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Knee Arthroplasty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4초

Comparison of Clinical Results and Risk of Patellar Injury between Attune and PFC Sigma Knee Systems

  • Song, Sang Jun;Kang, Se Gu;Park, Cheol Hee;Bae, Dae Kyung
    • 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334-340
    • /
    • 2018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clinical result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using the Attune and PFC Sigma knee design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use of the Attune prosthesis increased the risk of patellar injury in Asian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ree hundred knees that underwent TKA using Attune (group A) were compared to 300 knees that underwent TKA using PFC Sigma (group B). The Knee Society Knee Score (KS) and Function Score (FS), and range of motion (ROM) were compared. The residual patellar thickness was compared to evaluate the risk of patellar injury. Results: The postoperative KS and ROM of group A were better than those of group B (93.1 vs. 88.8, p<0.001 and $131.4^{\circ}$ vs. $129.0^{\circ}$, p=0.008, respectively). The postoperative F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80.9 vs. 78.7, p=0.427). The residual patella was thinner in group A (14.8 mm vs. 15.7 mm, p=0.003), which made up a higher proportion of the high-risk group for patellar fractures with a residual thickness of <12 mm (7.5% vs. 2.1%, p=0.003). Conclusions: TKA using the Attune prosthesis provided more favorable clinical results than TKA using PFC Sigma. However, the risk of injury in the residual patella was increased with use of the Attune prosthesis in Asian patients.

슬관절 전치환술 후 인공관절 주위 진균 감염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 of a Staged Reimplantation of Fungus Related Periprosthetic Joint Infec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김형주;배기철;민경근;최형욱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52-58
    • /
    • 2019
  •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진균에 의한 감염은 드물지만 심각한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치료에 있어 항진균제 투여 기간이나 수술의 방법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인공 관절 주위 진균 감염에 대한 치료 결과 및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부터 2017년까지 슬관절 전치환술 후 진균 감염으로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2단계 재치환술을 시행받은 10명의 환자를 같은 기간 비진균 인공 슬관절 주위 감염으로 치료받은 119명의 환자와 비교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2단계 재치환술에 의한 감염 조절의 실패율과 감염의 재발률 및 정주용 항생제 및 항진균제 사용기간, 2단계 재치환술 후 관절 운동 범위, 한국형 슬관절 점수(Korean knee score, KKS), 적혈구 침강속도(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C-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 CRP)을 평가하였다. 결과: 진균이 동정된 군 총 10예 중 7예(70.0%)에서 감염조절의 실패를 보였고 일반 감염군 119예 중 7예(5.9%)에서 감염조절의 실패를 보였다(p=0.04). 진균이 동정된 군에서는 정주용 항진균제의 평균 사용기간은 15.3주로 일반 감염군에서의 정주용 항생제 평균 사용기간인 6.2주에 비해 9.1주 더 길었다(p<0.001). 감염 조절술 시행 전 슬관절 운동 범위는 두 군에서 모두 증가하였다(p=0.265). 최종 추시 시 KKS는 일반 감염군에서 평균 71.01점으로 나타났고 진균이 동정된 군에서 61.3점이었다(p=0.012). ESR과 CRP는 두 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CRP만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7).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인공관절 주위 진균 감염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일률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이지 않으므로 감염 조절술 시행 시 항진균제 혼합 시멘트 삽입과 재치환술 후 경구용 항진균제 사용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족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후 관리 및 재활 (Total Ankle Arthroplasty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 이광복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8-122
    • /
    • 2022
  • Although total ankle arthroplasty (TAA) has increased considerably in the past ten years, reflecting improvements in implant design and survivorship, the clinical outcomes have been less satisfactory than total hip or total knee arthroplasties. Several issues under debate include postoperativ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in TAA. Especially, there is no consensus or evidence for the most appropriate postoperativ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for patients undergoing TAA. This study was therefore undertaken to suggest appropriate postoperativ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in TAA, after reviewing published articles and focusing on the following topics: prehabilitation, hospital stay, immobilization type and duration, weight-bearing management, pharmacological treatment, and adopted rehabilitation protocols. In previous studies, the postoperativ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proposed depended on the surgeon's preference,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the associated surgical procedures performed after TAA. Nonetheless, our research indicates the best approach is to include a prehabilitation program, immobilization in the early postoperative stage (2~4 weeks), range of motion exercise with partial weight-bearing ambulation, followed by full weight-bearing ambulation after six week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a standardized rehabilitation protocol and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care after TAA.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중 트라넥삼산의 정맥 내 투여와 국소 사용의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Efficacy of Tranexamic Acid during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Comparative Study between Intravenous Use and Topical Use)

  • 이현주;안기용;박지연;정영우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42-149
    • /
    • 2021
  • 목적: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서 트라넥삼산의 효능을 확인하고, 트라넥삼산의 정맥 내 사용 방법과 관절 내 투여 군을 비교하여 어떤 방법이 혈액 손실 감소 효과가 더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는 광주보훈병원에서 2017년 3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에 대한 후향적 연구이다. 단측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총 210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트라넥삼산 사용 방법에 따라 각각 70명의 환자들에 대해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Group I: 정맥 내 투여 군, Group II: 관절 내 투여 군, Group III: 트라넥삼산을 사용하지 않은 군). 그룹 간 수술 후 총 실혈량, 헤모글로빈 감소치, 수혈 단위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실혈량은 관절 내 투여 군(1,136±339 ml) 및 트라넥삼산을 사용하지 않은 군(1,366±866 ml)보다 정맥 내 사용 군(987±449 ml)에서 더 낮았다(p=0.004). 수술 후 헤모글로빈의 손실 또한 정맥 내 사용 군(1.8 g/dl)에서 관절 내 투여 군(2.9 g/dl)이나 투여하지 않은 군(3.5 g/dl)보다 현저히 낮았다(p<0.01). 수혈 빈도는 트라넥삼산을 사용하지 않은 그룹(5.7%)에서 더 높았으며 정맥 내 사용 시 1.4%를 보이고, 관절 내 투여한 군에서 수혈을 받은 환자는 없었다. 혈전색전증의 발생 빈도는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행 시 트라넥삼산을 사용한 환자 군에서 사용한지 않은 군에 비해 총 실혈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관절 내 투여보다는 정맥 내로 투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 정맥 내 투여로 인한 합병증은 관절 내 투여 및 트라넥삼산을 사용하지 않은 군과 비교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족관절의 인공관절 치환술 (Total Ankle Replacement Arthroplasty)

  • 성일훈;김현욱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15
  • Total ankle replacement has been performed for treatment of end stage arthritis of the ankle, hopefully being an alternative to ankle arthrodesis. However, due to its high failure rates, earlier versions of ankle replacements were not regarded as successful procedures. The latest design has shown increasingly positive results. Total joint replacement of the ankle itself is still regarded as a demanding procedure and much more challenging than that of the hip and knee in many aspects. Several studies, however, have pointed out that it is becoming the viable, accepted alternative for arthrodesis with advanced implants, appropriate patient selection, and proper training experience of procedures. Compared with arthrodesis, it shows equal or better outcomes in pain relief, range of motion, and patient's satisfaction. We are attempting to review its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implant design, indications, complications, clinical outcomes, and survival rate.

인공무릎관절에 있어서 임플란트의 재료 및 고정방법에 따른 응력분석 (Stress Analysis of Total Knee System Depending on Implant Materials and Fixation Methods)

  • 조철형;조용균;최재봉;최귀원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4-488
    • /
    • 1997
  •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es were used to compare the stress distribution and the stability of the fixation among seven different tibial compon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due to implant materials in total knee arthroplasty. The components included an intact tibia(Type I), Cemented Cobalt-Chromium tibial tray implanted with a PMMA cemented Co-Cr stem(Type II), Cemented Co-Cr tibial tray with a uncemented Co-Cr stem(Type III), Cemented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tibial tray with a cemented UHMWPE stem (Type IV), Cemented UHMWPE tray with a uncemented UHMWPE stem(Type V), Cemented Co-Cr tray without a stem(Type VI), and Cemented UHMWPE tray without a stem(Type VII). Uncemented components were assumed to have complete bony in growth and a rigid state of fixation between component and bone. The interface between bone/cement/component of cemented components was also assumed to be fully bonded. Bi-condylar forces were appli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Uncemented stem components provided lower bone stress shielding and stress concentration. The UHMWPE tray and stem component showed better agreement with the intact tibia than the Co-Cr Alloy tray and stem components. If the implant tray can be fixed firmed without a stem, Cemented PE tray without a stem(Type VII) may be recommended to give the best characteristics in the sense of stress distribution and stability.

  • PDF

Automated 2D/3D Image Matching Technique with Dual X-ray Images for Estimation of 3D In Vivo Knee Kinematics

  • Kim, Yoon-Hyuk;Phong, Le Dinh;Kim, Kyung-Soo;Kim, Tae-Seong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31-435
    • /
    • 2008
  • Quantitative information of a three dimensional(3D) kinematics of joint is very useful in knee joint surgery, understanding how knee kinematics related to joint injury, impairment, surgical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In this paper, an automated 2D/3D image matching technique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3D in vivo knee kinematics using dual X-ray images. First, a 3D geometric model of the knee was reconstructed from CT scan data. The 3D in vivo position and orientation of femoral and tibial components of the knee joint could be estimated by minimizing the pixel by pixel difference between the projection images from the developed 3D model and the given X-ray images. The accuracy of the developed technique was validated by an experiment with a cubic phantom. The present 2D/3D image matching technique for the estimation of in vivo joint kinematics could be useful for pre-operative planning as well as post-operative evaluation of knee surgery.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에 시행한 관절경적 치료의 임상 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Treatment for Infec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김경태;이송;김지형;김대근;신원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8-43
    • /
    • 2013
  •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에 대해서 시행한 관절경적 치료의 효용성과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에 대하여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한 17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혈액검사와 관절액 천자를 통해 감염을 확인한 후 관절경을 이용하여 변연 절제술과 활액막 제거술을 시행하고 항생제를 혼합한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세척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치료의 실패 또는 재발 여부를 확인하고 수술 후 2년까지 감염의 재발이 없는 경우를 치료의 성공이라 판단하였다. 결과: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에 대하여 관절경적 수술로 치료받은 17예 중 13예에서는 1회의 관절경적 치료만으로 감염이 치료되었으나 4예는 감염이 지속 또는 재발되어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재수술을 시행한 군에서 관절경적 수술만으로 치료된 군보다 감염 증상 발현 후 수술까지의 기간이 더 길었다(p<0.05). 결론: 관절경적 수술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의 치료는 적절한 환자의 선택, 철저한 변연 절제술과 세척술 및 적합한 항생제의 사용 등을 통해서 성공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감염이 의심된다면 가능한 빨리 수술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