD 82.5%, TP 86.2%로 점오염원보다 높았다. 따라서 우선 관리 대상 하천은 TP 비점오염원, BOD 비점오염원, TP 점오염원, BOD 점오염원 순으로 계획될 필요가 있다. 향후 유역 모델링을 수행하고, STL 산정 결과와 비교하여 우심 하천 선정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 PDF

Increased interleukin-6 and TP53 levels in rotator cuff tendon repair 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 Jong Pil Yoon;Seung Gi Min;Jin-Hyun Choi;Hyun Joo Lee;Kyeong Hyeon Park;Sung Hyuk Yoon;Seong Soo Kim;Seok Won Chung;Hun-Min Kim;Dong Hyun Kim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4호
    • /
    • pp.296-303
    • /
    • 2022
  • Background: A previous study reported that hyperlipidemia increases the incidence of tears in the rotator cuff tendon and affects healing after repair. The aim of our study was to compare the gene and protein expression of torn rotator cuff tendons in patients both with and without hypercholesterolemia. Methods: Thirty patients who provided rotator cuff tendon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either a non-hypercholesterolemia group (n=19, serum total cholesterol [TC] <200 mg/dL) and hypercholesterolemia group (n=11, serum TC ≥240 mg/dL) based on their concentrations of serum TC. The expression of various genes of interest, including COL1A1, IGF1, IL-6, MMP2, MMP3, MMP9, MMP13, TNMD, and TP53, was analyzed by real-time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In addition,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proteins encoded by interleukin (IL)-6 and TP53 tha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expression levels in real-time qRT-PCR. Results: Except for IGF1, the gene expression levels of IL-6, MMP2, MMP9, and TP5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ypercholesterolemic group than in the non-hypercholesterolemia group. Western blot analysis confirmed significantly higher protein levels of IL-6 and TP53 in the hypercholesterolemic group (p<0.05). Conclusions: We observed an increase in inflammatory cytokine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levels in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with rotator cuff tears. Increased levels of IL-6 and TP53 were observed at both the mRNA and protein levels. We suggest that the overexpression of IL-6 and TP53 may be a specific feature in rotator cuff disease 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용담호 소유역별 인 및 부유물질 유입부하량 산정 (Phosphorus and Suspended Solid Loading in Lake Yongdam)

  • 권상용;김영길;이원호;김범철;허우명
    • 생태와환경
    • /
    • 제38권3호통권113호
    • /
    • pp.322-333
    • /
    • 2005
  • 2002년 4월부터 5개의 소유역으로부터 인 및 부유물질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총인 농도와 유량의 관계식은 주자천, 정자천, 진안천, 금강 및 구량천에서 각각 $TP\;=\;6.32Q^{0.30}$, $TP\;=\;8.58Q^{0.49}$, $TP\;=\;307.92Q^{-0.10}$, $TP\;=\;17.91Q^{0.47}$$TP\;=\;20.11Q^{0.53}$ 로 진안천을 제외하고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2003년의 경우 총인의 부하량은 주자천, 정자천, 진안천, 금강 및 구량천에서 각각 3,677, 11,430, 36,412 ,89,651 및 42,226 kgP ${\cdot}$ $yr^{-1}$로 계산되었으며, 전체 부하량 중 각 유입수가 차지하는 양은 금강 (48.9%), 구량천 (23.0), 진안천(19.9%), 정자천 (6.2%), 주자천 (2.0%) 순이였다. 또한 단위면적당 부하량은 주자천, 정자천, 진안천, 금강, 구량천에서 각각 0.3, 2.9, 13.6, 9.3 및 13.0 kgP ${\cdot}$ $km^{-2}$ ${\cdot}$ $yr^{-1}$로 진안천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용담호 유입수의 부유물질 농도와 유량의 관계식은 주자천, 정자천, 진안천, 금강및 구량천에서 각각 $SS\;=\;0.37Q^{0.40}$, $SS\;=\;0.80Q^{0.35}$, $SS\;=\;11.03Q^{0.18}$, $SS\;=\;0.88Q^{0.77}$$SS\;=\;1.16Q^{0.97}$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2003년의 경우 부유물질의 부하량은 주자천, 정자천, 진안천,금강 및 구량천에서 각각 673, 1,232, 4,232, 36, 902, 80, 202 ton ${\cdot}$ $yr^{-1}$로 구량천에서 가장 많았다 용담호 유입수의 총인 및 부유물질은 강우량이 많았던 시기에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유량과는 대부분 양의 상관을 보였다. 용담호의 경우 본 연구에서 산출한 경험식을 이용하여 유량만으로도 총인 및 부유물질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유입하천 중 주자천과 진안천의 경우 상관관계가 낮아 경향성은 파악할수 있으나 좀더 정확한 부하량 산정을 위해서는 차후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용담호의 경우 인부하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강우에 따른 유출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하며 강우에 의해 유입될 수 있는 오염원도 정확히 조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수의 N/P 비가 Botryococcus braunii 증식과 영양염류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P Ratio on the Biomass Productivity and Nutrient Removal in the Wastewater using Botryococcus braunii)

  • 최희정;이승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609-613
    • /
    • 2014
  • 본 연구는 미세조류 생장에 중요한 영향인자인 N/P ratio가 미세조류의 생장과 하수의 영양염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1-70까지의 다양한 N/P ratio를 준비하였으며, 미세조류는 Botryococcus braunii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하여 필요한 N/P ratio는 5-30이었다. TN의 제거율은 N/P ratio 1-30까지는 82%, 31-70까지는 73-78%의 제거율을 나타내어 TN 제거를 위한 N/P ratio는 1-30까지가 가장 좋았다. TP의 제거율 N/P ratio 1-20까지는 80% 이상의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지만, 20 이상부터는 급격하게 하락하여 50 이상에서는 22% 정도의 제거율로 변화가 없이 일정하였다. 따라서 바이오매스 생산량과 하수에서의 TN, TP의 제거를 위한 N/P ratio는 1-30이 가장 좋은 비율로 나타났다. TN, TP 제거율과 바이오매스의 생산량 상관관계는 TP 제거율과 바이오매스 생산량의 상관계수가($R^2$) 0.9126으로 상관관계가 매우 높았으나, TN 제거율과 바이오매스 생산량과의 상관관계는 찾을 수가 없었다. 이는 하수에서 TP의 함량이 TN의 함량보다 바이오매스 생산량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방목지와 초지의 지표수 및 지하수 수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Runoff and Groundwater Quality from a Pasture and Field)

  • 최중대;최예환;김기성
    • 물과 미래
    • /
    • 제28권3호
    • /
    • pp.175-186
    • /
    • 1995
  • 강원도의 대표적인 토지이용 방법인 방목지와 초지의 유출수 및 지하수의 수질 특성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강원대학교 농장과 목장에 시험유역을 설치하고 Flume과 지하수 관측정을 이용하여 1993년 8월부터 1994년 8월까지 수질을 관측하였다. 수질관측 항목은 NO3-N, TP 및 TKN 이었다. 조립질 토양인 방목지의 유출은 대부분 지하수를 통하여 배출되었으며 호우시만 지표면 유출이 발생하였고 유출량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유출수의 $NO_3$-NO 농도는 0.241~3.962mg/l로 비교적 안정되어 있었다. 평시 유출수의 TP와 TKN 농도는 안정되어 있었으나 호우시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지하수의 $NO_3$-N 농도는 관측정의 깊이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였으나 TP와 TKN 농도는 깊은 관측정에서 농도가 작았다. 평지에 조성되고 Sudan Grass로 잘 피복된 초지유출수의 수질은 유출량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였다. 초지 지하수의 $NO_3$-N 농도는 상류에서 하류로 흐를수록 2.2mg/l 정도 증가하였다. 상류부와 하류부의 TP와 TKN 농도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비도시 유역에서 수질오염물질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in Non-urban Area)

  • 전지홍;함종화;윤춘경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215-22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비도시 유역에서 수질오염물질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화옹간척지구의 상류 유역두 지점에서 1999견 강우시와 비강우시의 수질측정자료를 이용하여 오염물질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비강우시에는 오염물질간 뚜렷한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강우시에는 SS-TP, SS-COD, TP-COD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TN과 다른 오염물질사이에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오염물질간의회귀분석결과는 SS-TP, SS-COD사이에는 반 대수함수의 경향을 나타내고 유역특성에 영향을 받았으며, TP-COD는 선형함수의 경향을 나타내고 유역특성에 영향을 적게 받았다. 본 연구에서 발표한 수질오염물질 사이의 회귀식들은 유역의 특성에 영향을 받겠으나 화옹지구는 물론, 자료가 부족한 다른 비도시 유역에도 기본계획 단계에서는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왕불유행, 목통, 통초가 산후 생쥐의 유즙분비량과 유즙분비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landrii Herba, Akebia Quinata Decaisne, and Tetrapanax Papyriferus on Milk Secretion and Lactation Related Factors in Postpartum Mice)

  • 이가위;이은희;이창현;김홍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7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landrii Herba (MH), Akebia Quinata Decaisne (AQ), and Tetrapanax Papyriferus (TP) on milk secretion and aquaporin (AQP) expression in lactating mice. Methods: For the experiment, the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hich were orally administered MH (2,720 mg/kg), TP (400 mg/kg) and AQ (2,800 mg/kg) extracts respectively for 3 weeks from Day 1 after the birth,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 group), which was administered distilled water. A group consisted of six infantile mice per postpartum mouse. For comparison with the C group, non-pregnant SKH-1 mice were used as the virgin group. Results: 1. When it comes to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prolactin receptors in the mammary glands, the AQ and MH groups showed a strong immune response to the secretory epithelial cells constituting the mammary alveoli, while the TP group represented a weaker immune response. 2.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AQP in the mammary glands, AQP1 showed a strong immune response in the walls of capillaries and venules around the mammary alveoli, and AQP3 in the epithelial cells constituting the mammary alveoli, and AQP5 in some tissues between the mammary alveoli. AQP1 was expressed in the order of TP group>AQ group=C group>MH group, and AQP3 was MH group and AQ group>TP group=C group, and AQP5 was MH group>C group>AQ group and TP group. 3. In the Western blot, AQP1 was expressed in the order of TP group>AQ group>C group>MH group, and AQP3 was MH group>AQ group>C group>TP roup, and AQP5 was MH group>TP Group>C group>AQ group. All of AQP1, 3, 5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 group than in the Virgin group. Conclusions: The administration of Akebia Quinata Decaisne, Tetrapanax Papyriferus and Melandrii Herba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prolactin levels in postpartum mice and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prolactin receptor and AQPs in the mammary glands, suggesting that lactation might be enhanc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ammary glands.

Tropical Plume 에 대한 TOVS 추정 가강수량의 평가와 상호비교 (Evaluation and Intercomparisons of the Estimated TOVS Precipitable Waters for the Tropical Plume)

  • 정효상;신동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1-69
    • /
    • 1993
  • 열대 및 아열대 태평양상에서 TOVS(Tiros Operational Vertical Sounder) 가강수량의 추정을 위한 모형을 사용하여 열대 기상 중 하나인 TP(Tropical Plume) 또는 Flare-up현상의 수 증기장을 분석하였다. 전가강수량 모형(71.1% 의 변량과 0.62 g $cm^{-2}$의 표준편차)와 중 대류고도 모형(71.7의 변량과 0.17 g $cm^{-2}$의 표준편차)을 선택하여 Tropical Plume 현상 에 대해 TOVS 가강수량, ECMWF(European Centre of Medium Range Weater Forecasts) 가강 수량, SMMR(Scanning Multichannel Microwave Radiometer) 가강수량과 OLR(Outgoing Longwave Radiation)을 상호비교하고 평가하였다. TOVS가강수량 모형으로는 Tropical Plume이 단지 초기단계인 상층운과 얇은 중층운으로 이루어졌을 때는 이 현상을 식별하기 어려웠으나 발 달단계인 상층운과 짙은 중층운이 존재할 때는 이현상이 뚜렷하였다. ECMWF 가강수량은 종관 기상현상은 잘 설명하였으나 Tropical Plume은 뚜렷하지 않았으며, 열대 수렴대와 남태평양 수렴 대에서는 대체로 TOVS 가강량보다 과습하였다. SMMR 가강수량도 TOVS 가강수량과 비슷한 현상을 보였으나 특히, OLR은 Tropical Plume 현상이 가장 뚜렷이 나타났다.

Characteristics of TN and TP in Runoff from Reclaimed Paddy Field of Fine Sandy Loam

  • Lee, Kyung-Do;Hong, Suk-Young;Kim, Yi-Hyun;Na, Sang-Il;Lee, Kyeong-B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17-425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unoff from rice paddy located on reclaimed fine sandy loam soil to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olicies to protect water quality of estuaries. Total N (TN), Total P (TP) concentrations and runoff loads at outlet were monitored from 2006 to 2008. Soil phosphate adsorptivity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ypical paddy soil in watersheds. TP concentration of the paddy water and TP runoff loads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of typical paddy field in watershed because phosphate adsoptivity in reclaimed paddy field of fine sandy loam appeared to be a third of those of typical paddy soils by relatively low soil OM and high sand content of the reclaimed soil. Thus, nutrient runoff, particularly phosphate from the reclaimed paddy field needs to be managed more thoroughly to protect estuarine water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