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rreya nucifera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초

海南半島의 常綠樹林의 種組成과 分布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Species and Distribution of Evergreen Forest in Haenam Peninsula , Korea)

  • Kim, Chul-Soo;Oh, Jang-G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3호
    • /
    • pp.243-255
    • /
    • 1991
  • The vegetation of haenam peninsula(126 30e.l. and 34 30n.l ) was investigated from July, 1990 to 1991. the units of vegetatin were classified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of broun- blanquet'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sasa borealis-quercus acuta, cinnamomum japonicum, camellia japonica, rhododendron mucronulatum-pinus thunbergii, pinus densiflora community, torreya nucifera, chamaecyparis obtusa afforestatio, and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in 1 : 50,00 scaie.

  • PDF

多島海 海上國立公園內의 常綠闊葉樹林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 II ) - 金鰲列島의 植生을 中心으로 -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The vegetation of Kumo Archipelago-)

  • Kim, Chul-Soo;Oh, Jang-G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4호
    • /
    • pp.343-359
    • /
    • 1990
  •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forest vegeation was carried out in Kumo archipelago at the period of May 21th 1990 to May 29th 1990 by Braun-Blanquet'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Camellia japonic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Camellia japonica-Pinus thunbergii, Camellia japonica-Torreya nucifera, Carpinus coreana and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the actual vegetation maps were drawn in 1 : 50,000 scale.

  • PDF

Vegetation Structure of Hovenia dulcis Community in South Korea

  • Yun, Chung-Weon;Lee, Byung-Ch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1호
    • /
    • pp.33-39
    • /
    • 2002
  •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make clear the vegetation structure of Hovenia dulcis community in the Korean Peninsula over ten mountains including 17 plo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Habitat of the community indicated that elevation ranged from 115 meter to 720 meter at the sea level, slope aspect in nearly all directions, bare rock from 0 to 90 percent, slope degree from 10$^{\circ}$ to 40$^{\circ}$, topography from valley to middle slope, the height of tree layer from 8m to 22m,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from 12cm to 59cm and coverage from 65% to 95$\%$$\%$

비자(榧子)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제 1 보(濟 1 報) : 비자유(榧子油)의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특성(特性)-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Torreya nucifera Seed -I.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eed Oil-)

  • 임희수;윤광로;정동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24-327
    • /
    • 1980
  • 비자유(榧子油)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일반분석치는 수분 12.33%, 조단백질 9.46%, 조지방질 54.29%, 섬유소 5.28%, 회분 2.13%로서 조지방 함량이 대단히 높음을 알 수 있다. 2) 비자유(榧子油)의 비중은 0.92, 굴절율은 1.47, 요드값은 127, 비누화값은 182.2, 산값은 9.5, 에스테르값은 172.7이었다. 3) 지방산의 조성은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등의 포화지방산이 10%이하이며, 불포화지방산 인 올레산 31.68%, 리놀레산 46.77%, 리놀렌산 0.38%로서 리놀레산의 함량이 높고 리놀렌산은 대단히 적었다.

  • PDF

제주도에 서식하는 목본 식물의 잎에서 분리한 미기록 내생균 (Identification of Unrecorded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eaves of Woody Plants in Jejudo, Korea)

  • 이봉형;김동여;박혁;어주경;이향범;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52-258
    • /
    • 2016
  • 본 연구는 제주도 사려니숲과 동백동산에서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꽝꽝나무(Ilex crenata),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등 5종의 목본 식물의 잎에서 내생균을 분리하고, 형태 및 분자생물학적 특징 통해 동정하였다. 이를 위해 primer인 ITS1F와 ITS4를 이용하여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DNA영역과 primer LR0R과 LR16을 이용하여 large subunit rDNA 영역을 그리고 primer Bt2a과 Bt2b를 이용하여 ${\beta}$-tubulin 영역의 염기서열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그 결과 Mycosphaerella aleuritidis, Neofusicoccum eucalyptorum, Neofusicoccum parvum, Phyllosticta citrichinensis, Phyllosticta cryptomeriae, Phomopsis cotoneastri, Sphaerulina rhododendricola, Guignardia mangiferae, Lophodermium jiangnanense, Lophodermium minus 등 10종의 미기록 내생균을 동정하였고,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Metagenomic SMRT Sequencing-Based Exploration of Novel Lignocellulose-Degrading Capability in Wood Detritus from Torreya nucifera in Bija Forest on Jeju Island

  • Oh, Han Na;Lee, Tae Kwon;Park, Jae Wan;No, Jee Hyun;Kim, Dockyu;Sul, Woo 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9호
    • /
    • pp.1670-1680
    • /
    • 2017
  • Lignocellulose, composed mostly of cellulose, hemicellulose, and lignin generated through secondary growth of woody plant, is considered as promising resources for biofuel. In order to use lignocellulose as a biofuel, biodegradation besides high-cost chemical treatments were applied, but knowledge on the decomposition of lignocellulose occurring in a natural environment is insufficient. We analyzed the 16S rRNA gene and metagenome to understand how the lignocellulose is decomposed naturally in decayed Torreya nucifera (L) of Bija forest (Bijarim) in Gotjawal, an ecologically distinct environment. A total of 464,360 reads were obtained from 16S rRNA gene sequencing, representing diverse phyla; Proteobacteria (51%), Bacteroidetes (11%) and Actinobacteria (10%). The metagenome analysis using single molecules real-time sequencing revealed that the assembled contigs determined originated from Proteobacteria (58%) and Actinobacteria (10.3%). Carbohydrate Active enZYmes (CAZy)- and Protein families (Pfam)-based analysis showed that Proteobacteria was involved in degrading whole lignocellulose, and Actinobacteria played a role only in a part of hemicellulose degradation. Combining these results, it suggested that Proteobacteria and Actinobacteria had selective biodegradation potential for different lignocellulose substrates. Thus, it is considered that understanding of the systemic microbial degradation pathways may be a useful strategy for recycle of lignocellulosic biomass, and the microbial enzymes in Bija forest can be useful natural resources in industrial processes.

한국산 및 중국산 비자 열매의 항산화 활성과 유효성분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effective compounds in Korean and Chinese Torreya seeds)

  • 김샛별;김병우;현숙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74-279
    • /
    • 2018
  • 한국산 및 중국산 비자의 기능성을 평가하고자 $H_2O$와 MeOH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총 페놀성 화합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ONOO^-$ 소거 활성 측정을 통해 항산화 활성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GC-MS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동정하였고 그 함량을 분석하였다. 한국산과 중국산 비자의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 비교에서는 한국의 전남산 비자 $H_2O$ 추출물이 제주산, 중국산 비자 $H_2O$ 추출물보다 2배 이상 높게 나와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MeOH 추출물에서는 한국의 전남산 비자가 제주산 비자보다 3배 이상, 중국산 비자보다 8배 높게 나왔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한국의 전남산 비자 $H_2O$와 MeOH 추출물 모두 제주산과 중국산 비자 보다 2배 높은 수치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중국산 비자보다 한국산 비자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PPH 라디칼과 $ONOO^-$ 소거 활성 효과에서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한국산 비자 $H_2O$와 MeOH 추출물이 아주 좋은 소거 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ONOO^-$ 소거 활성에서 한국산 MeOH 추출물 모두 대조구인 $\text\tiny{L}$-penicillamine 보다 좋은 강력한 소거 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C-MS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동정한 결과, 한국산 비자에서는 총 8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중국산 비자에서는 총 5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모든 비자의 가장 높은 피크인 methyl linoleate와 methyl oleate의 피크 면적이 한국산과 중국산의 함량과 그 비율이 서로 반대임을 알 수 있었다. 동정된 화합물 중에서 7종의 성분을 정량 분석한 결과에서는 한국산과 중국산 모두 2-monopalmitin 함량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1,2-heptanediol과 dimethyl suberate는 중국산 비자에서만 검출되었고 제주산과 전남산 비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Dimethyl azelate는 중국산 비자에서 한국산 비자 보다 높게 검출되었고 제주산 비자에서는 소량, 전남산 비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한국산과 중국산 비자의 뚜렷한 항산화 활성과 유효성분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비자가 산지별 그리고 용매별에 따라 다양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자원으로 판단되며,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기능성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비자나무 추출물의 항당뇨 활성물질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Antidiabetic Compounds from Extract of Torreya nucifera)

  • 김지원;김동섭;이화신;박보배;유선녕;황유림;김상헌;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0
    • /
    • 2022
  • 비자나무는 한반도 남부지역과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으며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전통적으로 구충 빛 변비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었다. 그러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어 왔지만 항당뇨 활성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새로운 당뇨 치료제로서 천연물은 독성의 염려가 낮고 매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약물에 대한 안전성의 장점이 있다. 식용 및 한방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비자나무는 지금까지 살충 및 항균성에 대해 보고되어 왔으나 항당뇨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자나무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를 조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비자나무의 과육과 종자를 메탄올로 각각 추출한 후, 항당뇨 활성과 관련된 α-glucosidase와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에 대한 저해활성을 포함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자나무의 종자 추출물에서 항당뇨활성을 나타내는 α-glucosidase와 PTP1B 효소에 대한 억제 효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과육에 비해 종자 추출물이 각각 14.5배, 4.3배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비자나무의 과육 추출물의 pH와 열 안정성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로, 활성 물질은 산, 알카리 조건과 고온의 조건에서 안정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비자 과육의 메탄올 추출물을 한외 여과(ultrafiltration)한 결과, 항당뇨 활성물질은 분자량이 300 kDa 이상에 해당하였고 Diaion HP-20 수지에 대한 흡착능을 조사한 결과, 50-100% 메탄올 조건에서 항당뇨 활성물질이 용출되었다. 따라서 비자나무 종자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buthanol 추출, 한외 여과, Diaion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비자나무의 항당뇨 활성 물질의 분리, 정제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비자나무 종자 추출물의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개선 효과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천연물 유래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수침목재의 재질분석에 관한 연구-미시형태적 변화를 중심으로 (MICROMORPHOLOGICAL ASPECTS OF HARDWOODS DETERIORATED IN THE SEA-WATER FROM WRECKED SHIP'S TIMER)

  • 김윤수;최광남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7호
    • /
    • pp.246-264
    • /
    • 1986
  • Micoromorphological alterations of sea-waterlogged woods by marinemicro-oragnisms were investigated by the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s a part of serial investigations on the shipwrecked materials which were excavated at the sea shore of Wando-Kun, southern coast of Korea in 1984.Deterioration of sea-waterlogged wood by marine microorganisms were varied with the wood species. The degree of deterioration even in the same wood species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rt where it was in mud of sea-water. However, the resistance of Torreya nucifera over the marine organisms was marked. Deterioration in cell wall may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inning of cell wall, separation of secondary wall from compound middle lamella and tunneling of cell wall. Thinning and separation were frequently observed, while the tunneling was rare. Among the wood cell elements of hardwoods, vessel wall was the least deteriorated. The difference degree of degradation of cell wall constituents and the accumulation of inorganic substances in cell lumen indicate that som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were discussed. The kinds of marine microorganisms invading and/or inhabiting in wrecked wooden ship were also discussed.

  • PDF

한국산 깍지벌레과 Pupillarial종에 대한 보고 (노린재목, 깍지벌레과) (Notes on Pupillarial Species of Armored Scale Insects from Korea (Hemiptera: Diaspididae))

  • 서수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3-77
    • /
    • 2012
  • 깍지벌레과 중 pupillarial류의 2종, $Cryptoparlatorea$ $leucaspis$ Lindinger(신칭: 검은점깍지벌레) 및 $Fiorinia$ $japonica$ Kuwana(신칭: 잎깍지벌레)를 삼나무와 비자나무에서 처음으로 국내분포 종으로 보고하고, 한국산 깍지벌레과의 pupillarial류의 종 동정에 필요한 검색표, 종 특징 및 사진자료를 함께 기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