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y of channelbed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3초

수목지표(樹木指標)에 의한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연대학적(年代學的) 연구(硏究) (Chronological Study on the Deposits by Indicators of Woody Plants)

  • 전근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263-272
    • /
    • 1992
  • 산지급류하천(山地急流河川)에서는 토석(土石) 등의 이동에 의해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를 형성하게 되며, 현재의 하상면(河床面)은 유역(流域)의 토석이동특성(土石移動特性)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에 조성되어 있는 천연생(天然生) 동령임분(同齡林分)의 연륜(年輪)은 퇴적지(堆積地) 형성후의 경과년수(經過年數)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내(江原道內)의 두 개의 산지급류하천(山地急流河川)을 대상으로 하천미지형(河川微地形)과 식물지표(植物指標)에 의해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연대학적(年代學的) 해석(解析)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지급류하천(山地急流河川)에 분포하는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횡단형상(橫斷形狀)은 계단형상(階段形狀)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하상면(河床面)에는 상이한 동령임분(同齡林分)이 조성되어 있다. 2. 일반적으로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퇴적고(堆積高)에 비례하여 침입하여 있는 수림(樹林)의 연륜수(年輪數)도 증가하였으며, 이는 토사이동(土砂移動)의 규모(規模) 및 빈도(頻度)를 추정하는데에 사용된다. 3.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경과년수(經過年數)를 수목(樹木)의 연륜(年輪)에 의해 추정할 수 있으므로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시(時) 공간적(空間的) 정보(情報)를 얻는데 식물지표(植物指標)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4. 퇴적토석량(堆積土石量)은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연장(延長), 평균퇴적폭(平均堆積幅), 평균퇴적고(平均堆積高)에 좌우되며, 평균퇴적폭(平均堆積幅), 평균퇴적고(平均堆積高)는 연대(年代)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 PDF

미시령(彌矢嶺) 용촌천(龍村川)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연대학적(年代學的) 연구(硏究) (Chronological Study on the Deposits in Yongcheon River)

  • 전근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23-34
    • /
    • 1990
  • 산지유역(山地流域)에 있어서의 토석이동(土石移動)은 체류과정(滯留過程)과 이동과정(移動過程)으로 구분되며, 과거로 부터의 변화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현재의 지표면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는 원인과 결과를 분명히 하여야 한다. 여기서 원인이란 단위시간 안에서 유역특성을 구성하는 요인인 지형(地形), 지질(地質), 기후(氣候), 식생(植生), 토지이용(土地利用) 등을 의미하며, 결과란 유역(流域)안에서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山沙汰), 땅밀림, 하상변동(河床變動) 등을 말한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지인 산지급류하천(山地急流河川)에 있어서 상기 원인중 지형(地形)(하천징지형(河川徵地形))과 식생(植生)(동령임분(同齡林分))을 분석하여 결과로서 존재하는 하상변동(河床變動)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하였다. 그 결과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침입수목의 연륜해석(年輪解析)으로부터 하상변동(河床變動)에 대한 공간적(空間的)(퇴적고(堆積高)) 시간적(時間的)(체류기간((滯留期間)) 분포(分布)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기초로 하여 유역간(流域間) 또는 구간간(區間間)의 지표변동(地表變動)의 특성(特性)을 시(時) 공간적(空間的)으로 해석하므로서 보다 객관적인 방재대책(防災對策)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