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henolics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32초

쌀귀리 가루의 입도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Effect of particle size of naked oat flours on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y)

  • 전현일;유선희;송근섭;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65-97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쌀귀리의 식품산업 이용률을 높이고자 쌀귀리를 입도별로 제조하여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쌀귀리의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이 각각 15.7%, 10.0% 및 1.8%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이들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비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cystine(58.3 mg%), ${\beta}$-aminoisobutyric acid(53.8 mg%) 등, 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phenylalanine(8.6 mg%)과 histidine (12.2 mg%)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함량은 감소하였다. 총 전분, 아밀로스, 손상전분, 총 식이섬유, ${\beta}$-glucan 및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56.4%, 21.4%, 11.7%, 11.0%, 4.7% 및 2,555.3 mg%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총 전분, 아밀로스 및 손상전분의 함량은 감소한 반면에 총 식이섬유와 ${\beta}$-glucan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색도는 L 값이 75.3, a 값이 0.3 및 b 값이 13.1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L 값은 증가하였으나 a와 b 값은 감소하였다. 호화특성은 최고점도가 263.8 RVU, 최저점도가 155.6 RVU 및 최종점도가 399.3 RVU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최고점도와 최종점도는 증가하였다. TPC, TFC 및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assay, ABTS radical cation assay 및 reducing power)은 각각 $237.8{\mu}g/g$, $90.9{\mu}g/g$, 57.3%, 53.4% 및 0.23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은 감소하였다. 한편 TPC와 TFC에 관한 각 항산화 활성의 결정계수(correlation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값이 각각 0.87 이상과 0.81 이상으로 나타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은 상관성을 보였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고추 유묘의 탄수화물 합성과 항산화물질 변화 (Changes in Carbohydrate, Phenolics and Polyamines of Pepper Plants under Elevated-UV-B Radiation)

  • 성좌경;이수연;박재홍;이상민;이용환;최두회;김태완;송범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8-43
    • /
    • 2008
  • 고추 유묘기에 탄수화물 합성, 페놀화합물 및 폴리아민에 대한 자외선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고추 유묘는 $1.2W\;m^{-2}$ 강도의 자외선 하에서 0부터 9시간까지 조사되었다. 수용성 당과 전분은 자외선 처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수용성 당은 처리 전 ($6.7mg\;g^{-1}\;fw$)에서 자외선 9시간 처리 후에 $5.2mg\;g^{-1}\;fw$으로 약 22% 감소하였다. 전분은 자외선 처리 후 3시간 만에 30%까지 급격히 감소한 후 처리기간에 상관없이 변화가 없었다. 자외선 흡수물질에 대한 흡광도 분석을 한 결과, 처리 3시간 이후에 최고 흡광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페놀화합물과 안토시아닌을 조사하였다. 흡광도 분석결과와는 다르게 안토시아닌 함량은 자외선 처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자외선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주요 단순 페놀산 함량은 크게 영향을 받았는데, cinnamic acid, ferulic acid, sinapic acid 및 syringic acid는 자외선 처리 후 2~8배 증가하였다. 식물체내 주요 항산화물질의 하나인 폴리아민도 자외선에 의해 70~15%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자외선은 식물체의 탄수화물의 합성을 억제하며, 식물체는 스트레스에 저항하기 위하여 방어물질인 페놀화합물 및 폴리아민의 합성을 촉진하였다.

기능성물질 첨가시 느타리버섯 생육 및 생리활성물질의 변화 (Effect of functional material addition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activity materials in Pleurotus ostreatus)

  • 박재성;최재선;최성열;송인규;윤태;이준수;구창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91-97
    • /
    • 2009
  • 느타리버섯의 배지에 철, 고춧가루, 은행잎을 첨가하였을 때 버섯의 생육과 생리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량은 춘추 품종에 철 34.9g을 첨가하였을 때 144g으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 품종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34.9g 및 174.5g 처리시 17.4g 처리에 비해 수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자실체와 배지에 포함된 무기물의 함량은 종류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배지중 철의 함량이 증가하여도 자실체내의 철의 함량은 0.31~0.43mg/kg으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배지에 포함된 고춧가루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자실체에 포함된 캡사이신의 함량도 많아졌으며, 수한품종에서 6mg/100g으로 가장 많이 전이되었다. 철이나 고추를 첨가한 배지에서 재배한 버섯에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항산화력과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환원력과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 금속이온 제거능과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간에는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향이었다. Macrophage 활성화능은 수한 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 PDF

위생적인 장기 보존을 위한 감마선 조사가 곽향(Teucrium veronicoides)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for Hygienic Long-Term Storage on Biological Activity of Teucrium veronicoides)

  • 박혜진;박기태;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81-591
    • /
    • 2017
  • 약용식물의 장기 저장을 위한 위생처리법으로 감마선 조사처리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국산 약용식물인 곽향에 감마선 조사처리 후 항산화 효능 및 생리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먼저 곽향의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른 조사 판별 마커 확인을 위해 광자극발광법(PSL), 열발광분석법(TL), 전자스핀공명법(ESR)을 이용하여 조사처리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비조사구 0 kGy와 조사구 5 kGy, 10 kGy에서 조사선량에 따라 명확하게 패턴의 차이를 나타내어 음성 시료와 양성 시료로 판단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약용식물인 곽향의 위생처리 및 장기 보존을 위한 감마선 조사처리 시 PSL, TL, ESR 시험 검지법을 적용하여 감마선 조사 여부 판별이 가능한 것을 입증하였다.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른 유용성분의 추출 수율 비교를 위해 물과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비조사구 0 kGy와 조사구 10 kGy의 total phenolics 함량을 비교한 결과,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라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라 추출 수율이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tal phenolics 추출 수율이 가장 우수한 열수 추출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total phenolics 농도를 각각 $50{\sim}200{\mu}g/mL$로 조절하여 항산화 및 생리활성 변화를 비교 검증하였다. 수용성 물질의 항산화 활성 확인을 위한 DPPH 라디칼 저해 효과와 ABTS 라디칼 저해 효과를 비교한 결과, 열수와 50% 에탄올 추출물 모두 감마선 조사처리에 의한 효능 변화 폭이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 활성 확인을 위한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효과에서도 감마선 조사처리가 효능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TBARS 저해 효과에는 감마선 조사처리에 의해 열수 및 50% 에탄올 추출물 모두 유의적으로 곽향의 TBARS 저해 효과를 증대시키는 양상을 나타내었지만 그 변화 폭은 크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감마선 조사처리가 곽향의 항산화 효능 변화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곽향이 지닌 고유의 항산화력을 일부 보전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른 xanthine oxidase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항산화력과 유사하게 효소 억제 활성에 유의적인 변화를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른 ${\alpha}-amylase$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곽향 열수 추출물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10 kGy 조사처리 시 63.57%의 저해율을 보여주었으며, 비조사구 0 kGy에 비해 저해율이 23.26%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어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라 ${\alpha}-amylase$ 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곽향의 위생처리를 위한 10 kGy의 감마선 조사처리 시 곽향 열수 및 5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유의적인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감마선 조사처리가 곽향이 지닌 고유한 기능성을 보전하거나 소폭 증대시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가 감마선 조사처리 기술의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Lactobacillus brevis 발효가 참꽃마리(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antioxidant, whitening, and anti-wrinkle improvement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by Lactobacillus brevis)

  • 정다은;김지혜;김병오;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3-18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참꽃마리(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전초를 이용하여 참꽃마리와 L. brevis 로 발효한 참꽃마리를 각각 60% ethanol로 추출하여 항산화 및 미백과 피부주름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 저해 효과를 비교해보았다. 최적의 추출조건인 참꽃마리 60% ethanol과 발효 참꽃마리 60% ethanol의 total phenolics compounds 함량은 각각 18.6 mg/g, 18.2 mg/g으로 TPC 함량의 용출량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PLC를 이용하여 L. brevis 발효를 통한 발효 참꽃마리 추출물의 유용성분 변화를 관찰한 결과, 발효 과정 중 bioconversion에 의해 추출물 간의 phenolics profile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발효 참꽃마리 추출물에 더 많은 phenolics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추출물간의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활성의 차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발효 참꽃마리 추출물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50, 100, 150, 200 ㎍/mL phenolics 농도에서 88.56, 88.72, 88.17, 87.78%로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ctivity는 100, 150, 200 ㎍/mL phenolics 농도에서 참꽃마리와 발효 참꽃마리 추출물 모두 100%에 근접하며 매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의 경우 발효 참꽃마리 추출물은 1.21-1.29 PF를 나타내었으며 참꽃마리 추출물은 1.15-1.22 PF를 나타내었다. 발효 참꽃마리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은 150, 200 ㎍/mL에서 26.50, 35.51%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고 참꽃마리 추출물의 경우 18.76, 20.65%로 두 추출물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발효 참꽃마리 추출물의 미백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ollagenase 저해 활성에서도 발효 참꽃마리 추출물이 다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elastase 저해 활성은 50, 100, 150 ㎍/mL에서 발효 참꽃마리 추출물 20.10, 36.58, 45.75%, 참꽃마리 추출물 11.40, 32.07, 41.40%로 참꽃마리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발효 참꽃마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발효하지 않은 참꽃마리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bioconversion을 통한 발효 참꽃마리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발효 참꽃마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과 미백 및 주름 개선 효능에 우수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써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Naturaceuticals Extract In Vitro

  • Park, Sung-Jin;Kwon, Woo-Taeg;Rha, Young-Ah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29-33
    • /
    • 2014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naturaceutical extract in vitro using total phenolic contents, total flavonoids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ssay, and phenolic acid contents. The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naturaceutical extract were 5.46 mg/g, 2.21 mg/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natraceutical extract varied from 18.77 ($200{\mu}g/mL$) to 3.44 ($1,000{\mu}g/mL$). The reducing power of the natraceutical extract absorbance varied from 1.07 (0.78 mg/mL) to 3.44 (12.5 mg/mL), and reducing power of extract presented a concentration-dependent activity increase. The highest amounts of trans-ferulic acid, p-hydroxybenzoic acid, p-coumaric acid, vanillin, vanillic acid, p-hydroxybenzaldehyde, and trans-cinnamic acid were observed in the naturaceutical extract at the levels of 750.79, 619.75, 531.34, 222.04, 219.28, 107.40, and $89.56{\mu}g/g$, respectively. The results imply that this antioxidant effect of the naturaceuticals extract could be harnessed in th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degenerative diseases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Evaluation of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Capacity in Various Leafy Vegetables

  • Lee, Joon-Hee;Lee, Sun-Young;Lee, Hyang-Jung;Kim, Young-Jun;Koh, Kyung-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43-48
    • /
    • 2009
  • Current study investigated phyto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Korean leafy vegetables including chajogi, gomchwi, meowi and sseumbagwi. ${\beta}$-carotene, total soluble polyphenol, total flavonoids contents were determined, and antioxidant capacity were evaluated by various methods. ${\beta}$-carotene, total soluble polyphenol, total flavonoids contents in gomchwi were significantly higher (as much as 19 folds) compare to other vegetables (p<0.05). Sseumbagwi extract ($100{\mu}g/mL$) was removed 78.6% of superoxide radicals in xanthin-xanthin oxidase system measured by EPR. Gomchwi showed the highest nitrate scavenging activity as 94.3% at pH 1.2. In SOD-like activity, chajogi, gomchwi, and meowi were evaluated in the range of $12.6{\sim}24.5%$. All samples were revealed to prevent the reaction of ferrous chloride during 9 days, which were comparable ability with 125 mg/100 g of ${\alpha}$-tocopherol. The rich phytochemical contents of gomchwi and sseumbagwi influenced to high antioxidant capacity.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on Postharvest Quality in 'Formosa' Plums (Prunus salicina L.) Harvested at Various Stages of Maturity

  • Lee, Ji-Hyun;Bae, Rona;Lee, Seung-Ko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6호
    • /
    • pp.583-591
    • /
    • 2011
  • 'Formosa' plums were picked at three maturity stages according to skin redness, treated with $1{\mu}L{\cdot}L^{-1}$ 1-MCP at $10^{\circ}C$ for 24 h and then stored for 21 days at $10^{\circ}C$. Ethylene production, respiration rate, firmness, color, TSS, TA, and ethanol concentration were determined. Total phenolic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were determined periodically by separating the flesh from the peel. Ethylene production and respiration rate were strongly inhibited in all stages of the 1-MCP-treated fruit, while ethylene production dramatically increased in all stages of non-treated fruit until 11 days after harvest, after which it decreased until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respiration rate of the stored fruit increased for 11 days in stages 1 and 2 and for 7 days in stage 3 and decreased after. 1-MCP-treated fruit in all stages showed delay in fruit quality changes such as firmness, TA, skin color, and ethanol concentration, but non-treated fruit did not. Total phenolic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Formosa' plums were not affected by 1-MCP treatment or maturity stage. However, those values were higher in the peel than in the flesh.

사과의 총 페놀함량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otal Phenolic Content in Apple)

  • 황혜정;한완수;윤광로
    • 분석과학
    • /
    • 제14권5호
    • /
    • pp.377-383
    • /
    • 2001
  • 사과에 분포하는 페놀계 물질의 총 함량을 분석하는데 가장 적절한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4품종을 각각 5개 지역에서 수집한 20개 종류의 사과를 시료로 가장 효율적인 분석조건을 조사하였다. 천연재료 줌의 총 페놀 정량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는 분광광도법인 Foline-Dennis법, Prussian-blue법 그리고 vanillin-HCI법을 각각 시료에 적용하여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chlorogenic acid 상당량으로 산출한 Folin-Dennis법이 사과의 총 페놀 정량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였다.

  • PDF

귤홍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itrus Peel)

  • 박성진;신언환;나영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8-165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peel as a natural health food source by measuring the general and antioxidative contents of citrus peel. Total contents of carbohydrates,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were 72.1%, 6.6%, 1.3%, and 3.7% respectively. Caloric content of citrus peel was 334.5 kcal, while total dietary fiber was 32.1%. Regarding mineral contents, Ca was the most abundant mineral, followed by K, Mg, and P.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70% ethanolic extracts of citrus peel was $66.4{\pm}8.74mg\;GAE/g$.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70% ethanolic extracts were $14.4{\pm}3.28mg\;RE/g$.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itrus peel were significantly increasing in a dose dependent manner on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radical scavenging, FRAP(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ctivity and reducing power. Therefore, the general nutrients and other antioxidant bioactive materials in citrus peel proved that citrus peel possesses a high potential materials as a nutritious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