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flavonoids

검색결과 754건 처리시간 0.024초

손바닥 선인장의 성분 특성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 이영철;황금희;한동휴;김성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47-853
    • /
    • 1997
  • 손바닥 선인장(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의 성분특성을 조사하여 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선인장과 알로에의 주성분은 가용성 무질소물이었다. 총무기질 함량은 선인장 줄기, 열매와 씨가 각각 9400.8, 6151.2와 1096.8 mg%이며, 주요 무기질은 Ca, P, Mg이었다.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선인장 열매인 경우 tyrosine, proline과 arginine이, 줄기는 glycine과 arginine이 씨의 경우 glutamic acid이었다. 총 아미노산중 주요 아미노산은 열매의 경우는 glutamic acid가, 줄기는 glycine과 arginine이었으며, 씨는 glutmic acid와 arginine이었다. 비타민 C는 열매와 줄기가 각각 163.8과 71.2 mg% 존재하나 씨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비타민 A는 모든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추출방법에 따라 다르며,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경우 선인장 열매가 줄기와 씨보다 함량이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줄기와 열매에서 비슷하였다.

  • PDF

추출용매에 따른 ACTS002의 항산화 활성 및 지표성분의 함량 비교 (Comparison betwee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Index Content of ACTS002 according to the Extraction Solvent)

  • 이대연;심선형;김완수;이영우;이인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31-342
    • /
    • 2019
  • Objectives: Samul-tang is commonly used to alleviate the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n efficient method of extracting ACTS002 based on Samul-tang using the yiel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antioxidant assay. Methods: ACTS002 was extracted from each extraction solvent, and the contents of 5-hydroxymethyl-2-furaldehyde (5-HMF), paeoniflorin, and ferulic acid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nd compared using HPLC. Moreov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CTS002 were measured using total flavonoids, total phenolic compound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and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FRAP). Results: All of the components were set as the index contents because they were easy to proces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otal flavonoids was the highest in 70% ethyl alcohol extracts,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the highest in 50% ethyl alcohol extracts. In DPPH, 50% ethyl alcoho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nd in ABTS 70% ethyl alcohol extracts were the highest. In FRAP, 70% ethyl alcoho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Conclusions: ACTS002 can control quality by setting 5-HMF, paeoniflorin, and ferulic acid as the index contents. The antioxidant activity measurement was relatively high in the 50% and 70% ethyl alcohol extracts. Our results can predict the possibility of a pharmacological activity and the standardization of ACTS002.

Antioxidant potential of a soft cheese (paneer) supplemented with the extracts of date (Phoenix dactylifera L.) cultivars and its whey

  • Qureshi, Tahir Mahmood;Amjad, Aniqa;Nadeem, Muhammad;Murtaza, Mian Anjum;Munir, Masoom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0호
    • /
    • pp.1591-1602
    • /
    • 2019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paneer, a soft cheese supplemented with various water soluble date extracts during storage. Further, the whey obtained from all the paneer samples was also investigated for its antioxidant potential. Methods: The date cultivars were evaluated for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ate extracts were assessed for their antioxidant potential. Physico-chemical evaluation, microbiological quality and further antioxidant potential of the prepared paneer were carried out during storage period (0 to 8 days, $5^{\circ}C$). Results: All the date extracts were found to have considerable antioxidant activity due to presence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Owing to the presence of phenolics and flavoinds in date extracts, supplemented paneer showed higher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reducing power and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control paneer. Paneer supplemented with Rabi extracts had the highest total phenolics ($190.7{\mu}g$ gallic acid equivalent/g pane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928.1{\mu}mol$ equivalent of Trolx/g paneer) an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9.2{\mu}mol$ equivalent of Trolx/g paneer). The whey obtained from control paneer showed lower values of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DPPH,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and reducing power as compared to the values of whey obtained from paneer supplemented with date extracts. Conclusion: Paneer supplemented with date extracts and its whey may offer potent antioxidant activity.

시판 커피 한 컵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과 항산화활성 (Antioxidant Capacity and Bioactive Composition of a Single Serving Size of Regular Coffee Varietie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 김미정;박지은;이주현;최나래;홍명희;표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99-304
    • /
    • 2013
  • 시판중인 레귤러커피 한 컵에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 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페놀함량은 gallic acid 등량 값으로 나타낼 때 63.83-110.12 mg이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catechin 등량 값으로 35.27-69.27 mg이었다. 커피용액 시료에 있는 이들 물질의 분포는 수용성층에 각각 96%와 91% 이상 함유되었다. 레귤러커피 한 컵에 함유된 CGA와 카페인의 함량은 각각 5.17-69.78 mg과 74.38-146.32 mg으로 측정되었다.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능 및 환원력 등의 방법으로 평가한 5개 브랜드의 레귤러커피의 항산화 활성은 표준 항산화제인 Trolox 등량 값으로 88.78-487.52 mg의 범위로 나타나 생리활성 성분의 농도에 따라 브랜드 커피의 항산화 활성은 매우 다르게(p<0.05)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커피음료의 항산화활성은 수용성 항산화물질 특히 플라보노이드(r2=0.8705) 및 폴리페놀 함량($r^2$=0.7732)과 매우 높은 상관도를 보였으며, 그 밖에 카페인($r^2$=0.6194)과 CGA ($r^2$=0.3871)의 함량도 커피의 항산화활성에 기여하는 주요 항산화성분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 사용된 5종의 브랜드 커피 중 전체적으로 브랜드 B와 C의 커피가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과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p<0.05).

추출법에 따른 큰실말(Cladosiphon novae-caledoniae kylin) 부산물 식이섬유의 항산화 효과 및 HT-29 대장암 세포에 대한 항암 작용 (Effects of Dietary Fiber from Mozuku (Cladosiphon novae-caledoniae kylin) Residue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cancer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according to Extraction Condition)

  • 정행순;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5권4호
    • /
    • pp.363-36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큰실말 부산물의 추출 조건(HCl, $H_2SO_4$, NaOH, $Na_2CO_3$, $Na_2EDTA$)에 따른 식이섬유 함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큰실말 부산물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양을 측정하고 HT-29 대장암 세포에서의 증식 억제를 통한 항암효과를 확인하였다. 1.5% $Na_2EDTA$와 0.05 N HCl이 큰실말 부산물로부터 가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추출 시간과 온도도 가용성 식이섬유의 추출수율에 영향을 주었다. 큰실말 부산물 식이섬유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 NaOH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총 폴리페놀 $34.4{\pm}0.055$ mg gallic acid/g dry basis, 총 플라보노이드 $34.7{\pm}0.023$ mg naringin/g extract dry basis).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도 1% NaOH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대장암 세포주의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 D.W.와 0.05 N HCl 및 0.5% $Na_2CO_3$ 추출물에서 농도의존적 세포 증식 억제를 보였다. 이들 결과는 큰실말 부산물로부터 분리한 가용성 식이섬유가 항산화 및 대장암에서의 항암효과에 중요한 기능이 있음을 시사한다.

데침조건에 따른 참취의 생리활성성분 및 품질특성 변화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Quality Properties of Aster scaber( Chamchwi) by Blanching Conditions)

  • 최남순;오상석;이종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45-7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나물로 많이 애용되어 오던 산체중의 하나인 참취를 데침시간별로 1, 3, 5분과 데침액에 첨가한 소금농도를 0, 1, 2%로 달리하여 처리한 다음 vitamin C, carotene, chlorophyll, flavonoid와 polyphenol, 무기질 그리고 데침액의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데침조건에 따른 참취의 vitamin C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며, ${\beta}-carotene$은 데침시간에 따른 영향은 받지 않은 반면 데침액의 소금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보유량이 증가했다. 2. Chlorophyll a의 함량은 무첨가시에만 데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소금을 1%, 2%로 첨가했을 때는 데침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chlorophyll b는 데침시간과 소금농도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Flavonoid와 polyphenol 함량는 데침시간과 데침액의 소금농도에 의한 영향을 모두 받았는데, 데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데침액의 소금농도가 증가할수록 손실이 억제되었다. 4. 무기질 성분 중 Na함량은 소금, 데침시간, 그리고 두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을 받았다. 또한 K와 Mg함량은 데침시간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았으나 소금농도의 증가에 따른 함량변화는 없었다. Fe은 데침조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5. 데친 잎의 색도와 색차는 데침시간의 영향을 받았으나 소금농도에 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데침액은 적색도와 황색도 그리고 색차가 데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했으며 소금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첨가시에 비해 색차의 변화가 적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참취를 데침조건을 달리하여 처리할 때 생리활성성분인 flavonoid와 polyphenol함량이 데침시간과 소금농도에 의해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이는 데침액의 색도변화와도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므로 데침액에 용출되는 양은 데침조건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데침시간이 짧고 소금농도가 높을수록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들빼기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성 연구 (Phenolics Leve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lant Parts in Youngia sonchifolia)

  • 천상욱;강종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20-27
    • /
    • 2013
  • 고들빼기의 부위별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일반성분,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항암성을 분석하였다. 고들빼기 식물체 부위별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꽃, 잎, 줄기 뿌리 순으로 높았고 조섬유와 조회분은 줄기와 뿌리가 꽃과 잎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들빼기의 총 페놀 함량은 꽃($72.9\;mgkg^{-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잎, 줄기, 뿌리 순으로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23.3\;mgkg^{-1}$), 꽃, 줄기, 뿌리 순으로 나타났다. 고들빼기에서 DPPH(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법에 의한 항산화성은 농도와 비례하게 활성이 증가하는 양상을 합성 항산화제 Vitamin C와 BHT보다 낮은 활성이지만 뿌리, 잎, 꽃, 줄기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MTT assay에 의한 세포독성 시험결과 뿌리 추출물이 폐암(Calu-6) ($IC_{50}=196.3\;mgkg^{-1}$)과 대장암 세포주(HCT-116) ($IC_{50}=623.6\;mgkg^{-1}$)에 대해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생리활성물질 함량과 그 활성은 고들빼기 부위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생리활성과 낮은 연관성을 보였으나 항산화성과 항암활성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모근 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 및 Phenolic acid와 Flavonoids 조성 및 함량 (Composition and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and Phenolic Acid and Flavonoids of Imperata cylindrica Beauvois var. koenigii Root extracts)

  • 이순숙;이근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397-403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백모근의 열수와 95% 에탄올 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과 유도체, phenolic acid와 flavonoid의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추출물에 대한 기조자료를 확보하고, 기능성화장품과 기능성식품 성분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유리아미노산은 열수 추출물 15종, 95% 에탄올 추출물 9종이 나타났다. 단백질 비구성 아미노산 유도체는 열수 추출물 5종, 95% 에탄올 추출물 4종이 나타났다. 총 polyphenol은 열수 추출물 116.50 ± 0.06 mg%, 95% 에탄올 추출물 140.10 ± 0.04 mg%이었다. 총 flavonoid 함량은 열수 추출물 31.80 ± 0.03 mg%, 95% 에탄올 추출물 43.90 ± 0.05 mg%로 나타났다. Phenolic acid는 열수 추출물 5종, 95% 에탄올 추출물 6종이 나타났다. Flavonoid는 열수 추출물의 경우 나타나지 않았으나, 95% 에탄올 추출물은 taxifolin 1종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결과들로 볼 때 백모근의 열수와 95% 에탄올 추출물은 코스메슈티컬, 뉴트리코스메틱 및 기능성식품 성분으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연복자 추출물의 Phenolic acids와 Flavonoids의 조성 및 화장품 항산화 활성 (Composition of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and Skin Care Cosmetic Antioxidant Activity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s)

  • 장아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365-371
    • /
    • 2021
  • 이 연구는 연복자의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총 polyphenol과 flavonoid의 함량과phenolic acid와 flavonoid의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하고, 이 추출물에 대한 일부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므로 스킨케어 기능성 화장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총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은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과피 추출물이 씨앗 추출물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henolic acid는 열수 추출물에서 2종, 80% 메탄올 추출물에서 6종이 확인되었다. Flavonoids는 열수 추출물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80%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1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연복자의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DPPH와 ABTS의 라디칼 소거능은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연복자의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어 피부관리를 위한 기능성 화장품 성분원료 및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브로콜리 줄기 분말을 혼합한 파운드 케익의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ke Improver on Antioxidant Activity and Properties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Prepare using Broccoli Stem Powder)

  • 오재복;이혜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67-576
    • /
    • 2011
  • A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the quality attributes of broccoli stem powder pound cakes. Broccoli stem powder was added to the batter at a ratio of 5, 10 and 15%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and flavonoid content in Broccoli stem powder and pounds cakes. Antioxidative activi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broccoli stem pound cakes respectively($r$=0.937, $r$=0.981). The effect of cake improv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ke broccoli stem powder and pound cakes were estimated in terms of the specific load volume, hardness, hunter value of crumb and crust and sensory quality of cakes. The specific volum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substitution level of cake improver and broccoli stem powder($p$ <0.01). The lightnes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s in broccoli stem powder of pound cake crust and crumb($p$ <0.01, $p$ <0.01). The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and cohesiveness were tended to reduce in both of powder. The consumer acceptability score for 5~10% broccoli stem pound cakes ranked significantly($p$ <0.01)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in tast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This results showed that cake improver & broccoli stem powder are a good ingredient to increase consumer acceptability and the healt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