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urist type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6초

관광정보안내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The Role of Tourist Information Centers and Tourism Information Systems)

  • 한상겸;전창석
    • 정보학연구
    • /
    • 제5권1호
    • /
    • pp.143-156
    • /
    • 200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관광정보안내체계의 전반적 현황을 살펴보고 관광정보의 전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관광안내 소의 문제점을 안내요원의 인적 서비스 차원과 제공되는 정보 차원에서 검토하면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어촌 어메니티와 어촌경제 활성화 - 전북 고군산군도를 중심으로 - (Blue Amenity and Economic Revitalization of Fishing Villages : Focusing on Islands of Go-Gunsan)

  • 김수관;정병곤;김민영
    • 수산경영론집
    • /
    • 제39권2호
    • /
    • pp.41-60
    • /
    • 2008
  • This study is basically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vitalizing the fishing village economy by targeting on trip type, propensity, and awareness of visitors who visited Gogunsan in JeonBuk by applying Blue Amenity. As the result of survey, it showed that visitors in Gosunsan islands generally were satisfied with trip, and they had considerably higher intention of revisit. However, it showed that the improvement and publicity of various travel services including resources and facilities were demanded. In particular, it should pay attention to requirements depending on age and selection of main visitors with reference to revisit, and as the result, the factors having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are traffic, and natural scenery, so it is considered that these factors must be maintained to increase the rate of revisit with full of concentration. Besides, it is confirmed that Visitors are unfamiliar with Blue Amenity applying fishing village's own historical cultural resources with reference to preferring islands trip, and they were much concerned about the establishment of tentatively named "regional(urban - fishing village) center" to revitalize the fishing village economy. Moreover it could grasp the tourist industry operated jointly by fishing villages, the pride of town to characterize, advantage in promoting the tourist industry as compared with other regions, and difficulties or recommendations in promoting the tourist industry. And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Blue Amenity resources in this region and the measures of improving life environment must be performed in future.

  • PDF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여행지 맛집 추천 앱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a Restaurant Recommendation App for Travel Destinations Using Public Data)

  • 이종민;정성화;최민진;박영미;박민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2-394
    • /
    • 2021
  • 본 연구논문은 여행지를 여행하는 관광객들을 위한 자동 맛집 추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논문이다. 국내 어느 여행지든 어플을 실행하면 음식의 종류와 상관없이 한식, 중식, 양식 등 원하는 서비스를 추천하여 관광지에서 맛집 랭킹 들이 쏟아지게 되는 어플이다. 맛집 추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위생상태, 가격, 최근 코로나사태로 인한 방역수칙 준수 등 리뷰와 별점을 통해 관광지에서 손쉽게 맛집을 찾을 수 있도록 관련 정보 DB를 수집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페이스북 포스트의 여행지 사진유형과 사용자의 공적자기의식(public self-consciousness)에 따른 광고효과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picture types of the sights and Facebook user's public self-consciousness)

  • 박은아;우연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33-139
    • /
    • 2019
  • 본 연구는 Facebook에 게시된 여행지 사진 중 어떤 유형의 사진이 더 여행지에 호감을 느끼도록 만들고 떠나고 싶은 의향을 불러일으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때 사용자의 개인차 특성인 공적 자기의식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어 여행지 사진유형(여행자 존재 여부)과 공적 자기의식 정도(고/저)에 따라 여행지 태도와 여행지 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여행자의 모습이 여행지 풍경 속에 존재하는 경우, 여행지에 대한 호감이 인물이 없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여행자 모습이 존재하는 경우에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여행지에 대한 호감도, 방문의도 및 추천의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적 자기의식이 낮은 집단에서는 이와 같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 게시되는 여행지 사진에서 인물 존재 여부와 사용자의 공적 자기의식 수준이 여행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증했다는 데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여행지 홍보에 있어서 사진제시 방식과 사용자의 심리적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가치를 지닌다.

문화·관광부문 타당성조사를 위한 중력모형의 개선방안 (Improving the Gravity Model for Feasibility Studies in the Cultural and Tourism Sector)

  • 이혜진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5권1호
    • /
    • pp.319-334
    • /
    • 202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ravity model commonly used for demand forecasting upon the implementation of new tourist facilities and analyze the main causation of forecasting errors to provide a suggestion on how to improve.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first measured the errors in predicted values derived from past feasibility study reports by examining the cases of five national science museums. Next, to improve the predictive accuracy of the gravity model, the study identified the five most likely issues contributing to errors, applied modified values, and recalculated. The potential for improvement was then evaluated through a comparison of forecasting errors. Findings - First, among the five science museums with very similar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clear indication of a de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to existing faciliti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facilities. Second, representing the attractiveness of tourist facilities using the facility size ratio can lead to significant prediction errors. Third, the impact of distance on demand can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and the conditions of the area where the facility is located. Fourth, if the distance value is below 1,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range of that value to avoid having an excessively small value. Fifth, depending on the type of population data used, prediction results may vary, so it is necessary to use population data suitable for each latent market instead of simply using overall population data. Finally, if a clear trend is anticipated in a certain type of tourist behavior, incorporating this trend into the predicted values could help reduce prediction error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identified the key factors causing prediction errors by using national science museums as cases and proposed directions for improvement. Additionally, suggestions were made to apply the model more flexibly to enhance predictive accuracy. Since reducing prediction errors contributes to increased reliability of analytical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olicy decisions handled with more accurate information when running feasibility analyses.

관광목적지로서 인사동 문화지구의 장소마케팅 이미지가 외래관광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the Place Marketing Image in the Insadong Cultural District as a Tourism Destination on the Foreign Touris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 김시중;은연정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13-626
    • /
    • 2009
  • 본 연구는 외래관광객 방문유형과 국적에 따른 관광목적지로서 인사동 문화지구의 장소마케팅 이미지가 외래관광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함에 목적이 있었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분석결과 장소마케팅의 유형은 '정체성', '매력물 삶의 질', '문화관광 경제', '도시재생'의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관광객 유형별 장소마케팅 이미지 차이 분석결과 '매력물 삶의 질', '문화관광 경제' 및 '도시재생' 요인이, 관광객의 국적에 따른 장소마케팅 이미지는 '매력물 삶의 질'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소마케팅 이미지가 관광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문화관광 경제 요인', '도시재생 요인' 그리고 '정체성 요인'이 그리고 관광객의 재방문 의도에는 '매력물 삶의 질 요인', '문화관광 경제 요인' 및 '도시재생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행동기에 따른 해외여행자 집단별 쇼핑행동 비교 (Comparative Study on Shopping Behavior of Korean Overseas Tourist Groups Based on Travel Motivation)

  • 전양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5-3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여행 동기에 따라 여행자들의 집단을 나누고 각 집단별로 해외여행시 구매하는 상품이나 이용 매장의 특성을 비교하는데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여행동기와 구매상품의 종류와 속성, 쇼핑장소의 유형과 속성에 대한 주요 문항들을 추출하였다. 20-50대 해외여행 경험자 4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K-평균 군집분석을 통해, 적극적 집단, 소극적 집단, 자연 쾌락추구 집단, 가족 발견추구 집단의 4개의 군집이 확인되었다. 적극적인 여행자들은 해외에서 구매하는 모든 상품종류에 대해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다른 세 집단보다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특히 소극적인 여행자나 자연 쾌락추구 여행자들보다 패션 사치품이나 기념품 구매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품 속성에서 디자인과 명성, 실용성, 가격과 품질 등의 요인들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구매 장소 측면에서는 적극적 집단은 지역 시장, 패션매장, 선물매장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소극적인 여행자들은 패션매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장소 속성의 중요도는 편의성, 디스플레이, 매장위치 및 판촉활동 순으로 중요시되었으며 적극적인 여행자들은 다른 세 집단 여행자들보다 매장 편의성에 대한 관심이 유의하게 높았다. 가족 발견중심 여행자와 자연 쾌락추구 여행자 집단은 쇼핑행동이 비슷하거나 일부 요인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소극적 여행자들은 나머지 세 집단과 구별되게 모든 쇼핑행동에 대한 관심이 낮았다. 여행동기에 근거한 시장세분화는 서로 다른 쇼핑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변별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개인의 배경적 특성에 따른 어촌체험휴양마을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Preference for Fishing Village Experience Recreation Village According to Individual's Background Characteristics)

  • 최규철;김정태;이서구;강동선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2호
    • /
    • pp.33-4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influence of personal backgrounds on the preference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recreation villages. As the analysis metho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Dependent variables are experience recreation villages (rural and fish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9 groups of people: gender, age, family type, marital status, presence of children, principal companion, fishing village image, visit experience villages, recognition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recreation vill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ourist's gender, age, family type, marital status, presence of children, principal companion, fishing village image, visit experience villages, recognition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recreation village influence the preference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recreation village. By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it was found that male prefer fishing village experience recreation villages 1.597 times as much as female, and those with a positive image about fishing villages prefer fishing village experience recreation villages as much as 2.644 times than those with negative imag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ose who visited the fishing village experience and recreation village prefer the fishing village experience village about six times more than those who have never visited.

자연유산 경쟁구조 분석과 관리적 시사점 -대학생 인식을 중심으로- (Managerial Implications for Competitiveness Enhancement based on Perceptual Analysis of National Natural Heritages)

  • 조경신;엄서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78-93
    • /
    • 2013
  • 본 연구는 자연유산의 미래의 수요자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천연기념물, 명승으로 대별되는 자연유산과 국 도립공원, 생태 경관보전지역과 같은 유사 개념을 얼마만큼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보존 중요성 등 태도차원에서 각 개념 간의 경쟁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보존의 중요도는 '천연기념물>생태 경관보전지역>국 도립공원>명승'의 순으로 나타나 천연기념물보다는 명승을 상대적으로 덜 보존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순천만, 설악산, 창녕 우포늪, 홍도, 독도, 문경새재, 한라산, 성산일출봉, 영월 고씨굴,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포함 관광명소 10개소를 대상으로 자연유산 유형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대응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응답자들은 자연유산에 대한 개념을 바르게 인식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인식제고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다차원 척도법을 활용하여 자연유산 유사개념 경쟁구조(유사성)를 파악한 결과, 포지셔닝 맵에서 천연기념물과 명승이 비교적 멀리 떨어져 나타난 것을 볼 때 각기 차별화되는 방문자 관리가 요구된다. 포지셔닝 맵 상에 나타난 자연유산 유사개념 경쟁구조와 각 개념에 대한 태도를 구성하는 속성결합의 결과를 살펴보면, 자연유산을 비롯한 네 개념 모두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보아 향후 차별화된 홍보전략이 필요하다. 응답자들도 자연유산을 활용보다는 보존의 대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다양한 관리주체 때문에 천차만별인 관리 수준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서귀포시 특급관광호텔 공용공간에서 나타나는 평면구성의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 Composition shown in the Public Space of the Luxury Tourist Hotels on Seogwipo-si)

  • 강봉유;박철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01-510
    • /
    • 2016
  • 호텔은 단순한 건축물이라는 의미를 벗어나 한 시대의 문화적 예술적 정보를 담은 건축물이며, 또한 호텔이 위치한 지역적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장소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에 따라 그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국제적인 관광도시인 제주는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다기능적이고 체계적인 호텔건축계획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서귀포시의 특급관광호텔의 현황을 파악하고,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공용공간의 구성형식 및 공간구성 유형 등 평면구성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호텔 건축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귀포시에 위치한 특급관광호텔 9개소이며, 이용객이 집중되는 공용공간을 연구범위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참고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호텔건축에 대해 고찰하고 조사대상 호텔에 대한 현장방문을 시행하여 일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건축계획적 요소들과 공간구성 유형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용객이 집중되는 공용공간을 연구범위로 한정하여, 건축계획적인 측면에서 각 공간의 수직적 수평적 결합방식, 각 공간으로 진입하는 동선형태 등과 관련된 공간구성형식과 공간구성유형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