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ping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36초

적심방법이 닥풀[Hibiscus manihot L.]의 주요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pping Methods on Yield and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in Hibiscus manihot L.)

  • 김상곤;김철우;정동희;권병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56-261
    • /
    • 1994
  • 닥풀의 재래종(칠리종)을 계통분리하여 얻은 34계통중 초형이 다른 대표적인 단경, 중경 및 장경의 3개계통에 대하여 적심방법에 따른 식물체 각 부위의 생육 및 수량의 변이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심처리(개화직전)때의 초형별 생육특성은 경장은 단경계통 24cm, 중경 37cm, 장경계통이 80cm로서 그 차이가 컸으며 개화기는 단경계통의 8월3일에 비하여 경장이 길수록 2∼3일 늦었고 꽃봉우리수도 단경계통의 5개에 비하여 중경 19, 장경 24개로 경장이 길수록 많았으며 분지수는 4∼5개, 주경절수는 10개 내외로 큰 차이가 없었다. 2. 닥풀의 주 이용부위인 생근수량은 초형별로는 장경일수록 많으며 기타 경중 및 삭중과 각 부위의 건물수량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3. 적심방법에 따른 생근수량은 어느 초형에서나 주경과 분지를 함께 적심한 구에서 가장 증수되었으며 화뢰적제구에서도 많은 증수를 보았으나 주경적심의 효과는 거의 없었다. 전체평균에서는 무처리구의 459kg/10a(100)에 비하여 주경 및 분지를 함께 적심한 경우 102%, 화뢰적제에서도 66%의 증수를 보였다. 4. 생체의 구성비율은 같은 초형에서는 적심방법 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초형간에 있어서는 지상생육량이 적은 단경계통의 생근중비율(전중대)이 약 40%로 가장 높고 생육량이 많은 중경, 장경계통일수록 낮은 경향이었다. 5. 뿌리의 건조비율(건근중/생근중)은 단경계통 이 31.6%인데 비하여 중경 38.1%, 장경계통은 40.2%로서 생근수량이 많았던 장경계통일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 PDF

Ethrel의 농도, 처리시기 및 질소농도별 시비의 잎담배 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rel on Tobacco-Leaf Maturity -Influences by Different Levels of the Chemical, Soil Nitrogen and Time of the Chemical Application-)

  • 정병화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1호
    • /
    • pp.15-21
    • /
    • 1974
  • The most commonly grown economical and flue-cured tobacco cultivar Yellow Special A was used in pot-culture tests in order to study Ethrel (2-chloroethyl phosponic acid) effects on accelerating maturity of tobacco leaves in relation to the most adequate level of the chemical useful for field growing, nitrogen level in soil for the most pronounced response, and the most suitable spray period during the growth stages of pre-, post- and topping periods. The following conclusions, thus, were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ies; 1. 500ppm Ethrel spray was reconfirmed to be adequate in the practical applications, although the extent of yellow-ripening of tobacco leaves was increased as the Ethrel level increased. The highest leevel treated resulted in causing chemically damaged lesions on leaves and early defoliation. 2. Ethrel-treated leaves showed deeper yellowish tinge to them than those without treatment, while different levels of the chemcial had less influence on the tinge. 3. An adequate level of nitrogen supply to plants favored the Ethrel response, whereas either very low or high level of nitrogen in the soil lowered the chemical effect on accelerating the yellow-ripening. When carbohydrates versus total nitrogen ratio became relatively high, the condition brought out some outstanding Ethrel effects. 4. Chlorophyll level of leaves increased as soil applications of nitrogen level increased, and that also increased carotenoid level of the tobacco leaves. Ethrel-treated leaves showed deeper orange tinge than those without treatment, while the highest level of nitrogen application showed the deepest orange tinge to tobacco leaves. 5. Pre-topping treatment (12 days before topping and flowering) resulted in almost no Ethrel response, and that treatment right on the day of topping, showed response of yellow-leaf ripening at nearly bottom-half leaves of a tobacco plant. The post-topping treatment (12 days after topping) made plants showing full response of Ethrel from bottom to the top leaves of tobacco plant in accelerating the leaf maturity. 6. The extent of Ethrel responses on accelerating yellow-ripening of tobacco leaves was discussed for the modifying influences brought about by certain environmental factors. Discussions were also made about the possible practical applications (particularly for pre-rice planting) and quality difference that may be caused by such growth environments.

  • PDF

연초의 적심방법이 품질구성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opping Method on the Quality Components of Flue-cured Tobacco)

  • 이종두;한종구;반유선;이정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3-30
    • /
    • 1988
  • 본 시험은 연초의 생육작황에 따라서 적심시기와 정도를 두어 처리하였을 때 잎담배의 품질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책상조직 및 발달은 적심시기에 따라 발뢰기>개화시>개화만기> 만기 순으로 적심정도에 따라서는 치엽 4매> 치엽 2매> 화뢰 적심 순으로 발달되었다. 2. A급작황에서는 개화만기 B급작황에서는 개화시 치엽 2매를 적심할 때 끽미에 관련있는 전당/니코틴의 비는 9.0, 9.7로 가강 양호하였으며, 방향성 물질인 석유에텐추출물을 9.9%, 8.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품질에 크게 영향하는 요인은 생태조직과 건조엽중 내용성분으로 생태조직의 구성형질들이 품질에 직접 영향하는 효과를 보면 책상조직 43.2%, 해면조직 26.5%, 조직비 17.7%, 엽후 6.7%, 세포간극율 3.1 %, 엽형지수 2.8% 순이며, 내용성분 형질은 니코틴 40.6%, 전당/니코틴 35.7%, 전당 10.0%, 전질소/니코틴 7.0% 전질소 4.6%, 석유 에텔추출물 2.1% 순으로 품질에 영향을 미쳤다. 4. 양질엽 생산을 위해서는 수량이 10a당 250∼280kg 생산되는 A급작황에서는 개화만기에 치엽 2매 적심을, 200kg 내외 생산되는 B급작황에서는 개화시 치엽 2매를 붙여 적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rust topping 양등심 스테이크 관능적 품질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ensory Quality Features of Lamb Fillet Steaks with Crust Topping)

  • 서민석;유승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5-306
    • /
    • 2011
  • 본 연구는 4 종류{Mustard, herb & garlic, nuts, mushroom)의 crust를 제조하여 양등심 스테이크 위에 topping, 조리를 완성한 다음 관능검사를 실시 우수 시료를 선별하는 예비 실험을 하였다. 선별된 시료들을 1. Blank, 2. EC1(MU3), 3. EC2(HG2), 4. EC3(NC2), 5. EC4(MC3)로 명명한 다음, 다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어떠한 재료로 만든 crust가 가장 우수한 선호도를 가졌는지를 찾았다. 종속변수를 종합해 보면 crust를 topping한 4종류 시료가 대조군 Blank 보다 매우 우수한 수치를 나타내어 양등심 스테이크 요리에 crust가 곁들여지는 방법이 매우 효과적임을 말해준다. 그 중에서도 parsley 8g, rosemary 3g, basil 4g, olive oil 50g을 기본 함량으로 하여 빵가루 70% (115.5g)와 마늘 찹 30%(49.5.)를 함께 mixed 하여 제조 한 HG2의 시료가 최우수 crust로 평가 되었다.

  • PDF

Half PC 슬래브의 건조수축 거동 예측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diction of Drying Shrinkage Behavior of Half PC slab)

  • 서태석;최훈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1-37
    • /
    • 2017
  • 최근에는 공사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데크플레이트 외에 half PC 슬래브의 사용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PC 슬래브 위에 후타설되는 topping concrete 의 건조수축 변형이 PC 슬래브에 의해 구속을 받게 되므로 topping concrete 에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half PC 슬래브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내구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건조수축에 의한 half PC 슬래브의 거동을 사전에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half PC 슬래브의 수축거동 예측에 관한 연구결과가 없는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half PC 슬래브를 대상으로 건조수축거동을 관찰하였으며, 크리프특성을 고려한 증분법에 의한 수축거동을 예측한 후 실측값과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건조수축의 구속작용에 의해 half PC 슬래브에 발생하는 인장변형률은 구속률 개념과 증분법을 적용하여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버어리종 잎담배 순지르기 시기와 수확시기에 따른 질소화합물의 변화 (Changes of Nitrogenous Compound According to the Topping Stage and Harvesting Time in Burley Tobacco(Nicotiana tobacum L.))

  • 장수원;김재현;박창진;김윤하;이인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46-150
    • /
    • 2011
  • 버어리종 잎담배 질소화합물 저감 및 이용성 향상을 위해 순지르기 시기(발뢰기, 개화시, 개화기 순지르기)와 수확시기 (미숙엽, 적숙엽, 과숙엽 수확)에 따른 건조엽의 질소화합물, 총 TSNA 함량 및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화기 순지르기가 발뢰기와 개화시 순지르기에 비해 전질소, 단백태 질소 등 모든 질소화합물과 총 TSNA 함량이 낮았다. 니코틴 함량은 순지르기 시기가 늦어질수록 유의적인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에텔 추출물은 증가하였다. 2. 건조엽의 색상 중 명도는 개화기 순지르기가 가장 높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수량은 순지르기 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외관품질은 순지르기 처리 간 큰 차이가 없었다. 3.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질소화합물인 전질소, 단백태 질소, 질산태 질소, 암모니아태 질소가 감소하였고, 니코틴 함량은 증가하였다. 총 TSNA 함량도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고, 에텔추출물은 증가하였다. 4. 전조엽의 색상 종 명도와 황색도는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유의적인 수준으로 증가하였고, 적색도는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수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가격은 미숙엽 수확에 비해 적숙엽과 과숙엽 수확이 높았다. 5. 버어리종 잎담배 질소화합물 및 TSNA 함량 저감를 위해서는 개화기 순지르기 후 과숙엽 수확이 수량은 감소하나, 화학성분 개선 및 품질향상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Half PC slab의 건조수축 거동 예측 (Prediction of Drying Shrinkage Behavior of Half PC Slab)

  • 서태석;최훈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8
    • /
    • 2016
  • The use of half PC slab is increasing to shorten construction period. Because the drying shrinkage of topping concrete is restrained by PC slab, the tensile stress is generated at the topping concrete and the cracks can be occurred at the topping concrete due to drying shrink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tensile strain of half PC slab due to drying shrinkage to improve the quality of half PC slab. However, there is no studies on prediction of shrinkage behavior of half PC slab yet. Therefore, in this study, half PC slab was made, and the predictability of tensile strain generated at half PC slab due to drying shrinkage was investigated. The step by step method considering creep was used to estimate the tensile strain of half PC slab. In result, good agreement was obtained between the analytical and experimental values.

  • PDF

고구마 품종, 생육기간 및 경엽제거가 피맥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eties, Growth Duration, and Topping for Occurrence of Skin Ridge on the Tuberous Root in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am.))

  • 최규환;유영진;김효진;강찬호;정종성;송영주;김정곤;이승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194-200
    • /
    • 2014
  • 고구마 괴근의 표피에 선모양으로 돌출되어 나타나는 피맥의 발생동향을 조사하고, 경감하기 위한 시험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고구마 피맥은 표피가 줄무늬로 돌출되어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증상으로서 피맥발생은 표피층에 전분이 집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조기재배보다 보통기재배에서 발생이 많았다. 2. 고구마 품종에 따른 피맥발생은 건풍미, 연황미, 건미 등 7품종이 3%이하로 적었고, 헬씨미, 보라미는 30%이상 발생하였다. 만중은 피맥발생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고구마 피맥은 생육기간이 진전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삽식 후 120일경에 가장 높았다. 4. 고구마 삽식 후 90일의 적심비율에 따른 피맥발생율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엽면적지수 4에서 피맥발생율이 가장 적었으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고, 경엽절제비율이 높을수록 수량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청국장${\cdot}$양파 첨가 피자제조 : 2. 피자토핑재료 배합비 개발 및 피자의 영양적${\cdot}$관능적 품질평가 (2. The Development of Pizza Prepared with Chungkukjang and Onion : Formulation and Assessments of Nutrients and Sensory Quality for Chungkukjang${\cdot}$ onion Pizza)

  • 성채란;김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100호
    • /
    • pp.492-501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topping formula for pizza containing Chungkukjang and onion as the main ingredients. The maximum amount of onion was limited to 10.5%, since the pizza crust and toppings would separate if too much water dispelled from the onion tissue during baking. The Chungkukjang was substituted for Bulgoggi, a meat topping. The sensory acceptability scores for the pizza topping decreased as the amount of Chungkukjang increased from 3.6% to 7.3%, due to its unpleasant odor, but scores increased when 1.6% Kimchi powder was added to the Chungkukjang without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Thus favorable sensory quality was obtained with a topping formula containing 8.7% Chungkukjang, 10.5% onion, and 1.6% Kimchi powder. The nutrient values of the final pizza products were assessed as follows. By adding the Chungkukjang and onion, crude protein, crude lipid, crude ash, and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increased. Moreover, the calorie level of the Chungkukjang-onion pizza was 3.8%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pizza. The amounts of compound amino acids including lysine increased. The free amino acids also increased from 143.3 to 188.6 mg/100 g. The ratio of saturated fatty acids to unsaturated fatty acids changed from 1:0.71 to 1:0.81. For the consumer test, the age groups of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15-29 years old, 30-39 years old, and 40-62 years old. A positive result on acceptability of the developed pizza was obtained from most of the panelists in all age groups. Over 93% of the 119 responding subjects had purchasing intentions. An, especially, strong purchaging intention was shown in the younger age group of 15-29 year-olds, even though they had a lower preference for the Chungkukjang. Finally, an attribute of satisfaction was induced based on 'health' (79.5%) and 'flavor' (15.7%).

프리스트레스트 중공 슬래브와 현장타설된 토핑콘크리트의 수평전단성능 평가 (Evaluation of Horizontal Shear Strength of Prestressed Hollow-Core Slabs with Cast-in-Place Topping Concrete)

  • 임주혁;박민국;이득행;서수연;김강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741-749
    • /
    • 2014
  • 프리스트레스트 중공(PHC) 슬래브는 장경간에 적합하도록 경량화된 효율적인 프리캐스트 부재이며, 국내 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현장타설콘크리트와 같이 사용되는 합성슬래브 형태로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압출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PHC 슬래브 부재는 매우 낮은 슬럼프의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타설 직후에도 표면경도가 높기 때문에 계면의 거친면 처리 및 전단연결재 배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PHC slab 부재와 토핑콘크리트 사이의 합성성능을 고찰하기 위하여 다양한 계면상태를 변수로 직접전단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실험결과를 수집하여 국내 외 수평전단강도 설계기준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