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rreya forest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7초

제주도 비자림에서의 세포성 점균의 분포 및 비자열매 추출액의 성장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the Effect of Torreya Fruit Extract on Cellular Slime Molds in Torreya Forest of Cheju Island)

  • 최선영;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7-194
    • /
    • 1996
  • Dictyostelid cellular slime molds were isolated from soils and harks of the subtropical forest of Torreya nucifera in Cheju isl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olysphondylium pallidum,Dictyostelium purpureum, D. mucoroides, D. aureo-stipes var. aureo-stipes, D. flavidum, D. miniutum, P.violaceu m, D. monocrhasioides. D. brefeldianum, D. polvcephalum. D. areum var. areum, P. tenuissimum, D. fasciculatum. In this forest, P. pallidum and D. purpureum were occurred dominantly, and D. mucoroides and D. aureo-stipes var, aureo-stipes were the second dominant. It was distinguished that D. purpureum was much more cornmonly found than the other forests. Cellular slime molds from the barks of the tree heights of 1,3 and 5m were occured 7, 3 and 2 species respectively. Torreya fruit extract affected on the growth of D. aureo-stipes var. aureo-stipes and D. flavidum but not on D. purpureum and D. mucoroides. Key words: Cellular slime mold, Torreya forest, Torreya fruit extract.

  • PDF

한반도 비자나무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Torreya Nucifera Stand in Korea)

  • 신현철;이광수;박남창;정수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12-322
    • /
    • 2010
  • 한국에서 비자나무는 남해안 및 제주도의 온난 기후대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사찰과 향교 주변 등에서 주로 보호림으로 조성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반도의 대표적 비자나무 임분에서 식생구조분석을 실시함으로서 현재 비자나무 식생군락의 동태를 파악하고 이로부터 적절한 임분 보전대책을 수립하는데 있다. 비자나무 임분 내에서 조사된 종수는 총 148종이었으며, 교목층 임분에서 출현수종 28종, 아교목층 출현수종 38종, 그리고 관목층 출현수종 82종의 목본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비자나무 임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종은 쥐똥나무, 송악 및 마삭줄이었다. 조사지역 모든 층위에서 비자나무가 우점종 이었으나, 아교목층 및 관목층에서는 그 우점치가 다소 떨어져 임분 쇠퇴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사실은 교목층 임분의 수관발달 및 아교목층에서의 생장편의에 의한 결과이다. 비자나무림의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천연발아에 의해 조성된 임분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조사된 우리나라 비자나무림에 대한 건강한 임분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도태 간벌시업을 응용함으로서 과도한 수관경쟁의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바이다.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보존·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for Natural Monument(No.374) Pyeongdae-ri Torreya nucifera forest of Jeju)

  • 이원호;김동현;김재웅;오해성;최병기;이종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3-106
    • /
    • 2014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입지환경, 식생자원과 이용 및 관리현황을 조사하고, 현재 적용되는 관리구역에 대한 등급을 설정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은 토지이용형태가 농업지역으로 변화하면서 대상지 주변지역으로의 개발압력에 의한 영향이 우려되며, 비자나무 숲 내 곶자왈지대는 종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요소로 원형보존의 관리계획 설정 및 지형의 변화를 야기하는 개발행위는 배제되어야 한다. 둘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소산식물상은 총 91과 263속 353종 41변종 8품종의 40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 중 환경부 지정 법정 멸종위기식물종 중 멸종위기식물 I II급에 해당하는 식물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나 현재의 서식처 변화 및 종의 병해, 불법 남획 등에 따른 개체 소실에 의해 비자나무 숲 내 종의 절멸 위험도 존재하므로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관리방안 설정 시 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대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비자나무가 상관을 대표하는 식생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노거수 위주의 영속적 관리와 보존전략은 빈약한 연령구조를 야기하였으며, 일부 구역의 인위적 관리에 의한 숲의 건조화, 자연적 천이에 의한 비자나무의 입지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수목밀도의 조절 및 후계목 증식 등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이용에 따른 탐방로의 훼손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화산송이길의 훼손 및 분담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화산송이의 단순한 보충보다는 현행 탐방로 외에 추가적인 관광루트 개발을 통한 분담율 완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섯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관광요소 중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식물적 요소는 이용에 관한 압력이 민감하게 작용하고, 비영속적인 특성상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추가적 관광요소 개발과 동시에 현재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요소를 적극 활용하는 등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보호강도별 중요도에 따라 I등급 지역은 존속개체군의 유지와 서식처의 훼손을 방지하고, II등급 지역은 연차별 숲의 재생을 위주로 관리방향을 설정하며, III등급 지역은 비자나무 시범림이나 후계목 증식을 위한 지역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IV등급 지역은 고유 식생의 교란이 많이 발생하는 곳으로 부분별 휴식년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V등급 지역은 비자나무 숲의 관광활용을 위한 서비스 공간 적지에 속한다. 상이한 등급의 지역 인접에 따른 가장자리효과에 대한 방안으로는 상대적으로 등급이 낮은 곳에 환경간섭을 피하기 위한 버퍼존의 설치와 주기적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벼자나무 잎의 추출성분 (Extractives from the Needles of Torreya)

  • 김진규;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53-59
    • /
    • 2001
  • 비자나무 잎을 아세톤-물의 혼합용액으로 추출하고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및 물 분획으로 분류하여 동결건조하고 분말상 화합물로 조제하였다. 그 중에서 ethylacetate 용성 추출물을 메탄올-물 및 에탄올-헥산(n-hexane)의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Sephadex LH-20 칼럼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비자나무 잎의 추출성분은 대부분 (+)-catechin, (-)-epicatechin, (+)-gallocatechin 및 (-)-epigallocatechin과 같은 flavan 화합물과 3'-O-methyl-(+)-catechin 및 3'-O-methyl-(-)-epicatechin과 같은 flavan의 methyl ether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 이외에 benzoic acid계 화합물인 protocatechuic acid도 단리 되었다. 단리된 화합물은 $^1H$- 및 $^{13}C$-NMR, NOE와 CI-MS 분석에 의해 화학구조를 구명하였다.

  • PDF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old-growth forest of dioecious tree Torreya nucifera in rocky Gotjawal terrain of Jeju Island, South Korea

  • Shin, Sookyung;Lee, Sang Gil;Kang, Hyeso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8호
    • /
    • pp.223-234
    • /
    • 2017
  • Background: Spatial structure of plants in a population reflects complex interactions of ecological and evolutionary processes. For dioecious plants, differences in reproduction cost between sexes and sizes might affect their spatial distribution. Abiotic heterogeneity may also affect adaptation activities, and result in a unique spatial structure of the population. Thus, we examined sex- and size-related spatial distributions of old-growth forest of dioecious tree Torreya nucifera in extremely heterogeneous Gotjawal terrain of Jeju Island, South Korea. Methods: We generated a database of location, sex, and size (DBH) of T. nucifera trees for each quadrat ($160{\times}300m$) in each of the three sites previously defined (quadrat A, B, C in Site I, II, and III, respectively). T. nucifera trees were categorized into eight groups based on sex (males vs. females), size (small vs. large trees), and sex by size (small vs. large males, and small vs. large females) for spatial point pattern analysis. Univariate and bivariate spatial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Univariate spatial analysis showed that spatial patterns of T. nucifera trees differed among the three quadrats. In quadrat A, individual trees showed random distribution at all scales regardless of sex and size groups. When assessing univariate patterns for sex by size groups in quadrat B, small males and small females were distributed randomly at all scales whereas large males and large females were clumped. All groups in quadrat C were clustered at short distances but the pattern changed as distance was increased. Bivariate spatial analyses test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x and size groups showed that spatial segregation occurred only in quadrat C. Males and females were spatially independent at all scales. However, after controlling for size, males and females were spatially separated. Conclusions: Diverse spatial patterns of T. nucifera trees across the three sites within the Torreya Forest imply that adaptive explanations are not sufficient for understanding spatial structure in this old-growth forest. If so, the role of Gotjawal terrain in terms of creating extremely diverse microhabitats and subsequently stochastic processes of survival and mortality of trees, both of which ultimately determine spatial patterns, needs to be further examined.

나주 불회사 비자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보전관리방안 (Conservation Management Strategies of Protected Areas for Genetic Resources, Torreya nucifera Forest of Bulhoesa(Temple) in Naju)

  • 정세명;진승현;김민희;백경수;김종영;안영상;안기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8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비자림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건강진단을 통해 나주 불회사 비자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A유형은 현 수준을 유지하면서 경쟁목이나 피해목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제거하거나 치료하는 소극적인 관리, B유형은 토양의 산성화를 개선하고 조릿대, 왕대와 굴참나무, 개서어나무 등의 낙엽활엽수들을 제거하여 비자림을 확대 육성하는 적극적인 관리, C유형은 편백림 안에서 토양의 산성화 개선과 기존 비자림 중심의 소극적 관리, D유형은 토양산성화 개선과 비자 치수를 보호 육성하기 위하여 경쟁관계에 있는 식생을 제거하는 적극적 관리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해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IUCN 보호지역관리 카테고리에 따라 카테고리 III(자연기념물) 또는 IV(종서식지 보호구역)로 등록 관리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비자나무 집단(集團)에서의 I-SSR 변이체(變異體)의 다양성(多樣性) (Diversity of I-SSR Variants in the Populations of Torreya nucifera)

  • 홍용표;조경진;김용률;신은명;표선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167-172
    • /
    • 2000
  • 국내 5개 지역에서 채집한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Siev. et Zucc.) 95개체를 대상으로 I-SSR 표지자를 분석하였다. 총 62개의 I-SSR 증폭산물(增幅産物)이 관찰되었으며, 그 중 7개의 증폭산물(增幅産物)은 분석된 95개 개체에서 단형성(單形性)이었다. 관찰된 전체 I-SSR 증폭산물(增幅産物)을 통합(統合)하여 분석한 결과 개체목에 대한 DNA지방판별(指放判別)이 가능하였다. 대부분의 유전다양성(遺傳多樣性)이 임분(林分)내의 개체목 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90.65%), 전체 5개 임분(林分)에서 유사한 수준의 유전다양성(遺傳多樣性)을 보였다. 집단간의 유전적(遺傳的) 분화(分化)정도는 심하지 않았다(${\phi}_{ST}=9.35%$). UPGMA법에 의한 유집분석(類集分析) 결과 각 집단의 유전적(遺傳的) 유연관계(類緣關係)는 임분(林分)의 지리적(地理的) 분포양상(分布樣相)과 일치(一致)하지 않았으며, 각 교점(交點)의 형성(形成)에 있어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고 따라서 전체 집단들이 유전적(遺傳的)으로 크게 분화(分化)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내장산 남부지역의 삼림식생 (Forest Vegetation of Southern Area of Mt. Naejang National Park, Korea)

  • 길봉섭;김정언;김영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3호
    • /
    • pp.231-240
    • /
    • 2000
  • 내장산 국립공원 남부지역의 삼림식생을 분류하고 그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이 지역에는 현재 느티나무, 비자나무, 갈참나무,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와 소나무군락 등이 분포하고 있다. 신갈나무군락은 해발 600 m 이상에 분포하고, 해발 250 m∼600 m 사이의 건조한 등성이에는 굴참나무 군락이 많으나 비교적 습한 사면에는 졸참나무군락이 분포하며, 해발 200 m∼400 m 사이의 습한 지소에는 개서어나무군락이 그리고 비교적 건조한 지소에는 서어나무군락이 분포한다. 또 계곡 주변의 습한 사면에는 갈참나무군락이 그리고 전석지에는 느티나무군락이 분포하고, 백양사 주변에는 비자나무가 큰 군락을 이루고 있다. 소나무군락은 산의 아랫부분과 메마른 등성이를 따라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종조성적 특징에 따른 군락의 유형 분류와 분포 그리고 상관에 의하여 이 지역의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 PDF

제주도 식물군락의 생태학적 연구 -비자림 및 문주란 자생지를 중심으로- (Ecological studies on plant communities of Quelpart Island -The communities of the Crinum maritimum and Torreya nucifera-)

  • 차종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3권1호
    • /
    • pp.13-24
    • /
    • 1970
  • This investigation was one of the series of ecological studies on the plant communities of Quelpart Island which was held in 1969. It was aimed at studying the ground vegetation of Torreya nucifera and the soil properties of the ground in which it grows. Observaton of the flora in a place where wild growth of Crinum maritimum, soil properties and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n a place where wild growth occurs, were also made. 1) A few kinds which have important values among the ground vegetation fo Torreya nucifera forest are Liniope graminifolia, Convallaria keiskei, Sasaquelpaertensis, Carex kingiana, Pteridium aquilinum, Pyrola japonica, Hedera tobleri, etc. 2) While the studies of 25 Quadrats were being held, 29 species in A plot, 30 species in B plot, and 26 species in C plot have been found. 3) The kind which has the highest important value among the species located in naked plot(outside of Torreya nucifera forest) is Zoysia japonica and 18 other kinds were found. 4) The soil fertility through all depths are found higher in the forest soil than in that of open places. 5) P2O5, K, and total exchangeable bases etc. have shown the difference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depth and generally had lower value as much as it goes down. 6) The content of N was a lot higher than any other forest soil and P2O5, K and total exchangeable bases seemed to be a little lower. 7) The overall flora of Todo consists of 71 species (9 species of wood plant and 62 species of herbs) added 28 kinds of non-reported species. 8) Themineral contents are the highest at a place of wind growth of Crinum maritimum which has much organic matter. The subsoil of this place is more fertile than surface soil. 9) The soil of Todo which is sandy soil, consists of shellfish shell and quartz, and has low fertility and alkali. 10) In the total occurrences of micro-organisms, bacteria was the greatest in number followed by actinomycete and fungi, in that order. 11) A survey of the soil depth and the ecological distributional pattern of micro-organismsm revealed that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is the greatest on the surface, gradually de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depth. 12) It was found that a comparatively greater number of micro-organisms occurred when the soil showed an adequate increase in water content.

  • PDF

海南半島의 常綠樹林의 種組成과 分布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Species and Distribution of Evergreen Forest in Haenam Peninsula , Korea)

  • Kim, Chul-Soo;Oh, Jang-G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3호
    • /
    • pp.243-255
    • /
    • 1991
  • The vegetation of haenam peninsula(126 30e.l. and 34 30n.l ) was investigated from July, 1990 to 1991. the units of vegetatin were classified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of broun- blanquet'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sasa borealis-quercus acuta, cinnamomum japonicum, camellia japonica, rhododendron mucronulatum-pinus thunbergii, pinus densiflora community, torreya nucifera, chamaecyparis obtusa afforestatio, and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in 1 : 50,00 scai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