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ur Experience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9초

로컬푸드 체험관광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관계에서 소비자 인식의 매개효과 (Mediated Effects of Consumer Recognition in Relationship of Local Food Tour Experience and Intention of Action)

  • 김희동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1-96
    • /
    • 2014
  •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consumer recognition in relationship of local food tour experience and intention of action in the revitalization of local food. Questionnaire survey target was women in 30s and 40s. The local food tour experience is independent variable, intention of action is dependent variable, and consumer recognition is analyzed as mediated variable. As a result, consumer recognition which is mediating variable has two subordinated variables. One is direct affect and the other is indirect affect. Between local food tour experience and intention of action, there was partial mediating effect. Thus, through tour experience, consumer can have positive recognition of freshness, safety, health, taste, price, job creation and relationship. That affects to the intention of 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learn success case for marketing revitalization, and develop and operate experiencing tour education program to manage customer continuously.

안동지역의 향토음식을 활용한 관광체험 프로그램 개발 (Tour Experience Program Development a Utilizable Cooking Peculiar of an Andong Locality)

  • 이선호;박영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7-168
    • /
    • 2002
  • This research made an alternative plan about tour experience program development utilizable cooking peculiar of an Andong locality. First currently Andong region have an Andong bass fishing great meeting, an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an Andong apple expo, an Andong Korean beef miss choice meeting, an Andong Hahoe folk village dabbling in water festival, but Andong didn't have about food festival. This region will mask a planning about food festival after this. Second, an Andong have a rich tradi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For example, there are Bongieong temple and Dosan private schoo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ur experience program development can join of food and culture. Third, in term original locality of mask dance, we can tour experience development program out of the traditional food festival and mask dance performance. Fourth, Andong have a traditional food (a bluff memorial service rice, Andong fermenting rice, Gunjin noodle) and a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sueding, chirye artists). It is necessary the development of board and loading experience program.

  • PDF

농촌지역의 팸투어 체험이 브랜드자산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 Tour Experience on Brand Equity and Revisit Intention in Rural Area)

  • 권기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191-202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팸투어의 체험활동이 브랜드자산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하에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의 '팸투어의 체험(감성, 관계, 감각, 인지, 행동)은 브랜드자산(인지도, 이미지, 지각된 품질, 충성도, 독점적 자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가설 2의 '브랜드 자산은 재방문의도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고 설정하였다. 검증은 수도권 대학생 MZ세대들로부터 362개의 설문을 회수·통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가설 1-1에서 농촌지역의 팸투어 체험(감성, 관계, 행동)은 인지도에 정(+)의 영향을, 가설 1-2에서 팸투어 체험(관계, 감각, 인지)은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가설 1-3에서 팸투어 체험(감성, 관계, 감각, 인지, 행동)은 지각된 품질에 정(+)의 영향을, 가설 1-4에서 팸투어 체험(감각, 행동)은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가설 1-5에서 팸투어 체험(감성, 관계, 감각, 인지)은 독점적 자산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가설 2의 농촌지역 팸투어의 브랜드자산(인지도, 품질, 충성, 독점적 자산)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관계로 확인되었다. 농촌의 팸투어 체험은 다양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해야 비로소 성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G투어 참여 골프 선수들의 재미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fun experience of G-Golf Tour players)

  • 한지훈;이철원;서광봉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4호
    • /
    • pp.343-350
    • /
    • 2016
  • 본 연구는 G투어 참여 골프 선수들의 재미경험에 관하여 현상학적 분석 방법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6년 현재 G투어에 참여하는 남, 여 프로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남자프로 3명, 여자프로 3명으로 총 6명을 눈덩이 표집법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 하였으며, 심층 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얻은 내용을 1차적으로 코딩 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였으며, 2차적으로 주요 주제들이나 현상들을 중심으로 영역을 분류하여 범주화 작업을 진행 하여 의미 있는 해석과 연구 결과를 도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진실성과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 질적 연구 전문가 교수 1명과 박사 2명을 통한 동료 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G투어의 참여 동기, G투어의 인식변화, G투어의 중독, 그리고 G투어의 재미경험으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G투어의 재미경험에 대한 하위요인으로 미디어 노출, 대인관계와 실력향상이 나타났다.

수학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 신장을 위한 매쓰투어(Math-Tour)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Math-Tour to improve Mathematics Study Attitude)

  • 허선;오홍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465-48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수학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제주목 관아에서 학생들이 직접 걸어 다니면서 체험할 수 있는 제주목 관아 매쓰투어(Math-Tour)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에는 제주목 관아에서 볼 수 있는 여러 자연물과 인공물을 이용한 수학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후 제주시 A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험하도록 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매쓰투어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수학 학습 태도 검사와 인터뷰를 실시하고, 소감문을 작성하도록 하여 이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수학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인 제주목 관아 매쓰투어가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 신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수학 현장학습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를 개선하는데 유의미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A Study of Comparison between Cruise Tours in China and U.S.A through Big Data Analytics

  • Shuting, Tao;Kim, Hak-Seon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1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ruise tours between China and U.S.A. through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big data by collecting online data with SCTM (Smart crawling & Text mining), a data collecting and processing program. The data analysis period was from January $1^{st}$, 2015 to August $15^{th}$, 2017, meanwhile, "cruise tour, china", "cruise tour, usa" were conducted to be as keywords to collet related data and packaged Netdraw along with UCINET 6.0 were utilized for data analysis. Currently, Chinese cruisers concern on the cruising destinations while American cruisers pay more attention on the onboard experience and cruising expenditure. After performing CONCOR (convergence of iterated correlation) analysis, for Chinese cruise tour, there were three clusters created with domestic destinations, international destinations and hospitality tourism. As for American cruise tour, four groups have been segmented with cruise expenditure, onboard experience, cruise brand and destinations. Since the cruise tourism of America was greatly developed, this study also was supposed to provide significant and social network-oriented suggestions for Chinese cruise tourism.

20-30대 해외여행자의 여행활동과 쇼핑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vel Activity and Shopping Behavior of 20's-30's Korean Overseas Travelers)

  • 전양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5호
    • /
    • pp.529-539
    • /
    • 2016
  • This study confirmed shopping behavior of Korean young overseas tourists and its effect on travel evaluation. I first identified core factors of travel activity preference, travel shopping propensity, and shopping products. The effect of shopping product satisfaction on tour satisfaction and post-tour intention was then investigated. Based on travel activities, tourists were group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n online survey method was performed to obtain data of 20's-30's Korean unmarried people, while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hi-square 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cluster analysis were appli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x travel activities (city life, art/shopping, cultural experience, entertainment, field experience, and friendship), three shopping propensity (novelty/uniqueness, utility, and prestige), and four product groups (fashion goods, household goods, crafts, and foods) were found by factor analyses. Second, travel activity tended to influence shopping propensity, which then influenced shopping products preference. All factors of travel activity seemed to affect the three travel shopping propensities. Third, shopping satisfaction was shown to affect tour satisfaction, and posttour behavior. Finally, four tourist groups (active, social, pleasure, and passive) differed in terms of preferred tour activities, shopping propensity, and tour behavior. Active tourists rated the highest scores and passive ones rated the lowest for most evaluations.

도서관 교육방법으로서 도서관 견학의 교육학적 토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edagogical Foundations on the 'Library Tour' As a Library Use Education Method)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91-312
    • /
    • 2012
  • 이 연구는 도서관 견학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육적 특성들을 추출하고 이를 교육학적 근거나 이론들에 기반하여 도서관 견학을 재해석함으로써 도서관 견학의 교육학적 토대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도서관 견학의 교육적 특성으로 경험, 매체, 설명, 해석, 상호작용 등이 도출되었으며 이와 같은 교육적 특성들과 관련이 깊은 교육 이론이나 근거를 중심으로 교육학적 토대를 모색하였다. 도서관 교육방법으로서 도서관 견학의 교육학적 토대로 Dewey의 경험이론, Dale과 Dwyer등의 매체이론, Bruner의 설명하기와 해석하기 그리고 마음이해하기에 대한 앎의 방식이론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교육사서로 하여금 교육학적 토대위에서 효과적인 면대면 및 가상공간에서의 도서관 견학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개발하여 실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nalysis of Social Network Service Data to Estimate Tourist Interests in Green Tour Activities

  • Rah, HyungChul;Park, Sungho;Kim, Miok;Cho, Youngbeen;Yoo, Kwan-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4권3호
    • /
    • pp.27-31
    • /
    • 2018
  • Social network service (SNS) data related to green tourism were used to estimate preferred tour sites and users' interests. Keywords related with green tour activities were employed to search the SNS data. SNS data were collected from Korean blogs such as Naver and Daum from June $1^{st}$ to August $31^{st}$ between 2015 and 2017 using text-mining solution. During the study period, seven hundred and five posts were analyzed. Associated words that frequently co-occurred with keyword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categori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associated words. Associated words included swimming pools and camping sites (location); experience and swimming pools (attribute); and water play and culture (culture/leisure). Our data suggest that SNS users with experience of green tourism in Korea exhibited interest in green tourism with swimming pools, camping sites, experience, water play and/or culture rather than particular popular site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preferred facilities such as swimming pools should be provided at green tourism sites to meet the users' needs and to facilitate green tourism.

사용자 경험 강화를 위한 위치 기반 캠퍼스 투어 증강현실 게임 (A Location-Based Campus Tour Augmented Reality Game for Enriching User Experience)

  • 최재욱;박경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729-735
    • /
    • 2020
  • 대학 캠퍼스 투어는 방문객 또는 예비 학생들에게 학교 환경, 시설 및 역사를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최근 스마트 폰의 대중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대학에서 캠퍼스 투어를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증강 현실 기술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기존의 캠퍼스 투어 증강 현실 앱은 대부분 설명 중심의 캠퍼스 투어 가이드를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시스템 구현을 캠퍼스의 주요 건물이나 기호에 관한 단순 정보 제공하는 것에 그친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을 통해 캠퍼스를 돌아다니며 자체 가이드 투어를 하고 신입생이나 방문객들이 보다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캠퍼스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위치 기반 모바일 증강 현실 보물찾기 게임의 설계 및 개발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