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effective temperature

검색결과 526건 처리시간 0.03초

해안간척지 토양의 생물학적 토성개선에 관한 연구 (제4보) 유기산첨가에 따르는 토양성분의 제 변화에 대하여 (Biological Improvement of Reclaimed Tidal Land Soil(IV) Changes of Saline Soil by addition of Organic Acids)

  • 홍순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2권4호
    • /
    • pp.9-18
    • /
    • 1969
  • In the previous paper(part III), a certian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nges of chlorinity and organic acid released from organic material were seemed to be concened to each other in saline soil suspension. Such a possibility had been a cause to take this experiments and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under the treatment of organic acid crystal, oxalic acid and succinic acid, to the soil suspension(soil: water=20g:40cc) directly. The amount of organic acid treated to the suspension were related to the contents of organic material, as amount of organic acid per gram of organic material(391.76mg). The saline soil suspension were grouped and treated with the acids in order of 78.35mg(Group 1), 391.76mg(Group 2) 979.4mg(Group 3), and 1958.8mg(Group 4), respectively. Treated suspension had been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and extract from suspension was used for analysis. Followings are summary of this report. 1) Changes of pH in soil suspension appeared a little increase after the treatment of organic acid until 168 hours. 2) Total acidity of soil suspension showed a variation, however, the values of total acidity appeared not to be increased or decreased during the period of experiment. 3) Sugar contents of soil suspension was increased until 168 hours after treatment. These results are similar tendency to the previous paper. 4) Addition of organic acid to soil suspension was confirmed not to be effective method for desalination from saline soil. Chlorinity of group 3 and 4 which were treated with high concentration of organic acid showed a decrease comparing to control group.

  • PDF

저장조건이 딸기 “미녀봉”의 저장 중 품질 및 미생물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Condition on the Quality and Microbiological Change of Strawberry “Minyubong” during Storage)

  • Lee, Se-Hee;Lee, Myung-Suk;Namkyu Sun;Song, Kyung-Bi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1
    • /
    • 2004
  • 저장조건이 딸기 “미녀봉”의 저장 중 품질 및 미생물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저장 중 중량감소율, 부패율, pH 및 적정산도, 총균수 및 곰팡이와 효모 수의 변화가 측정되었다. 딸기 시료는 LDPE로 포장하여 4$^{\circ}C$와 2$0^{\circ}C$에서 각각 저장하였다. LDPE포장은 대조구에 비해 중량감소율 및 부패율을 감소시켰다. 또한 포장방법은 저장중 미생물학적 변화에 영향을 끼쳤는데 저장온도와 상관없이 대조구와 비교해서 효모와 곰팡이뿐만 아니라 총균수의 감소를 야기시켰다. 본 연구결과는 딸기 “미녀봉”의 유통기한을 고려할 때 4$^{\circ}C$에서 LDPE 포장으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온가가 애반딧불이의 생식과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Firefly, Luciola lateralis(Coleoptera: Lampyridae))

  • 이기열;안기수;강효중;박성규;김종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7-223
    • /
    • 2003
  • 항온조건이 애반및불이(Luciolalateralig)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 유충, 용의 발육기간은 15-3$0^{\circ}C$의 범위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참았으며, 1$0^{\circ}C$와 35$^{\circ}C$에서는 발육이 되지 많았다. 부화율은 23$^{\circ}C$ 93.3%, $25^{\circ}C$ 91.8%로 23$^{\circ}C$, $25^{\circ}C$에서 부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유충기간은 15$^{\circ}C$에서 341.5 $\pm$ 23.2일, 2$0^{\circ}C$에서 265.5 $\pm$ 17.5일, $25^{\circ}C$에서 250.9$\pm$11.7일이었다. 용기간은 15$^{\circ}C$에서 94.7$\pm$11.5일, 2$0^{\circ}C$에서 417$\pm$9.1일, $25^{\circ}C$에서 18.5$\pm$7.4일이었고, 우화을은 각각 23.3, 89.3, 80.7%이었다. 성충 암컷의 수명은 15$^{\circ}C$에서 18.0일, 2$0^{\circ}C$에서 20.4일, $25^{\circ}C$에서 10.7일, 3$0^{\circ}C$에서 5.8일이었다. 평균산란수는 다른 온도조건보다 2$0^{\circ}C$에서 가장 많았다. 각 태별발육영점온도는 난이 10.6$^{\circ}C$, 유충 14.$0^{\circ}C$ 그리고 용은 13.1$^{\circ}C$이었고,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214.8, 1,564.8, 229.2일도이었다. 세대당 순증식을은(R$_{o}$ ) 23$^{\circ}C$에서 177.19로써 가장 높았고, 내적자연증가율은(r$_{m}$ )27$^{\circ}C$에서 0.019로 가장 높았다. 이 결과로써 애반딧불이의 발육과 생식에 적합한 온도는 2$0^{\circ}C$에서 $25^{\circ}C$이었다.

Effect of misting and wallowing cooling systems on milk yield, blood and physiological variables during heat stress in lactating Murrah buffalo

  • Yadav, Brijesh;Pandey, Vijay;Yadav, Sarvajeet;Singh, Yajuvendra;Kumar, Vinod;Sirohi, Rajneesh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1호
    • /
    • pp.2.1-2.10
    • /
    • 2016
  • Background: Heat stress adversely affects the physiological and metabolic status, and the productive performance of buffalo. Method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plicate the effect of misting and wallowing cooling strategies during heat stress in lactating Murrah buffalo.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ree months (May-July) of which first two months were hot dry and last month was hot humid. Eighteen lactating buffaloes, offered the same basal diet, were blocked by days in milk, milk yield and parity, and then randomly allocated to three treatments: negative control (no cooling), cooling by misting, and cooling by wallowing. Results: The results showed higher (P < 0.05) milk yield in buffaloes of misting and wallowing group compared to control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however wallowing was found more (P < 0.05) effective during July (hot humid period). Both the treatments resulted into significant (P < 0.05) reduction in rectal temperature (RT) and respiratory rate (RR) compared to control animals during study period whereas wallowing was found to be effective on pulse rate (PR) only during July. Both treatments were resulted in mitigating the heat stress mediated decrease in packed cell volume (PCV), lymphocytopnoea and neutrophilia whereas decrease in total erythrocyte count (TEC) and monocytes was only mitigated by wallowing. Heat load induced alteration in serum creatinine and sodium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P < 0.05) ameliorated by misting and wallowing whereas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concentration could be normalized neither by misting nor by wallowing. The significant (P < 0.05) increment in serum cortisol and prolactin levels observed in June and July period in control animals was significantly (P < 0.05) prevented by misting and wallowing. Conclus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misting and wallowing were equally effective in May and June (hot dry period) whereas wallowing was more effective during hot humid period in preventing a decline in milk production and maintaining physiological, metabolic, endocrine and redox homeostasis.

Performance differences of Rhode Island Red, Bashang Long-tail Chicken, and their reciprocal crossbreds under natural cold stress

  • Xie, Shanshan;Yang, Xukai;Gao, Yahui;Jiao, Wenjie;Li, Xinghua;Li, Yajie;Ning, Zhonghu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0호
    • /
    • pp.1507-1514
    • /
    • 2017
  • Objective: The Bashang Long-tail chicken (BS), an indigenous Chinese breed, is considered cold tolerant. We selected BS, the Rhode Island Red (RIR), and their reciprocal crossbreds for the present study. The objectives were: i) to validate whether BS is cold tolerant and whether egg production and cold tolerance of crossbreds could be improved; and ii) to determine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underlie cold tolerance and favorable egg production performance in cold environments. Methods: A total of 916 chickens were reared in warm and natural cold environments (daily mean ambient temperature varied from $7.4^{\circ}C$ to $26.5^{\circ}C$ in the warm environment and from $-17.5^{\circ}C$ to $27.0^{\circ}C$ in the cold environment). To investigate their adaptability to the cold environment, the egg production performance and body weight were monitored and compared between breeds and environments. The cloacal temperature and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were monitored to reveal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underlie cold tolerance and favorable egg production performance in the cold environment. Results: The warm environment experiment showed that RIR had the highest egg production performance, and that the reciprocal crossbreds had a higher egg production performance than BS. While in the cold environment RIR had the lowest egg production performance, and the reciprocal crossbreds had a higher egg production performance than BS. In the cold environment BS and reciprocal crossbreds had higher triiodothyronine, tetraiodothyronine levels than RIR. At 35 and 39 wk of ag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was extremely low (varied from $-20^{\circ}C$ to $0^{\circ}C$), serum glucose, follicle-stimulating hormone, luteinizing hormone, estradiol of BS and crossbreds were higher than RIR. Conclusion: Bashang Long-tail chicken has a favorable cold tolerance ability. Crossbreeding with RIR and BS i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cold tolerant chickens with improved egg production performance.

냉동 저장 온도가 고등어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ing-storage temperature on the shelf life of mackerel fish)

  • 주소영;박정아;황현정;김서진;최정인;하주영;조미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36-541
    • /
    • 2016
  • 본 연구는 고등어의 단기 저장 중 이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가정에서 고등어 저장 시 냉동 저장 조건을 탐색해보았다. 고등어의 지방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TBA가에서는 저장 초기에는 $-5^{\circ}C$ 저장군과 $-20^{\circ}C$ 저장군이 유사한 경향을 보이나 저장 14일차부터는 $-1^{\circ}C$ 저장군이 $-5^{\circ}C$ 저장군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고등어의 단백질 신선도를 나타내는 VBN 함량과 pH도 $-5^{\circ}C$ 저장군과 $-20^{\circ}C$ 저장군이 유사한 추세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저장 초기에는 대부분의 실험항목에서 $-5^{\circ}C$ 저장군과 $-20^{\circ}C$ 저장군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 점에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고등어의 단기 저장 시 $-5^{\circ}C$에서의 저장은 $-20^{\circ}C$에서의 저장과 유사한 측면을 보이며 약 51일간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어 고등어의 단기 저장 시 신선도 유지에 효율적이라고 사료된다. 그러나 어류는 수분 함량이 많고 미생물의 번식이 쉽게 때문에 육류보다 부패하는 속도가 빨라 식중독 발생의 위험이 크므로 장기간 저장하기 위해서는 저온냉동이 필수적이라 사료된다. 추후 온도 조절뿐만 아니라 가정용 냉장고의 습도, 고등의 포장 방법, 저장 시 용량 등 여러 인자들의 조절로 가정 내 고등어의 냉동 저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제조공정상 발생하는 비산분진의 화재·폭발 위험성에 대한 열적특성 비교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Fire.Explosion Hazard of Fugitive Dust Genera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 Sun, Ko Jae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71-8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인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이 있는 밀가루 제조공정에서의 분진 및 기능성 비누제조공정에서의 살리실산분진, 합판 제조공정에서 목분, 폐타이어 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분진들을 채집하여 열적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DSC 실험결과 대상시료 모두 활석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열 유속은 감소하고 온도는 감소상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분해속도가 줄어드는 것이고, 위험성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대상시료 모두 승온속도가 증가 할수록 흡열개시온도가 낮은 온도 부분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흡열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승온속도가 증가할수록 시료의 분해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TGA 실험결과 대상시료 모두 무게감량의 비율은 활석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체 무게감량이 줄어들어 열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분진폭발메커니즘의 지속적 연구와 보완이 효과적인 분진폭발예방 대책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조단백질 추출에 관한 연구 3. NaOH 가용성 단백질의 추출 (STUDIES ON THE EXTRACTION OF SEA WEED PROTEINS 3. Extraction of NaOH Soluble Proteins)

  • 이강호;우순임;류홍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5-90
    • /
    • 1978
  • 식용해조인 둥근돌김(Perphyra suborbiculata), 잎파래 (Enteromorpha linza), 구멍갈파래 (Ulva pertusa) 미역 (Undaria pinnatifida, 자연생 및 양식), 모자반 (Sargassum fulvellum), 쎌만모자반(Sargassum kjellmanianum) 누운첨각(Codium coarctatum)의 NaOH 가용성 단백질 추출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소 즉, 추출용액의 농도, 용매량, 온도, 시간에 따른 조단백질과 순단백질(TCA 불용성 단백질)의 추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갈다. 1. 전시료가 0.05M NaOH 용액에서 가장 좋은 추출성적을 얻었으나, TCA 불용성 단백질은 $0.01\~0.025M$에서 추출성적이 좋았으므로, 0.025M에서 추출함이 좋을 것 간다. 2. 시료-용매비(w/v)는 건조시료 1g에 대하여 100ml의 용매를 첨가함이 좋은 것 같다. 3. 추출시간은 녹조류는 1시간, 양식미역 2시간, 자연생미역, 쎌만모자반, 모자반은 3시간에 최고의 추출성적을 얻었다. 4. 추출온도는 전시료가 $60^{\circ}C$에서 최고의 추출성적을 보였다.

  • PDF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무화과 열수 추출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 on Fig (Ficus carica L.)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정옥;권순태;이기동;홍주헌;문두환;김태완;김대익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6-73
    • /
    • 2008
  • 무화과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를 위하여 반응표면 분석법에 의하여 무화과의 추출조건에 따른 무화과 유용성분의 추출특성을 모니터링하였다. 수율의 최대값은 66.46%이었으며, 이때의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2.08 mL/g, 추출온도 $90.59^{\circ}C$ 및 추출시간 148.04 min이었다.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17.87 mL/g, 추출온도 $98.82^{\circ}C$ 및 추출시간 130.80 min에서 최대 값 $121.31{\mu}g/mL$을 나타내었으며, 전자공여능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18.13 mL/g, 추출온도 $98.81^{\circ}C$ 및 추출시간 127.95 min일때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무화과 추출물의 단백분해효소의 활성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17.45mL/g, 추출온도 $99.01^{\circ}C$ 및 추출시간 131.43 min일 대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2.66 mL/g, 추출온도 $86.30^{\circ}C$ 및 추출시간 153.59 min에서 최대값이 19.14 mg/mL이었다. 무화과 유용성분의 추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 추출조건의 범위는 시료에 대한 용매비 $17{\sim}25$ mL/g, 추출온도 $80{\sim}100^{\circ}C$ 및 추출시간 $100{\sim}170$ min으로 예측되었으며, 실제 실험을 통하여 그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나무이끼(Climacium japonicum)의 기내배양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인 (Several Factors Affecting In Vitro Propagation of Climacium japonicum)

  • ;이철희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15-22
    • /
    • 2010
  • 본 연구는 나무이끼(Climacium japonicum) 배우체의 기내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몇 종류의 화학적 및 물리적 환경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초기 배양재료는 멸균한 배우체의 정단을 Knop 배지(1865)의 다량요소와 Nitsch와 Nitsch배지 (1956)의 미량요소를 첨가한 고체배지에 배양하여 획득하였다. 배우체 생산을 위해 좋은 배양재료를 얻기 위하여 다져진 배우체 및 shoot의 정단부와 기저부를 평가하였다. 배우체의 기내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배지 7종류, 총질소 4농도, sucrose 5농도, 광도와 온도 등의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Shoot의 정단부가 배우체 번식을 위해 사용한 3종류의 절편체들 중 가장 우수하였으며, Knop 배지(1865)의 다량요소와 Nitsch와 Nitsch배지 (1956)의 미량요소를 첨가한 배지가 다른 종류의 배지들에 비해 배우체의 증식에 효과적 이었다. Sucrose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배우체의 신장 및 증식에 좋은 영향을 미쳤으며, 질소의 결핍 및 과다는 배우체의 생장을 억제하였다. 광도의 강약에 따라 배수체의 수, 길이 및 생체중에 큰 변화를 보였으며, 배우체 생장을 위해 최적의 광도는 3000-4000lx. 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고온 또는 저온 조 건은 배우체의 증식과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 의해 개발된 생산과정의 단순화, 대량화 및 영양체의 고품질화는 효과적인 이끼의 기내배양 방법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