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ic change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6초

GIS기반에서 댐 저수량 산정의 정확도 향상 (Accuracy Improvements of DAM-Reservoir Storage Volume Estimation based on GIS)

  • 정인주;문두열;정범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6-144
    • /
    • 2005
  • GIS의 응용은 다양한 지형자료들을 3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수문학 분야에서 효율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지형자료를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TIN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매우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3차원 지형모델링에 대해서 토공량, 침수량, 저수량 등을 산정하는데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특히 구축된 TIN의 구성요소인 각각의 삼각형에 대하여 체적을 산정함으로써 수위의 변화에 따른 체적산정시 기존의 체적산정식보다 오차를 줄일 수 있었으며, 개발된 식을 검정한 후 저수지의 저수량을 산정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의 등고선과 표고를 이용하여 저수량 산정방법과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저수량 산정시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 PDF

GIS 기반 하천경사 산정 및 하천망에 따른 표출 방식 개발 (Development of GIS-based Method for Estimating and Representing Stream Slopes Along the River Network)

  • 유호준;김동수;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25-738
    • /
    • 2012
  • Recently, a variety of GIS-based tools enabling to generate topographic parameters for hydrologic and hydraulic research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most of GIS-based tools are usually insufficient to estimate and visualize river channel slopes especially along the river network, which can be possibly utilized for many hydraulic equations such as Manning's formula. Many existing GIS-based tools have simply averaged cell-based slopes for the other advanced level of hydrologic units as likely as the mean watershed slope, thus that the river channel slope from the simple approach resulted in the inaccurate channel slope particularly for the mountain region where the slope varies significantly along the downstream direction. The paper aims to provide several more advanced GIS-based methodologies to assess the river channel slopes along the given river network. The developed algorithms were integrated with a newly developed tool named RiverSlope, which adapted theoretical formulas of river hydraulics to calculate channel slopes. For the study area, Han stream in the Jeju island was selected, where the channel slopes have a tendency to rapidly change the upstream near the Halla mountain and sustain the mild slope adjacent to watershed outlet heading for the ocean. The paper compared the simple slope method from the Arc Hydro, with other more complicated methods. The results are discussed to decide better approaches based on the given conditions.

지리산 국립공원의 주연부 식생구조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Chirisan National Park)

  • 오구균;권태호;이규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8-78
    • /
    • 1991
  • 지리산 국립공원지역에서 주연부식생구조 및 출현수종을 밝히기 위하여 1991년 8~10월 사이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지대 북동사면의 주연부로부터 삼림내부로의 거리 증가에 따라 하층수종의 상대우점치가 변화하였다. 주연부로부터 30m까지 식생구조의 변화가 있었으며, 주연부의 깊이는 15~20m 이었다. 고도, 지형적위치 및 방위요인이 주연부 수종과 출현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연부식생은 능선과 산록부간의 지형적 위치와 중복부 이상에서의 남향과 북향의 방위간에 심한 차이를 나타냈다. 남.북사면간의 하층식생구조를 비교해 볼 때, 개체수와 피도는 북사면에서, 반대로 수종 수, 종다양도 및 조릿대 피도는 남사면에서 더 많거나 높게 나타났다.

  • PDF

Landsat 7 ETM+ 영상에서 얻은 지표온도와 지형인자의 상관성 분석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Topographic Factors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from Landsat 7 ETM+ Imagery)

  • 이진덕;방건준;한승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82-491
    • /
    • 2012
  • 인공위성영상은 적외선 채널을 이용하여 지표에서 복사되는 열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도심지역의 지표온도와 열섬현상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그러나 사면향과 경사와 같은 지형인자와 지표온도와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다소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면향과 경사와 같은 지형인자의 변화에 따라 지표온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Landsat 7 ETM+을 사용하여 연구하였으며 지표에서 발생하는 인본열을 감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지표의 사면향은 지표온도분포에 중요한 인자로 영향을 주지 않지만, 사면의 기울기는 태양의 고저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성영상은 지표면과 이루는 각으로 인해 영상에 정확한 지표온도를 기록할 수 없지만, 사면의 기울기 보정을 통해 보정한 결과 평균 지표온도분포 분석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위성영상을 통해 지표발산 인본열 추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GIS based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Management

  • Kim, Kye-Hyun;Yoon, Chun-Jo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506-506
    • /
    • 2002
  • S. Korean Government has accelerating its efforts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drinking wat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declared the law of securing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to minimize the inflow of the point and nonpoint sources into the drinking water sources. As a first phase of installing nationa-wide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approximately 300km buffering zone has been delineated along the South and North Han river, the major drinking water sources for the capital area of S. Korea, which has the population of more than 12 millions. The buffering zone has the width of 1,000 meter for the special protection area, and 500 meter for the remaining area from both ends of the river. The major works have been done in three stages. Firstly, the boundaries lines of the buffering zone was delineated on the digital topographic maps. Secondly, the maps were overlayed with the cadastral maps to identify individual land parcels, the street address of the major pollutant discharging facilities, and all different types of pollutants including livestocks. Thirdly, the field work has been done as a verification. Once the buffering zone was generated, all the information for the buffering gone were created or imported from other government agencies including official land price, details of the major manufacturing facilities discharging considerable amount of pollutants, major motels and resorts, not to mention of restaurants, etc. Also, major livestock houses were located to identify the path of the pollutant inflow to the drinking water source. Further works need to be continued such as purchasing private lands within the buffering zone and change the land use in the efforts to decrease the pollutant amount and to provide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space. Also,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should be utilized in the near future as a cost-effective data source to update all the landuse activities within buffering zone.

  • PDF

지형패턴(Geomorphons)을 이용한 새로운 지형분류방법 (Landform Classification using Geomorphons)

  • 김동은;성영배;손학기;최광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9-155
    • /
    • 2012
  •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DEM을 이용한 지형분류는 중심 셀과 주변 셀과의 수치를 비교하기 때문에 그 결과 값이 분석반경에 민감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지형패턴(Geomorphons)을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지형분류 방법이 등장하였는데 이는 중심 셀과 주변 셀의 높이를 비교하여 그 패턴을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형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패턴 분류법을 이용하여 평창강 유역을 대상으로 지형을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지형분류방법 중의 하나인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와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미 기 구축된 하계망도, 유역도와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로 지형패턴 분류법은 구축시간과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중심의 지형분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개방성을 이용한 패턴을 기반으로 지형을 분류하였기 때문에 스케일종속성(scaledependency) 문제를 상당부분 극복하였다. 이는 지형패턴에 기반한 지형분류방법이 기존의 지형분류방법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계승하면서 기존의 방법들과는 다른 독특한 강점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형패턴을 이용한 지형분류방법이 보다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용되기 위해서는 현장답사를 통해 실제 지형과 분류된 지형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건축물 지표면 가중평균 법정산정 자동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수치지형도 데이터를 이용한 Rhino Grasshopper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utomated Algorithm for Legal Calculation of Weighted Average of Building Surface - Based on Rhino Grasshopper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 Data -)

  • 최세영;송석재;김용성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15
    • /
    • 2023
  • Since the 1960s, the Korean Peninsula, which consists of 77.4 of the country's land and mountains, has seen a surge in demand for buildings due to population concentration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Since then, the development of slopes has been inevitable due to the concentration and expansion of the city's population. When building a building on a slope, it is important to set the height of the surface. In this case, the means of regulating buildings in construction-related laws, such as the building closure ratio, floor area ratio, number of floors and total floor area of buildings, have an overall effect on buildings through the height of the surface. In the Korean Building Act, the setting of the height of the ground affects the calculation of the building height limit standard and the calculation of the underground floor, and it takes a long time to calculate.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attempts to change various design plans of buildings incr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ed up the time required to calculate the weighted average of the surface when constructing buildings on slopes. In addition, the existing calculation process allows various design attempts compared to the same time given.

고지도 기반 환경변화연구 및 지형분석을 통한 명사십리 해안의 제4기 연안지대 이상기후 퇴적기록 적지선정 (Site Selection for Geologic Records of Extreme Climate Events based on Environmental Change and Topographic Analyses using Paleo Map for Myeongsanimni Coast, South Korea)

  • 김지은;유재형;양동윤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6호
    • /
    • pp.589-59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서해 명사십리 일대의 제 4기 극한재해 퇴적기록 보존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1918년 일제 강점기 지형도, 2000년 수치지형도, 1976년 항공사진 및 2012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작성한 수치표고모델과 지표이용도를 순차 비교 분석하여 연구지역의 퇴적환경 및 지표환경 변화를 고찰하였다. 연구지역의 지형적 특징은 지난 100여 년간 큰 변화가 없었으나 연구지역의 북부와 남부에는 고도의 변화폭이 상대적으로 큰 구릉지가 위치하고 해안에 평행하게 사구가 발달하며 연구지역 남부 사구의 후면으로 내륙에 평탄한 저지대가 위치한다. 연구지역 유수 및 퇴적물의 이동 방향을 분석한 결과 사구에서 내륙으로 이동하는 흐름과 내륙의 높은 지대에서 해안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연구 지역 중부를 가로지르는 하천을 향하여 이동하며 중남부 용정리와 남부 자룡리의 평탄한 저지대에 각각 $0.2km^2$의 넓이를 가지는 저수지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구지역 해수면 변화기록을 보존하는 지역을 찾기 위하여 해수면을 상승시킨 결과 해수면이 3 m 상승했을 때 침수되는 지역은 1918년 $3.4km^2$, 2000년 $3.64km^2$으로 저수지역이 형성되는 위치와 중첩되며 남부의 평탄한 저지대가 해수범람 퇴적층의 형성이나 퇴적물의 집적에 용이한 환경임을 지시한다. 100여 년간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지표 환경 변화가 제한적이었던 지역은 약 $3.51km^2$의 면적으로 연구지역 중부에서 남부에 분포하며 1918년에는 점토 퇴적지, 논으로 활용되었고 2012년에 이르러서는 모두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연구지역의 퇴적환경과 지표이용변화를 중첩 분석한 결과, 제4기 퇴적기록을 보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연구지역 중부에 약 $0.15km^2$, 남부에 $0.09km^2$의 면적으로 존재하며 이 지역을 중심으로 과거 이상기후 퇴적기록을 연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유로 단면의 기하학적 특성을 이용한 하상변화량 분석 (Analysis of bed change based on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channel cross-sections)

  • 고주석;이경수;곽성현;류시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2호
    • /
    • pp.1097-110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하도단면의 기하학적 특성과 그에 관한 특성값들의 종방향 변화를 통해 하천지형의 시·공간적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낙동강 구미보 ~ 칠곡보 구간에 대한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상세 수심측량을 통해 하상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를 취득하였다. 취득된 자료를 이용하여 기준단면에 대한 기하학적 정보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하천단면의 기하특성치들을 비교함으로써 특정 하도구간에서의 지형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과거 측량성과와의 비교를 통해 단면변화량과 체적하상변동량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의 다양한 하천구간에서 대한 적용을 통해 하천지형변화에 대한 정량적 평가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중부지방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반경생장량과 지형, 기후 인자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 Radial Growth and Topographic and Climatic Factors in Red Pine and Oak in Central Regions of Korea)

  • 변재균;이우균;노대균;김성호;최정기;이영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908-913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 중부지방의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생장에 기후와 지형인자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입목의 반경생장량과 기상 인자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목의 목편을 채취하고 연년반경생장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년반경생장량이 기본적으로 수령에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여 수령을 독립변수로 하는 생장량을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령 30년 일때의 생장량을 표준생장량으로 정의하여 추정하였다. 표준생장량의 공간분석을 통해 소나무 생장의 공간적인 변이성을 발견하였으며, Generalized Additive Model(GAM) 통해 지형 및 기상인자와 표준 생장량간의 관계를 밝힐 수 있었다. 기온상승은 소나무 생장에는 부(-)의 영향을 참나무에는 양(+)의 영향을 주며, 강수량 증가는 두 수종 모두에게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생장량과 지형 및 기상 인자간의 관계식을 GIS기반 임상도의 소나무와 참나무류 공간분포에 적용하여 기온상승에 대한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공간분포변화를 예측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소나무는 참나무류에 비해 기후변화에 취약하며, 60년 이후에는 동해안 및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소나무림이 참나무류림으로 대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