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soil Recycling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6초

산지개발사업에서 표토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Topsoil Management at Forest Development Projects)

  • 김원태;조용현;이종문;윤용한;강희경;박봉주;윤택승;장광은;신경준;어양준;곽무영;송홍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25
    • /
    • 2014
  •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actual situations of managing topsoil at forest development sites based on their types, in pursuit of conservation and effective use of national land. To do this, I selected target areas by deducting the typical types of forest development and analyzed the condition of soil at the target areas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In addition to this, I interviewed associated construction staffs to conduct study on present situations of topsoil management and find out its problems. I also surveyed of relevant experts, with the intention of seeking solu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shown that firstly, experts preferred collecting and recycling of topsoil as methods of improvement of soil conditions for plant growth. Secondly, the importance of topsoil has been well noticed and there were few construction sites using the methods. However, working and economical problems have disturbed carrying out these solutions. Thirdly, after constructions, organic matter and total-nitrogen content decreased in general which were necessary for plant growth in terms of soil conditions.

비탈면 녹화용(綠化用) 재료(材料)로서 산림(山林) 표층토(表層土)의 적정(滴定) 채취시기(採取時期) 및 이용방법(利用方法) (The Optimal Collecting Time and Methods of Utilization of Forest Topsoil as Revegetation Materials of Slopes)

  • 김경훈;우보명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3-61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llecting time and methods of utilization of forest topsoil as a seed-bank source for revegetation materials of slopes. From April to November of 1998, nursery seedbeds in the greenhou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seeded with mixtures of forest topsoil and seeds. The nursery seedbeds were trea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epths of forest topsoil and seeding amounts. Seasonal experiments with $3{\times}3$ factorial design were conducted in April, June and August. More than 40 seedlings/$m^2$ were observed as the naturally-emerged species in the plot, treated with the top-layer forest soil within the depth of 10cm. However, it was found, as seeding more seeds, the number of appearance of the naturally-emerged species reduced because of the heavy competition between the seeded and the naturally-emerg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recommended that seeding amount should be no more than 1,000 seeds/$m^2$ to avoid the severe competition.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 forest topsoil collected in spring(April) is better than that collected in summer. The more species of the naturally-emerged were found in the forest topsoil collected in spring. Forest-topsoil-mixed-materials as a seed-bank source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the plant diversity and productivity. Effective use of forest topsoil as a seed-bank source may become a valuable tool in future restoration of disturbed slopes for promoting plant community diversity and recycling of spoiled-soils from the slopes.

  • PDF

산지개발지역과 비개발지역 표토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opsoil from Forest Development and Non-Development Area)

  • 김원태;윤용한;조용현;강희경;박봉주;신경준;어양준;윤택승;장광은;곽무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389-1394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opsoil from forest development area.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opsoil from forest development area shown on the average loamy sand~sandy clay loam in soil texture, 5.3~7.1 in pH, 0.02~0.18 dS/m in EC, 0.7~1.8% in OM, 0.03~0.11% in T-N, 11~15 $cmol^+/kg$ in CEC, 0.02~0.04 $cmol^+/kg$ in $K^+$, 4.51~8.18 $cmol^+/kg$ in $Ca^{2+}$, 0.93~2.77 $cmol^+/kg$ in $Mg^{2+}$, 6~49 mg/kg in available phosphate. And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opsoil from forest non-development area shown on the average sandy loam~sandy clay loam in soil texture, 4.4~5.3 in pH, 0.03~0.05 dS/m in EC, 3.1~4.6% in OM, 0.13~0.23% in T-N, 14~18 $cmol^+/kg$ in CEC, 0.02~0.04 $cmol^+/kg$ in $K^+$, 0.78~3.82 $cmol^+/kg$ in $Ca^{2+}$, 0.29~1.31 $cmol^+/kg$ in $Mg^{2+}$, 3~31 mg/kg in Av. $P_2O_5$. On the other hand, forest development area of topsoil sand content higher than 8~18% sand content than the forest non-development area. This trend is thought to be the absence of topsoil management development projects. Consequently, the results suggested a high potential of recycling of the topsoil from forest non-development area for planting soil. Therefore, in construction of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opsoil from forest non-development area is very important.

하천복원현장에서 표토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opsoil Management at River Restoration Projects)

  • 조용현;이종문;김원태;윤용한;강희경;박봉주;윤택승;장광은;신경준;어양준;곽무영;송홍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4-43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표토보존을 위해 국내 개발분야 중 주요한 사례에 해당하는 하천개발분야에서 표토관리의 실태를 조사 및 분석하는 데 있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하천개발과정에서 표토관리의 실태와 문제를 파악하였다. 이를 분명히 하기 위해 국내 하천개선사업 중 환경부의 감독을 받는 생태하천복원사업으로서 최근 완료된 하천을 중심으로 개발 전과 개발 후의 토양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들은 식물생장을 위해 최선의 토양관리 및 개선방법으로서 표토의 수거 및 재활용을 선호하였다. 둘째, 경제적 문제와 시공의 불편 때문에 실제 표토의 수거 및 재활용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셋째, 개발 후 식물생장에 필요한 유기물, 총질소 등 토양조건 요인들이 전반적으로 감소한다.

Impact of Topsoil Stockpiling Methods on the Viability of Seed Banks

  • Yi, Myung-Ho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907-923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stockpiling methods for revegetation by comparing the germination status of seed banks before and after preservation for 2 years. Soil temperature in stockpiled topsoil was higher in open treatment and at 1.5 m, whereas soil water content was maintained at lower levels (14.06-19.08%),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seed banks in stockpiled topsoil had 48 species and 1,559 individuals, among which perennials showed the highest number in terms of life forms, whereas Compositae and Gramineae were dominant in terms of families. Based on seed bank type, persistent seed banks had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while transient seed banks had the highest number of individuals. By stockpiling period,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seed bank started to increase after 24 months, while the number of individuals began increasing after 12 months and exceeded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24 months. Regarding the treatment of stockpiling method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in open treatment were close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When analyzed by height,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higher at 0 m, but still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 showed that the optimal combination was obtained in open treatment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increased with the lengthening of the stockpiling period.

석탄바닥재 처리가 골프장 잔디식재 사질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Effects of Bottom Ash on the Turfgrass Growth Media of Sandy Topsoil in Golf Course)

  • 이주영;최희열;양재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9-204
    • /
    • 2010
  • 화력발전 후 발생되는 석탄회의 발생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석탄바닥재의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 재활용이 잘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석 탄바닥재와 모래의 혼합비율을 달리한 상토로 lysimeter를 제작한 후에 잔디를 재배하고 용탈실험을 수행해 석탄바닥재가 골프장 사질토양의 토양개량재로 적합한지 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석탄바닥재와 모래를 일정비율(석탄바닥재 0, 10, 20, 30, 50%)로 혼합하여 조성한 lysimeter에 일정량의 관수를 실시하고 용탈수를 채취한 결과 석탄바닥재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수량은 유의성있게 감소해 석탄바닥재 처리가 모래토양의 보수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비 후 3일 간격으로 용탈수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석탄바닥재의 처리 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수의 pH는 증가하였으나, 관수량에 대한 용탈수량, $NO_3$-N, $NH_4$-N 및 K의 용탈량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용탈수의 EC는 석탄바닥재의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초기부터 끝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결과는 석탄바닥재가 사질토양의 보수 보비력 및 산성토양을 개량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 한다. 그러나 석탄바닥재 pH가 9.03의 알칼리성이고,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투수성이 불량해지고 토양에서 $PO_4$-P의 흡착량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석탄바닥재를모래에 20% 이하의 적정 비율로 혼합하면 보수 보비력이 낮은 골프코스의 사질토양을 개량할 수 있는 토양개량재로 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공성규산칼슘계 화합물을 이용한 원예용 상토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Media Using Macroporous Calcium-Silicate Mineral)

  • 이종진;장기운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2호
    • /
    • pp.101-107
    • /
    • 2001
  • 본 연구는 다공성규산칼숨계화합물(CellCaSi) 의 토양개량제 및 원예용상토 원료로서의 평가와 농업적 효용가능성에 대하여 검토되었다. 다양한 입자크기인 1~3.35mm 범위로 구성된 CellCaSi의 용적밀도는 약 $0.42g/cm^3$였다. 또한 최대공극은 81.4%로 나타났다. 원예용 상토에 CellCaSi의 적정혼합비를 구하기 위하여 배추, 상추의 발아율(Germination Index; G.I)을 조사하였으며, CellCaSi가 10% 첨가된 상토의 G.I.가 배추와 상추에서 각각 94.1%, 64.6%로 가장 높은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배추, 상추의 작물생육조사에서는 공시작물의 생중량을 비교할 때 CellCaSi의 첨가비율이 10%와 20%에서 가장 우위를 나타냈다. CellCaSi의 흡착능 실험에서는 화학비료를 N : P : K = 18 : 18 : 18의 비로 처리하였으며, N. P. K의 처리된 성분이 증가할수록 CellCaSi에 흡착된 양도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배추와 상추의 작물생육조건에서 가장 적절한 처리는 Fer-1, 그리고 Fer-05였다.

  • PDF

낙동강 유역의 지속적인 이용을 위한 미래예측 (Simulating the Future of Nakdong River Basin for the Sustainable Use)

  • 김진이;이석모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3-258
    • /
    • 2001
  • A macroeconomic minimodel was simulatedto suggest the public for sustainable us of Nakdong River Basin. The minimodel for the simulation show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natural environment and economic activity. Topsoil, water, economic assets, and money stock are plotted for 300 years, beginning with 1996 in each simulation. The computer simulation runs suggest that the Nakdong River Basin system in the near future may strongly be influenced by the favorable availability of outside resources, while the economic assets and money stock may be declined by indigenous environmental stock depletion. The simulation run made under the constant decrease in systems purchased inputs with investment ratio of developed country and for sustainable use. The results of simulation shows the recover of natural environment and decrease of economic activity under these condition. Therefore, the economic structure of Nakdong River Basin should be transformed from the present industrial structure to the social-economic structure based on an ecological-recycling concept which depend on renewable resources rather than industrial structural which depend on outside resources.

  • PDF

산림생태계 훼손 유형별 표토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opsoil from Forest Ecosystems Damage patterns)

  • 김원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23-92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산림생태계 훼손 유형별 표토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와 식재기반 조성 재료로서의 활용 여부를 평가하였다. 표토는 산림생태계 훼손 유형별 훼손지역 12개 지역, 36개 지점과 각 훼손지 주변에 위치한 자연지역 12개 지역, 36개 지점, 총 72개 지점에서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지역의 토성은 식양토~사양토, 용적밀도는 $0.95{\sim}1.10Mg/m^3$, 고상률은 $35.7{\sim}44.0m^3/m^3$, 공극률은 $56.0{\sim}64.3m^3/m^3$, 내수성입단율은 8.4~35.8%, 토양경도는 5~13 mm, 토양산도는 5.3~6.1, 전기전도도는 0.14~0.65 dS/m, 전질소량은 0.28~0.42%, 양이온치환용량은 $14{\sim}22cmol^+/kg$, 치환성칼륨함량은 $0.15{\sim}0.31cmol^+/kg$, 치환성칼슘함량은 $2.07{\sim}2.84cmol^+/kg$, 치환성마그네슘함량은 $0.45{\sim}1.97cmol^+/kg$, 유효인산함량은 17~96 mg/kg, 유기물함량은 3.2~5.6%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훼손지역의 토성은 식양토~양질사토, 용적밀도는 $1.54{\sim}1.75Mg/m^3$, 고상률은 $52.8{\sim}58.0m^3/m^3$, 공극률은 $42.0{\sim}47.2m^3/m^3$, 내수성입단율은 4.2~22.5%, 토양경도는 13~25 mm, 토양산도는 4.8~5.5, 전기전도도는 0.13~0.62 dS/m, 전질소량은 0.02~0.12%, 양이온치환용량은 $5{\sim}15cmol^+/kg$, 치환성칼륨함량은 $0.11{\sim}0.18cmol^+/kg$, 치환성칼슘함량은 $0.45{\sim}2.36cmol^+/kg$, 치환성마그네슘함량은 $0.39{\sim}0.96cmol^+/kg$, 유효인산함량은 15~257 mg/kg, 유기물함량은 0.4~2.2%의 범위를 나타냈다. 자연지역과 훼손지역 표토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를 통해 훼손지역 표토가 자연지역 표토에 비해 이화학적 특성이 악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향후 표토 재활용을 위한 보전 및 관리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기농 실천 논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Properties of Organically Practiced Paddy Soils)

  • 홍승길;박광래;김진호;안민실;이초롱;김민기;김석철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4호
    • /
    • pp.69-76
    • /
    • 2016
  • 최적의 유기농경지 토양 관리 기준 및 양분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해 유기농 인증을 받은 국내 75개 선도 농가를 선정하고, 논 토양에서 이앙 전에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기농 토양은 평균적으로 pH 6.2, 유기물 $25.6mg\;kg^{-1}$, 유효 인산 $88.4mg\;kg^{-1}$이나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유기농과 관행농을 포함한 전국 규모 토양조사 결과에 비해 pH는 높게 나타났고, 유효 인산은 낮게 나타났으며 유기물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한편 재배년수에 따라 토양 pH와 공극률은 높아지고 있었으며, EC와 유효인산, 용적밀도, 토양 경도는 낮아지고 있었으며, 유기물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용적밀도는 표토($R^2=-0.5424$)와 심토($R^2=-0.6429$) 모두 유기물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조사 결과 유기물과 유효 인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토양 이화학성 인자들에서 토양의 질이 향상되고 있어, 향후 유기물 관리 대책 수립과 유기농업자재로 사용가능한 인산 자재의 발굴이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